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아즈사봇 (토론 | 기여)
잔글 위키백과:봇_편집_요청/2015년_2월#2015-02-14 Namoroka의 요청 : 변수 '연도' 관련., replaced: {{웹 인용 | 성=I.A. | 이름=Vasil'yev | 발행년도= → {{웹 인용| | 성=I.A. | 이름=Vasil'yev | 연도= (5)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44번째 줄:
[[천체사진술]]([[천체]]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는 기술)의 시작은 1840년 [[존 윌리엄 드레이퍼]]가 [[달]]을 찍어 은판사진으로 남긴 사건이다. 1850년 7월 17일 베가는 태양을 제외하고 [[항성]]들 중 첫 번째로 사진 촬영의 대상물이 되었다. 윌리엄 본드와 존 애덤스 휘플이 베가를 촬영했으며, 역시 은판사진으로 자료를 남겼다.<ref>{{서적 인용
| 성=M. Susan | 이름=Barger
| 공저자=White, William B. | 발행년도연도=2000
| 제목=The Daguerreotype: Nineteenth-Century Technology and Modern Science
| 출판사=JHU Press | isbn=0801864585 }}
55번째 줄:
| =2007-11-18
| doi=10.1086/120156 }}</ref><ref name=allen>{{서적 인용
| 성=Richard Hinckley | 이름=Allen | 발행년도연도=1963
| 제목=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 출판사=Courier Dover Publications
67번째 줄:
| 출판사=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 =2007-11-15 }}</ref> 1879년 [[윌리엄 허긴스]]는 베가 및 비슷한 별들의 스펙트럼 사진을 이용하여, 이들 부류가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12개의 ‘매우 강한 분광선들’을 알아냈다. 이후 이들 분광선은 [[수소]] [[발머계열]]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밝혀진다.<ref>{{서적 인용
| 성=Klaus | 이름=Hentschel | 발행년도연도=2002
| 제목=Mapping the Spectrum: Techniques of Visual Represent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 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 | isbn=0198509537 }}</ref>
 
지구에서 베가까지의 거리는 뒷배경의 별들에 대해 베가가 움직이는, [[시차]]를 통해 알아낼 수 있다. 최초로 항성의 시차를 공표한 사람은 [[프리드리히 게오르그 빌헬름 폰 스트루베]]로, 그는 베가의 시차를 0.125 초각이라고 발표했다.<ref>{{서적 인용
| 성=Arthur | 이름=Berry | 발행년도연도=1899
| 제목=A Short History of Astronomy
| 출판사=Charles Scribner's Sons
| 위치=New York }}</ref> 그러나 [[프리드리히 베셀]]은 [[백조자리 61]]의 시차를 0.314 초각으로 측정한 뒤, 베가의 시차가 원래 값의 거의 두 배로 잘못 측정되었다는 의심을 품었다. 이에 스트루베는 원래 베가의 시차값을 두 배로 늘려 수정했으나, 이로 인해 그의 자료에 대한 천문학계의 불신감은 커졌다. 이후 베셀의 시차 자료는 출판되었으며, 스트루베를 포함한 당시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이 자료값을 신뢰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애초에 스트루베가 처음으로 쟀던 베가의 시차는 현재 기술로 정교하게 측정된 시차값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ref>{{서적 인용
| 성=Suzanne | 이름=Débarbat | 발행년도연도=1988
| chapter=The First Successful Attempts to Determine Stellar Parallaxes in the Light of the Bessel/Struve Correspondances
