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70번째 줄:
한국어도 다른 한자 문화권 언어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써왔고, 간혹 간판 등에서 우횡서를 썼다.
 
광복 이후 [[한국]]의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가로쓰기(좌횡서)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게 되었다. [[책|서적]]도 점진적으로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변모해 갔다. 다만, [[대한민국]]의 신문 대부분은 오랫동안 세로쓰기를 고수하였는데, [[1988년]] 창간된 중앙 일간지 《[[한겨레|한겨레신문]]》은 창간 때부터 가로쓰기를 도입하였다.<ref name="한국최초"> 1988년 이전에도 가로쓰기를 채용한 신문이 있었다. [[1947년]] [[8월 15일]]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에서 창간된 《[[호남신문]]》이 한국 최초로 가로쓰기를 도입한 신문이다. 다만 중앙지로서는 《[[한겨레|한겨레신문]]》이 최초이다.{{서적 인용
|저자=김은신|제목=이것이 한국 최초|꺾쇠표=예|발행일자날짜=1995-11-01|출판사=삼문|id=ISBN 978-89-85407-35-9|쪽=96~98쪽}} </ref> 그리고 [[1990년대]] 들어 《[[중앙일보]]》를 필두로 하여 세로쓰기를 하던 대한민국의 다른 중앙 일간지들도 가로로 쓰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 가운데 세로쓰기를 쓰는 신문은 없다.<ref>{{뉴스 인용|제목=결산공고는 세로쓰기의 ‘마지막 보루’?|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899|출판사=미디어오늘|저자=이수강 기자|쪽=|작성일자날짜=2007년 4월 4일|확인일자=}} 단, 결산공고는 아직까지도 세로쓰기를 고집한다.
</ref>
 
125번째 줄:
일본의 명함은 한 면은 일본어를 세로쓰기로 인쇄하고, 반대 면은 영어를 가로쓰기로 인쇄한다. 엽서나 손으로 쓴 편지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사용되는데, 세로쓰기가 더 일반적이다.
 
일본어는 세로쓰기에서 사용되는 ‘、’대신에 ‘,’가 사용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현실에서 잘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중국어에서는 ‘:’이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같은 모양으로 쓰이는데, 이것은 한국어에서 세로쓰기일 때 90도 회전되는 것과 다르다.<ref> [[:그림:Hengpai-shupai.png|횡서와 종서 예시 그림 (위키미디어 공용)]] </ref>
 
타이완 등 중국어 번체 사용 지역에서는 구두점이 가운데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중국 대륙이나 일본과 다른 점이다. 다음 표에 그 예가 있다.
145번째 줄:
[[파일:Seollobyeon churakjuui.jpg|thumb|left|좌종서로 쓰인 경고 문구. [[대한민국]] [[부평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메트로 1호선]] 승강장에서 촬영한 사진.]]
[[파일:P090411001.jpg|thumb|right|우횡서로 쓰인 하수구 뚜껑. 경북 칠곡군 북삼읍 인평리에서 촬영한 사진.]]
최근의 한국어에서는 세로쓰기가 드물게 쓰이며 가로쓰기(좌횡서)가 압도적이다. 우횡서는 세로쓰기보다 더 드물다. 주로 경복궁 등의 궁궐이나 해인사 등의 사찰 같은 유적지에서의 현판에서나 볼 수 있다. 근대 이전에 좌종서가 쓰인 예는 [[노걸대|몽어노걸대]]나 [[노걸대|청어노걸대]]와 같은 [[몽골어]]나 [[만주어]] 교본에서 [[몽골 문자]] 및 [[만주 문자]]와 쓰는 방향을 맞추기 위해 사용한 예가 거의 유일하다. 그러나 현대에는 좌횡서의 영향으로 세로쓰기도 전통적인 우종서가 아닌 좌종서로 쓰인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우종서 세로쓰기도 적지 않다.)
 
