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춘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1번째 줄:
'''윤춘년'''(尹春年,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언구(彦久), 호는 학음(學音)·창주(滄洲). 계겸(繼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琳)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안인(安仁)이며, 어머니는 장여관(鄭汝寬)의 딸이다. <ref name="윤춘년">《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윤춘년(尹春年),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생애 ==
14번째 줄:
|확인일자 = 2008-11-13
|저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일자날짜 = 2008-11-13
|출판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일자 =
|인용 =
}}</ref> [[1999년]] [[9월]]에는 [[16세기]] 경 [[조선]] 중기의 문신 윤춘년<ref>문정왕후, 윤원형의 조카이며 윤원로의 아들이다.</ref> 이 필사한 필사본이 발견되기도 했다.한국 최초의 한문소설로 꼽히는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가 일본을 거쳐 중국에 들어가 각색돼 출판된 것으로 밝혀졌다.
 
‘[[금오신화]]’ [[중국어]] 각색본은 19세기 초반 [[일본]]에 유학한 [[중국인]] 윤온청(尹蘊淸)이 [[1914년]] 간행한 ‘동해유문(東海遺聞)’에 수록한 것으로 ‘[[금오신화]]’ 단편 5편 가운데 ‘[[이생규장전]]’을 각색한 ‘이생(李生)’과 ‘만복사저포기’를 손질한 ‘양생(梁生)’ 2편이 소개돼 있다.
 
윤온청의 각색본을 원전과 비교한 결과 대략적인 줄거리는 같으나 원문 내용이 대폭 삭제됐고 [[중국인]]들을 염두에 둔 부가설명이 들어 있는 점이 다르다. ‘[[금오신화]]’는 일본에서 인기가 많아 여러 차례 일본어 인쇄본이 간행되기도 하였다.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463986 중국서 '번안'된 「금오신화」 공개] 연합뉴스(2003.09.23) 기사 참조</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0206536 김시습 '금오신화' 중국어 각색본 발견] 동아일보(2003.09.23) 기사 참조</ref>
 
== 같이 보기 ==
33번째 줄:
 
== 참고 자료 ==
* 「국어교육 100년사」, 부록 한국소설 금오신화, 윤여탁 저, 서울대학교출판부(2006년, 460~461p)
 
{{글로벌세계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