| 제목=Mapping the Sky: Past Heritage and Future Directions
| 출판사=Springer | isbn=9027728100 }}
</ref><ref>{{웹 인용
| 저자=Anonymous | 작성일자날짜=2007-06-28
| url=http://astroprofspage.com/archives/1011
| 제목=The First Parallax Measurements
87번째 줄:
 
지구에서 보았을 때의 항성 밝기는 표준화된 로그 자를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하다. 값은 [[겉보기 등급]]으로 표시하며, 밝아질수록 숫자는 작아진다. 사람의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은 +6 수준이며, 눈에 보이는 가장 밝은 항성(태양 제외)은 [[시리우스]]로 그 값은 -1.47이다. 겉보기 등급 척도를 표준화할 목적으로, 천문학자들은 모든 파장에서 0등급을 대표하는 항성으로 베가를 선택했다. 따라서 오랜 기간에 걸쳐 베가는 항성의 밝기를 재는 기준점 역할을 해 왔다.<ref>{{서적 인용
| 성=Robert A. | 이름=Garfinkle | 발행년도연도=1997
| 제목=Star-Hopping: Your Visa to Viewing the Universe
| 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110번째 줄:
| =2007-11-05
| doi=10.1086/145697 }}</ref> 베가는 [[가시광선]] 영역(이 영역의 대부분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다)인 350 ~ 850 [[나노미터]] 파장대에서 상대적으로 밋밋한 전자기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플럭스 밀도는 2,000 ~ 4,000 잰스키로 거의 일정하다.<ref>{{웹 인용
| 이름=Walsh | 성=J. | 작성일자날짜=2002-03-06 | url=http://www.eso.org/observing/standards/spectra/hr7001.html
| 제목=Alpha Lyrae (HR7001)
| 작품명=Optical and UV Spectrophotometric Standard Stars
| 출판사=ESO | =2007-11-15 }}—flux versus wavelength for Vega.</ref> 그러나 베가의 플럭스 밀도는 [[적외선]] 영역에서 급격하게 떨어지며, 그 값은 5 [[마이크로미터]]에서 100 잰스키 정도이다.<ref>{{웹 인용
| 이름=McMahon | 성=Richard G. | 작성일자날짜=2005-11-23 | url=http://www.ast.cam.ac.uk/~rgm/magnitudes/vega_hl75.dat
| format=Text | 제목=Notes on Vega and magnitudes
| 출판사=University of Cambridge
134번째 줄:
| =2007-05-14
| doi=10.1146/annurev.aa.33.090195.000451 }}</ref> 던랩 천문대는 베가를 관측한 결과 이 변광성 부류의 성질을 발견했으나, 다른 관측자들은 그러한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 따라서 베가의 밝기 변화는 관측 기구의 체계적 오류로 인한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ref name=merezhin>{{웹 인용
| 이름=I.A. | 성=Vasil'yev | 작성일자날짜=1989-03-17
| 공저자=Merezhin, V. P.; Nalimov, V. N.; Novosyolov, V. A.
| url=http://www.konkoly.hu/pub/ibvs/3301/3308.txt
159번째 줄:
== 가시성 ==
베가는 [[북반구]] 중위도의 국가들에서, 여름 밤하늘 [[천정]]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ref name=field_guide>{{서적 인용
| 성=Jay M. | 이름=Pasachoff | 발행년도연도=2000
| 제목=A Field Guide to Stars and Planets
| 판=Fourth edition
174번째 줄:
[[파일:Summer triangle.png|left|thumb|280px|여름의 대삼각형.]]
