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견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번째 줄:
 
== 개요 ==
이견대의 이름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2 만파식적조에 처음 등장한다. 신라 제31대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文武王)을 위해 동해 바닷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것을 기록하면서 감은사에 보관되어 있던 기록을 인용해, 문무왕이 왜병을 진압하고자 감은사를 짓다가 다 끝마치지 못하고 죽어 바다의 용이 되었으며, 아들 신문왕이 즉위한 뒤 공사를 이어받아 당 개요 2년([[682년]])에 끝마쳤고 절의 금당 섬돌 아래에 동쪽을동해 향해쪽으로 구멍 하나를 뚫어 두어 용이 된 문무왕이 바닷물을 타고 절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 것과, 이때 유언으로 유골을 간직한 곳을 대왕암, 절을 감은사라 했으며 뒤에 용이 나타난 것을 본 곳을 이견대(利見臺)라고 하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견대의 이름 이견(利見)은, 《[[주역]]》 건괘에 나오는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즐겁다"(飛龍在天'''利見'''大人)라는 괘에서 따온 말로 여겨진다.
 
《삼국유사》는 또, 감은사가 완성된 이듬해 동해 가운데 작은 섬 하나가 감은사 쪽으로 내려왔다는 보고를 듣고 일관에게 점을 쳐 보게 한 결과 바다의 용이 된 문무왕이 33천으로 돌아간 김유신과 함께 신라를 지킬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물을 내릴 것이라는 괘가 나오자 신문왕이 기뻐하며 이틀 뒤에 이견대로 가서 그 산을 몸소 바라보았다고 적고 있다. 그 뒤 신문왕은 동해의 용으로부터 검은 옥대를 선사받았고, 용의 계시대로 섬 위에 솟아 있던 대나무를 베어다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는 신비한 피리를 만들었다고 한다.
 
==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