대한민국 [[한글 맞춤법|표준 표기법]]의 경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구두점·인용 부호 등을 서로 같게 규정하고 있다.ref> [[:en:Image:Hyeoruinu.jpg|가로쓰기처럼 인용 부호를 사용한 예시 그림 (위키백과 영어판)]] </ref>
 
2008년 4월초에 [[YTN]]의 《[[돌발영상]]》제작진은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의 임시 로고<!--지금의 방통위 로고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이 이후임-->를 놀이터 등지에서 놀고 있던 초등학생과 유치원생들을 대상으로 읽어보게 했다. '''방송통신'''이라는 문자가 우종서 두 줄로 적혀 있었는데, 아이들은 하나같이 좌횡서로 '''통방신송'''이라고 읽었고, 세로라는 것을 알려주어도 좌종서로 '''통신방송'''이라고 읽었다.<ref name="tbss"> {{뉴스 인용|저자=이병식|제목='통방신송'?...알 수 없는 정부로고|url=http://www.ytn.co.kr/_ln/0101_200803301353082002|출판사=YTN|작성일자날짜=2008-03-30|확인일자=2012-05-21}} </ref><ref name="dolbal">{{뉴스 인용|저자=돌발영상|제목=<nowiki>[오늘 문득]</nowiki> "사고의 전환" |url=http://www.ytn.co.kr/_ln/0302_200804021440289756|출판사=YTN|작성일자날짜=2008-04-02|확인일자=2008-04-03}} </ref> 이에 대해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이름이 표기되지 않은 전문가는 정부 기관·단체가 세로쓰기를 하거나 한자를 포함하는 것은 아직도 권위의식이 있다는 뜻이라며 비판했다.<ref name="tbss" /><ref name="dolbal"/> 그러나 오늘날까지 세로쓰기의 표준은 우종서이며, [[부고]](訃告)나 공적광고물 등에서는 아직 우종서가 쓰이고 있다. 최근 영화관의 스크린 자막에서는 우종서보다도 좌횡서가 더 많이 쓰이는 추세이다.<ref>{{뉴스 인용|제목=외화자막 번역의 세계 ‘압축의 미학’이자 ‘또다른 창작’ |url=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1002171724585&code=900307|출판사=경향닷컴|저자=백승찬 기자|쪽=|작성일자날짜=2010년 2월 17일|확인일자=}}
</ref> 다만, 세로로 서있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 책의 경우 ‘책등’ 부분의 제목 표기는 주로 한줄로 세로쓰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68번째 줄:
[[아랍 문자]]나 [[히브리 문자]]는 우횡서의 지원이 필수이다. 게다가 이러한 문자에 서양 문자나 숫자가 혼재하는 경우는 거기만 좌횡서가 되기 때문에 단지 문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늘어놓으면 되는 문제가 아니다. 우횡서와 좌횡서가 혼재되었을 경우의 표시나 입력이 올바르게 처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 우횡서에서는 좌횡서에 비해 [[약물 (인쇄)|약물]]의 방향이 반대된다. 특히 괄호의 논리적 의미가 반대로 된다는 점<ref>예를 들어 ‘)’가 여는 괄호가 된다.</ref> 에 주의해야 한다.
 
컴퓨터에서는 우횡서를 '''R2L''' 또는 '''RTL'''({{lang|en|right-to-left}})로 부른다. 좌횡서는 '''L2R''' 또는 '''LTR'''이다. R2L과 L2R이 혼재된 환경은 '''BiDi'''({{lang|en|bi-directional}})라고 한다. 근래에 주요한 [[운영 체제|운영체제]]가 BiDi를 지원하고 있어 [[HTML]] 4.0에서도 dir 속성이 도입돼 BiDi의 지원이 진행되고 있다.
 
=== 세로쓰기의 지원 ===
한자 문화권 문자 언어는 전통적으로 세로쓰기였다가 근래에 좌횡서가 일반적으로 되어, 컴퓨터에서도 좌횡서로 처리됐다. 하지만,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같은 [[워드 프로세서|워드프로세서]]나 [[연하장]] 작성 소프트웨어, [[전자책]] 리더 등에서 세로쓰기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한국MS, 한글사랑 동호회 발족 '한글 파괴자에서 수호자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0483751|출판사=매이경제|저자=명승은 기자|쪽=|작성일자날짜=2006년 1월 24일|확인일자=}}
</ref><ref>{{뉴스 인용|제목=한글 잔혹사 20년|url=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4772.html|출판사=한겨레21|저자=정혁준 기자|쪽=|작성일자날짜=2009년 4월 17일|확인일자=}}
</ref>
 
== 각주 ==
<references />
 
 
== 참고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