베가는 [[여름의 대삼각형]]의 꼭짓점 중 하나이다. 베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원들은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 [[백조자리]]의 1등성 별 [[데네브]]이다.<ref name=field_guide/> 셋을 이으면 대충 [[이등변삼각형]] 형상이 나온다. 여름의 대삼각형은 근처에 밝은 별이 없기 때문에 북반구 하늘에서 쉽게 인지가 가능하다.<ref>{{서적 인용
| 성=Arthur R. | 이름=Upgren | 발행년도연도=1998
| 제목=Night Has a Thousand Eyes: A Naked-Eye Guide to the Sky, Its Science, and Lore
| 출판사=Basic Books | isbn=0306457903 }}</ref>
222번째 줄: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pdf/10.1086/380198
| 확인일자=2007-12-09 }}</ref> 중심핵 위를 둘러싼 [[복사층]]은 [[복사열적 평형 상태]]에 있는데, 이는 태양과는 반대 구조이다. 태양은 중심핵 부분이 복사층이며 복사층을 대류층이 둘러싸고 있다.<ref>{{서적 인용
| 이름=Thanu | 성=Padmanabhan | 발행년도연도=2002
| 제목=이론 천체물리학(''Theoretical Astrophysics'')
| 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247번째 줄:
| 확인일자=2007-11-15
}}</ref><ref>{{서적 인용
| 이름=Donald D. | 성=Clayton | 발행년도연도=1983
| 제목=항성 진화 및 핵합성 원리(''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 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7번째 줄:
| 형식=PDF
| doi=10.1086/504149 }}</ref><ref name=noao>{{뉴스 인용
| 저자=Staff | 발행일자날짜=2006-01-10
| 제목=빠르게 도는 별 베가의 적도는 차갑고 어둡다(''Rapidly Spinning Star Vega has Cool Dark Equator'')
| 출판사=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296번째 줄:
| 서적명=The A-Star Puzzle | 쪽=pp. 1-11
| 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 발행년도연도=2004-07-08 ~ 2004-07-13 | 위치=Poprad, Slovakia
| url=http://journals.cambridge.org/production/action/cjoGetFulltext?fulltextid=280601
| 형식=PDF
384번째 줄:
[[파일:Magnitude time closestar diagram.svg|350px|right|thumb|지구 근처 밝은 별들의 향후 겉보기 등급의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밝기가 올라갈수록 지구와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다. 베가(Wega, 빨강색 선)는 천천히 지구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
[[은하좌표]]에서 베가의 [[우주속도]] 요소는 U = -13.9 ± 0.9, V = -6.3 ± 0.8 , W = -7.7 ± 0.3으로, 여기서 순우주속도는 17&nbsp;km/s가 나온다.<ref name=aaa339/> 이 속도(태양 방향)의 방사 성분은 -13.9&nbsp;km/s이며, 횡단 속도는 9.9&nbsp;km/s이다. 현재 시점에서 베가는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지만, 고유 운동값에 의거하여 천천히 태양 쪽을 향해 다가옴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베가의 밝기는 점점 상승할 것이다.<ref>{{서적 인용
| 성=Forest Ray | 이름=Moulton | 발행년도연도=1906 | 쪽=502
| 제목=An Introduction to Astronomy
| 출판사=The Macmillan company }}</ref> 베가는 약 21만 년 후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될 것이며, 약 29만 년 후 -0.81까지 밝아질 것이다. 베가는 이후 약 27만 년 동안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의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ref>{{저널 인용
398번째 줄:
 
베가의 운동학적 속성에 의거하면 [[카스토르 이동성군]]에 속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성군은 약 16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구성원으로는 [[세페우스자리 알파]], [[카스토르]], [[포말하우트]], 베가가 있다. 이 성군의 모든 구성원들은 비슷한 우주 속도를 보이면서 움직이고 있다. 이동성군의 구성원들을 통해 이들이 같은 장소에서 함께 태어났으며 중력적으로 서로의 속박을 벗어 버린 후 지금까지 꾸준히 우주 공간을 움직여 왔음을 추측할 수 있다.<ref>{{서적 인용
| 성=Mike | 이름=Inglis | 발행년도연도=2003
| 제목=Observer's Guide to Stellar Evolution: The Birth, Life, and Death of Stars | 출판사=Springer
| isbn=1852334657 }}</ref> 카스토르 이동성군의 예상 나이는 1억 ~ 3억 살 정도이며 구성원들의 평균 우주 속도는 16.5&nbsp;km/s이다.<ref name=aaa339>{{저널 인용
488번째 줄:
=2007-11-10
| doi=10.1038/33874 }}</ref> 하와이 소재 조인트 애스트로노미 센터와 [[UCLA]]의 천문학자들은 켁 망원경의 사진은 베가 주위에서 행성이 생겨나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f>{{뉴스 인용
| 저자=Staff | 작성일자날짜=1998-04-21 | 제목=Astronomers discover possible new Solar Systems in formation around the nearby stars Vega and Fomalhaut
| 출판사=Joint Astronomy Centre | url=http://outreach.jach.hawaii.edu/pressroom/1998_vega/
=2007-10-29 }}</ref>
510번째 줄:
=2007-10-30
| doi=10.1086/379064 }}</ref> 이 가상 행성의 궤도 크기로 미루어 보아 보다 베가에 가까운 곳에 암석 행성이 생겨날 여유 공간이 있었다. 해당 행성이 항성 쪽으로 움직인 원인으로 이 행성보다 항성에 가까운 곳에 있는, 질량이 더 큰 미지의 행성이 중력적 상호 작용을 일으켰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ref>{{뉴스 인용
| 성=Gilchrist | 이름=E. | 작성일자날짜=2003-12-01
| 공저자=Wyatt, M.; Holland, W.; Maddock, J.; Price, D. P.
