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안전보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imsooy (토론 | 기여)
잔글 Kimsooy 사용자가 직업안전건강 문서를 직업안전보건 문서로 옮겼습니다: 직업안전보건과 직업환경의학을 구분하고자 함
Kimsooy (토론 | 기여)
직업안전보건으로 표제어가 바뀐 상태에서 제목에 부합되도록 직업의학 부분을 삭제함
6번째 줄:
이 정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업보건의 분야는 넓다. 따라서 여러 전문분야, 즉 의학, 공학, 화학, 독성학, 생리학, 심리학 통계학 등의 전문지식과 이들의 협동이 긴요하다. 직업보건은 근로자의 노동과 노동환경으로 오는 질병의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기능의 한계와 노동의 적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산업기술이 요구하는 노동조건을 인간에게 적합하도록 그 방책을 강구함으로써 직업인의 건강을 보호 증진시키며, 나아가서는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직업보건은 산업의 형태와 직업의 종류, 그리고 나라에 따라서 안고 있는 과제와 수행방법이 다르다.<ref>{{서적 인용|성1=대한예방의학회|제목=예방의학과 공중보건|날짜=2013-02-15|출판사=계축문화사|위치=서울특별시|isbn=978-89-5629-285-4|쪽=505|판=2|확인날짜=2015-06-22}}</ref>
 
== 직업환경의학의 정의 ==
 
 
== 직업환경의학의 분야 ==
직업환경의학의 분야로는 직업병학, 환경의학, 산업독성학, 작업환경관리(환기, 작업환경측정 및 분석, 작업환경 개선 및 대책, 개인보호구 등에 관한 연구분야), 산업역학 및 통계, 노동생리 및 인간공학, 산업심리학, 산업보건관리학, 산업재해보상과 법규, 항공우주 및 잠수의학, 보건정보관리, 사업장 건강증진(Workplace health promotion) 등이 있다.
== 종사자 ==
전문의 제도가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직업환경의학과에 종사하는 의사들을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라고 한다. 병원의 직업환경의학과에 종사하는 직종으로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직업환경의학 전문간호사, 산업위생기사 등이 있다.
 
==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과정 ==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가 되려면 다른 과의 전문의와 마찬가지로 1년간의 수련의(인턴) 과정을 수료한 뒤 4년간의 전공의(레지던트)과정을 수료한 뒤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된다. 대한직업환경의학회가 인정하는 타과 전문의의 경우에는 3년간의 전공의수련을 거치면 전문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학회뿐만이 아니라 대한병원협회와도 사전에 협의를 거쳐야만 가능하다.
 
== 같이 보기 ==
줄 24 ⟶ 14:
* [http://www.acoem.org 미국직업환경의학회(American Colle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공식 홈페이지]
* [http://oshri.kosha.or.kr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 [http://www.kosha.or.kr 한국산업안전공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공식 홈페이지]
* [http://www.ksoeh.org 한국산업위생학회 공식 홈페이지]
{{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