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차왜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부산 강서구의 문화재을(를) 추가함
Namobot (토론 | 기여)
→‎역사: 인용 틀 이름 수정 using AWB
2번째 줄:
 
== 역사 ==
[[1593년]] 4월 22일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모리 데루모토]]에게 조선 수군의 함선을 대항하기 위하여 주요 항구에 성곽을 축성할 것을 명령했는데, 가덕도에 축성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시기는 바로 이 무렵부터로 생각되며, 축성을 담당한 자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와 [[다치바나 무네시게]] 등이었다.<ref>參謀本部編(1995). 《日本戰史 朝鮮の役(本編)》.德間書店</ref> 사실상 당시는 본격적인 성곽이라기보다는 전략적인 요지에 간단한 임시성이 구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덕도왜성에 7월경 5천명의 병력을 본성과 지성에 주둔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ref>1593년(분로쿠 2년) 7월 27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에게 보낸 朱印狀</ref> 그리고 윤9월 25일에는 이미 [[고바야카와 다카카게]]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가덕도 축성을 마치고 귀국하려는 의사를 밝히고 있으므로, 가덕도에 본격적인 [[왜성 (건조물)|왜성]]이 완성 단계에 이르른 것은 바로 이 무렵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렇다면 가덕도왜성의 축성기간은 임시성에서 견고성으로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 길어야 약 5개월 정도 소요된 것으로 생각된다.
8번째 줄:
[[1593년]] 3월부터 재개된 임진왜란 강화교섭은 그 후 [[1594년]]과 [[1595년]]에도 계속적으로 진행되었는데, 교섭단계에 [[명나라]]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대의 조선 주둔에 불만을 표하였으며, 철수하지 않는다면 강화에 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이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군대는 1차로 [[명나라]]가 히데요시의 군에 대해 [[왜성 (건조물)|성곽]]을 파괴하고 철수할 것을 요구하자 [[고니시 유키나가]]는 [[1595년]] 4월에 허가를 받아 6월에 조선에 주둔 중이던 히데요시의 군대에 명령을 내렸다. 철수는 3단계로 계획된 것이었는데, 제1차는 거제도의 제 성, [[구포왜성]] 등 부산포 서쪽을 중심으로 약 10개성이었으며, 제2차는 부산포의 동쪽 [[서생포왜성]], [[임량포왜성]], [[죽성리왜성]]등의 3개성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차 계획은 부산포, 김해의 [[죽도왜성]], [[안골왜성]], 가덕도왜성 등의 4개성이었다.
 
이 3차 철수 계획은 동년말까지 철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었으며, 그 절차는 먼저 단성에서 본성으로 철수한 뒤 부산포에서 최종적으로 철수한다는 계획이었다. 제2차 철수단계에서 [[가토 기요마사]]가 병력의 일부를 이끌고 [[죽성리왜성]]에 들어가 개수하는 등, 성곽을 강화한 사실이 [[명나라]]에게 알려지면서 항의가 발생하였다. 이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토 기요마사에게 귀환을 명령하였으며, [[1596년]] 5월에 가토 기요마사는 [[죽성리왜성]]을 불태우고 귀환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실제 제3차 철수는 실시되지 않았다. 3단계의 파괴 계획중에서 마지막 단계로 설정된 가덕도왜성은 여타의 3성과 마찬가지로 파괴는 물론 철수도 않았으며, [[1595년]]경에는 다치바나 가문이, [[1596년]]부터 [[시마즈 이에히사]]가 각각 주재했다.
 
[[1597년]] 2월 21일에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재침략에 즈음하여 제 군의 부서를 지시했는데, 이 단계에서 시마즈 가문은 가덕도에서 전라도·충청도 공격 부대에 편성되었으며, 가덕도 왜성에는 그밖의 다섯 곳과 함께 새로이 수비대로 [[다카하시 무네마스]]와 [[지쿠시 히로카도]]가 배치되었다. 시마즈 가문은 내륙으로 이동한 후 [[다카하시 무네마스]]와 [[지쿠시 히로카도]]로부터 가덕도왜성을 인수받아 동년 6월 3일에 파괴되었으며, 병력은 인근의 [[웅천왜성]]으로 이동했다. <ref>
{{문서저널 인용
| 저자 = 류교열
| 제목 = 韓半島 南海沿岸의 倭城과 그 築城 意味 가덕도 倭城趾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