| 제목=New evidence for Solar-like planetary system around nearby star
536번째 줄:
| 성=Andrew L. | 이름=Chaikin
| 편집자=Beatty, J. K.; Petersen, C. C.
| 발행년도연도=1990 | 제목=The New Solar System
| 판=4th edition
| 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
543번째 줄:
| 성=Archie E. | 이름=Roy
| 공저자=Clarke, David
| 발행년도연도=2003 | 제목=Astronomy: Principles and Practice
| 출판사=CRC Press
| isbn=0750309172 }}</ref> 베가는 [[북극성]]의 후보가 될 수 있는 별들 중 가장 밝다.<ref name=allen/>
556번째 줄:
 
[[아시리아|고대 아시리아 사람]]들은 베가를 '다얀-사메'라고 불렀는데 이는 '하늘의 심판자'라는 뜻이다. [[아카드|고대 아카드 사람]]들은 '티르-안나'로 불렀으며 이는 '하늘의 생명'이라는 뜻이다. [[바빌로니아]] 시대의 천문 기록에 따르면 베가는 '딜간'이라는 이름이 붙은 여러 별들 중 하나였다. 여기서 '딜간'은 '빛의 전령'이라는 뜻이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 신화]]상의 [[오르페우스]]가 들고 있는 [[하프]] 부분을 [[거문고자리]]라고 불렀으며, 여기서 베가는 손잡이 부분에 해당된다.<ref name="kendall">{{서적 인용
| 성=E. Otis | 이름=Kendall | 발행년도연도=1845
| 제목=Uranography: Or, A Description of the Heavens; Designed for Academics and Schools; Accompanied by an Atlas of the Heavens
| 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
| 위치=Philadelphia }}</ref> [[로마 제국]]에서는 베가가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 보이지 않게 되는 시점을 [[가을]]이 시작되는 때로 인식했다.<ref name=allen>{{서적 인용
| 성=Richard Hinckley | 이름=Allen | 발행년도연도=1963
| 제목=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 출판사=Courier Dover Publications
567번째 줄:
[[중국 신화|중국]]에는 [[다비흐|견우]][{{lang|zh|牛郎}}]가 천제(天帝)의 벌을 받아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사랑하는 직녀({{lang|zh|織女}}, 베가)와 떨어져 살다가, 일년 중 단 하루 [[칠월칠석]]([[음력]] 7월 7일)에 까마귀와 까치가 놓아 주는 오작교 위에서 잠깐이나마 만난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직녀성'''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ref>{{서적 인용
| 성=Liming | 이름=Wei | 공저자=Yue, L.; Lang Tao, L.
