북한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kwo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74번째 줄:
현재 높이는 2013년 6월 국토지리정보원 1:25,000 지도상 고도이며 문헌에 나와 있는 자료이다.
 
백운대 (白雲臺) 835.6 : 인수봉 (仁壽) 810.5 : 만경봉 (萬景) 800.6 : 노적봉 (露積) 715.5 : 용암봉 (龍巖) : 일출봉 (日出) 617 : 월출봉 (月出) 600 : 기룡봉 (起龍) 588 : 반룡봉 (盤龍) 583 : 시단봉 (柴丹) 607 : 덕장봉 (德藏) 586 : 복덕봉 (福德) 594 : 석가봉 (釋迦) 598 : 성덕봉 (聖德) 631 : 화룡봉 (化龍) 644 : 잠룡봉 (潛龍) 701 : 문수봉 (文殊) 727 : 보현봉 (普賢峰) 714 : 716봉(구 나한봉 : 715.5m 삼각측량지점) : 나한봉(구 나월봉(蘿月峰) 688 : 나월봉(구 환희봉 (歡喜) 657 : 증취봉 (甑炊) 593 : 용혈봉 (龍穴) 581 : 용출봉 (龍出) 571 : 의상봉 (彌勒) 501.5 : 원효봉 (元曉) 510.3 : 염초봉 (廉峭) 662.2 : 시자봉 (侍者) 775 : 기린봉 (麒麟) 472.1 : 장군봉 (將軍) 431 : 등안봉 (登岸) 463 : 귀암봉 (龜巖) 520 : 상원봉 (上元) 684 : 휴암봉 (鵂巖) 594 : 형제봉(462.2m),족두리봉(367.3m), 응봉(332.9m) 등이 있다.
 
 
82번째 줄:
; 원효능선 : 훈련도감이 담당
* 원효봉(元曉峰,510.3) : 북한산성 축성이후 원효대사와 의상대사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붙힌 봉우리
* 염초봉(廉峭,662.2) : 날카롭고 가파른 봉우리란 뜻으로 북한산성을 수축한 후에 붙혀짐. 고려시대에는 '영취봉(靈鷲峰)'이라 함
* 시자봉(侍者,775.0) : 백운대를 모시고 있는 봉우리란 뜻으로, 정상에 원효능선에서 가장 위험하다는 말바위가 있다.
* 백운대(白雲臺,835.6) : 고려시대 중봉(中峰)이라 부름. 조선시대때 태조 이성계의 잠구시에 "백운(白雲)"에서 유래.
* 인수봉(仁壽峰,810.5) : 고려시대 부아봉(負兒峰)이라 부름. 조선시대때 인자요산 인자수(仁者樂山 仁者壽)에서 유래.
106번째 줄:
=== 산성주능선 10봉(일출 월출 기룡 반룡 시단 덕장 복덕 성덕 화룡 잠룡) ===
; 주능선 : 금위영 담당 (북한산성 축성(1711년)이후 주로 "용"자를 붙혀 봉이름을 만듬)
* 일출봉(日出) 617 : 월출봉 (月出) 600 : 해와 달을 나란히 이름 붙힘
* 기룡봉(起龍) 588 : 반룡봉 (盤龍) 583 : 용이 기상하는 모습과 웅트림 트고 있는 형상을 묘사한 봉우리
* 시단봉(柴丹峰) 607 : 해돚이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해몰이(紫霞:자하)와 반대
* 덕장봉(德藏) 586 : 복덕봉 (福德) 594 : 모든 봉우리가 읍(인사)을 하는 형상이란 뜻의 봉우리. 가운데 대동문(구 소동문)이 있다.
* 석가봉(釋迦) 598 : 현 칼바위 능선. 불교용어와 관련된 봉우리 이름 석가봉은 문수사에서 유래됨
* 성덕봉(聖德) 631 : 불교용어와 관련된 봉우리 이름.
* 화룡봉(化龍) 644 : 잠룡봉 (潛龍) 701 : 북한산성 축성 이후 용과 관련된 봉우리 이름. 가운데 대성문(구 대동문)이 있다.
 
=== 산성 안 봉우리 (6봉)===
* 기린봉 (麒麟) 472.1 : 산의 형세가 기린을 닮았다 하여 기린봉이라 부른다. 정상에 북장대가 있었다.
* 장군봉 (將軍) 431 : 고려말 최영장군이 머물던 곳이라 하여 장군봉이라 일컬음. 중흥사 서쪽(왼쪽)에 있다.
* 등안봉 (登岸) 463 : 중흥사 후면에 있다.
* 귀암봉 (龜巖) 520 : 거북이 바위가 있다고 하여 귀암봉이라 일컬음. 태고대(현 천해대)가 있고 아래에 태고사, 옆(傍)에 봉성암이 있다.
* 상원봉 (上元) 684 : 아래에 행궁(行宮)이 있다. 임금이 머무르는 봉우리란 뜻의 상원봉이라 부른다.
* 휴암봉 (鵂巖) 594 : 올빼미 바위가 있다고 하여 휴암봉이라 부름. 휴암봉 아래에 부왕사(扶旺寺)가 있다.
 
=== 산성 밖 봉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