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 순서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Image:Hasse diagram of powerset of 3.svg|right|thumb|250px|세원소 집합 <math>\{x,y,z\}</math>의 모든 부분집합들의 집합 ([[멱집합]]) 위의 [[집합의 포함 관계|포함 관계]]에 의한 부분 순서를 그린 [[하세 도형]]. 같은 높이에 있거나 (<math>\{x\}</math>와 <math>\{y\}</math>) 화살표 방향대로 나아가 도달하지 못하면 (<math>\{x\}</math>와 <math>\{y,z\}</math>) 순서가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임의의 부분 순서 집합 <math>(\mathcal{P}(S),\subseteq)</math>은 [[격자 (순서론)|격자]]를 이룬다.]]
 
[[수학]], 특히 [[순서론]]에서, '''부분 순서''' 또는 '''반순서'''(部分順序, 半順序, {{llang|en|partial order}})는 순서, 배열, 정렬 등의 직관적인 개념을 추상화한 [[이항 관계]]이다. 부분 순서가 정의된 [[집합]]을 그 부분 순서와 같이 '''부분 순서 집합'''(部分順序集合, {{llang|en|partially ordered set, poset}})이라고 한다. 부분 순서 집합은 모든 원소가 비교 가능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모든 원소가 비교가능한 부분 순서를 [[전순서]]라고 한다. 유한한 부분 순서 집합은 [[하세 도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ref>{{cite book|language=en|last1=Merrifield |first1=Richard E. |last2=Simmons|first2=Howard E.|authorlink2=Howard Ensign Simmons, Jr.|title=Topological Methods in Chemistry |year=1989|publisher=John Wiley & Sons|location=New York|isbn=0-471-83817-9 |url=http://www.wiley.com/WileyCDA/WileyTitle/productCd-0471838179.html|accessdate=27 July 2012 |pages=28|quote=A partially ordered set is conveniently represented by a ''Hasse diagram''...}}</ref>
 
실생활의 예로, 사람들의 [[가계도]]에 의한 순서는 부분 순서이다. 어떤 두 사람은 조상과 후손의 관계이나, 어떤 두 사람들은 그런 관계가 없다.
61번째 줄:
* 모든 <math>s\in S</math>는 <math>s<s</math>를 불만족한다. ([[비반사적 관계|비반사성]])
* 모든 <math>s,t,u\in S</math>에 대하여, 만약 <math>s<t</math>이며 <math>t<u</math>이면 <math>s<u</math> ([[추이관계|추이성]])
* 모든 <math>s,t\in S</math>에 대하여, 만약 <math>s<t</math>이면 <math>\neg(t<u)</math> ([[비대칭관계|비대칭성]], 이는 비반사성과 추이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하다<ref>{{cite book|language=en|last1=Flaška|first1=V.|last2=Ježek|first2=J.|last3=Kepka|first3=T.|last4=Kortelainen|first4=J.|title=Transitive Closures of Binary Relations I|year=2007|publisher=School of Mathematics - Physics Charles University|location=Prague|page=1|url=http://www.karlin.mff.cuni.cz/~jezek/120/transitive1.pdf?}} Lemma 1.1 (iv).</ref>)
* 모든 <math>s,t\in S</math>에 대하여, 만약 <math>s<t</math>이면 <math>\neg(t<u)</math>
 
<math>S</math> 위의 모든 순부분순서와 비순부분순서 사이에는 자명한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79번째 줄:
*[[전순서]]
*[[격자 (순서론)]]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Cite journal|language=en|first=Jayant V. |last=Deshpande|title= On Continuity of a Partial Order|journal=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volume= 19|year= 1968|pages= 383–386|issue= 2|doi=10.1090/S0002-9939-1968-0236071-7|postscript=.}}
* {{cite book|language=en|first=Bernd S. W. |last=Schröder|title= Ordered Sets: An Introduction |publisher=Birkhäuser, Boston|year=2003}}
* {{cite book|language=en|first=Richard P.|last=Stanley|title=Enumerative Combinatorics 1|series=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volume=49|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0-521-66351-2}}
 
== 바깥 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