| 발행년도연도=2005 | 제목=Chinese Festivals
| 출판사=Chinese Intercontinental Press
| id=ISBN 7-5085-0836-X }}</ref> 일본의 타나바타 축제는 이 전설에 기초하여 열린다.<ref>{{서적 인용
| 성=John Robert
| 이름=Kippax
| 발행년도연도=1919
| 제목=The Call of the Stars: A Popular Introduction to a Knowledge of the Starry Skies with their Romance and Legend
| 출판사=G. P. Putnam's Sons }}</ref> [[조로아스터교]]에서 베가는 가끔 하급 신(神) 바난트를 상징하기도 했다. 여기서 바난트는 '정복자'라는 뜻이다.<ref>{{서적 인용
| 성=Mary | 이름=Boyce | 발행년도연도=1996
| 제목=A History of Zoroastrianism, volume one: The Early Period
| 출판사=E. J. Brill | location=New York
581번째 줄:
 
서구권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이름 베가(초창기에는 Wega였다가 Vega로 바뀜)<ref name=allen/> 는 [[아랍어]] 단어 '와키'에서 왔는데 이는 '추락' 또는 '착륙'이라는 뜻이다. '와키'는 좀 더 긴 어구인 '안-나스르 알-와키'({{lang|ar|النسر&nbsp;الواقع}})에서 따 온 말로, 어구의 뜻은 '내려앉은 검은 독수리'이다.<ref>원문의 의미는 검은 독수리가 날개를 접고 땅에 착륙했다는 뜻이다.(Edward William Lane, ''Arabic-English Lexicon'')</ref>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거문고자리를 검은 독수리 형상으로 인식했으며<ref>{{서적 인용
| 성=Gerald | 이름=Massey | 발행년도연도=2001
| 제목=Ancient Egypt: the Light of the World
| 출판사=Adamant Media Corporation
| id=ISBN 1-4021-7442-X }}</ref> [[인도의 역사|고대 인도 사람]]들도 이를 검은 독수리 또는 [[독수리]]로 생각했다.<ref>{{서적 인용
| 성=William Tyler | 이름=Olcott | 발행년도연도=1911
| 제목=Star Lore of All Ages: A Collection of Myths, Legends, and Facts Concerning the Constellations of the Northern Hemisphere
| 출판사=G.P. Putnam's sons }}</ref><ref>{{웹 인용|
594번째 줄:
| 성=M. Th. | 이름=Houtsma
| 공저자=Wensinck, A. J.; Gibb, H. A. R.; Heffening, W.; Lévi-Provençal
| 발행년도연도=1987
| 제목=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 volume=VII | 쪽=292 | 출판사=E.J. Brill }}</ref>
600번째 줄:
중세의 점성학자들은 베가를 베헤니언 붙박이별 중 하나로 취급했으며<ref>{{서적 인용
| 성=Donald | 이름=Tyson | 공저자=Freake, James
| 발행년도연도=1993
| 제목=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
| 출판사=Llewellyn Worldwide
| isbn=0875428320 }}</ref> 귀감람석(貴橄欖石) 및 윈터 세이보리(winter savory)와 연관지었다. 아그리파 폰 네테스하임은 자신의 [[카발라]] 문양 [[파일:Agrippa1531 Vulturcadens.png]]을 ''Vultur cadens''라는 단어 아래에 배치시켰는데, 단어의 뜻은 베가의 아랍어 이름 의미를 라틴어로 직역한 것이다.<ref>{{서적 인용
| 성=Heinrich Cornelius | 이름=Agrippa | 발행년도연도=1533
| 제목=De Occulta Philosophia }}</ref> 중세시대에 작성된 항성 목록에는 베가를 '바기'(Waghi), '바기에'(Vagieh), '베카'(Veka)로 적기도 했다.<ref name=burnham>{{서적 인용
| 성=Robert J. R. | 이름=Burnham | 발행년도연도=1978
| 제목=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vol. 2
| 출판사=Courier Dover Publications
616번째 줄:
| 제목=Vega, Alpha Lyrae | 출판사=SEDS
}}</ref> [[유럽 우주국]]이 쏘아 올린 [[베가 로켓]]과 1927년 [[록히드 사]]가 출시한 록히드 베가 기체도 베가의 이름을 빌려 온 사례이다.<ref>{{웹 인용
| 저자=Staff | 작성일자날짜=2005-05-20 | url=http://www.esa.int/SPECIALS/Launchers_Access_to_Space/SEMH3E67ESD_0.html
| 제목=Launch vehicles - Vega
| 출판사=European Space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