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
 
== 회의주의적 관점에서의 비판 ==
[[회의주의자]]들은 MBTI가 너무다소 "애매하고 광범위"<ref>[http://www.skepdic.com/forer.html Forer effect from the Skeptic's Dictionary]</ref>하여, 모든 종류의 개인 성향에 적당히 맞아 떨어진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회의주의자들은 시험자들이 긍정적인 성격 유형 설명에 대해서 특별히 높은 평가를 한다는 면에서 MBTI 검사 결과는 [[위약 효과]]라고 주장한다.<ref>Druckman, D. and R. A. Bjork, Eds. (1992). In the Mind’s Eye: Enhancing Human Performanc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ISBN 0-309-04747-1.</ref> <ref>Pittenger, David J. (November 1993). "Measuring the MBTI. . .And Coming Up Short." (PDF). Journal of Career Planning and Employment 54 (1): 48–52. http://www.indiana.edu/~jobtalk/HRMWebsite/hrm/articles/develop/mbti.pdf.</ref> MBTI는 인간의 성격을 한 차원 안에서 지나치게다소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며, 또한 이 검사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바 없으며(물론 사실 이 부분은 MBTI의 역사가 아직 짧아 그런 면이 크다.), 표준화되지 않은 검사라는 점에서 이 검사에 대한 신뢰도/타당도의 측면에서 상당히 의심스러운 바가 많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이는 MMPI와 같이 충분한 타당화 절차를 거친 검사에 비해 MBTI가 갖는 약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학자들은 MBTI 유형이 비교적 요약적이며, 뚜렷하고 정밀하다고 주장한다.<ref name=autogenerated1>Keirsey, David (1998). Please Understand Me II: Temperament, Character, Intelligence. Del Mar, CA: Prometheus Nemesis Book Company. ISBN 1-885705-02-6.</ref> 또한 MBTI의 이분법적 요소도 어떤 유형도 수치의 문제일뿐 다른 유형 성격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회의주의자들의 비판을 전면 반박한다. 또한 국제적으로 공인 받은 MMPI 같은 경우는 정상, 비정상 가려내는 측면에서는 유용할지 모르나 개인성향을 알기에는 어렵고, 또한 시험자가 충분히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는 점에서 MBTI 보다 정밀도가 훨씬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실제로 MBTI는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세계적으로 학교, 기업, 군대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성격검사이다. 커세이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더욱 세세한 설명이 가능하도록 MBTI 유형들을 확장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커세이의 '커세이 성향 지표'는 MBTI의 16개 개인 성향 지표에서 끌어 온 것이며, 이것은 개인의 기질을 언어 사용, 지적 성향, 교육과 직업적 흥미, 사회적 성향, 자아상, 개인적 가치, 사회적 역할, 그리고 특징적인 손짓 등으로 분류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 />
또한 J.F.Macallister의 [[BaseTheory]]의 경우 유형마다의 spectrum적인 변화 양상을 설명하는 '경향화'이론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을 통해 개인의 유형변화나 개인적 개성차이를 설명해낸다. 다만 이러한 과정 중 본래 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술되었으며, MBTI와 조금 다른 유형별의 기능적 차이를 보이는데, 이에 따라 실재적 예측에 대해 서로 상충되며, 이는 그 유형별 기능적 차이의 기술을 보다 명확히 한 basetheory 쪽이 더 명확하다고 주장하고있다.<ref>http://mfiles.naver.net/80159c2b380b0abb9a7417251aff8bff5208f29d/data31/2008/4/27/7/base_theory%282nd_edition%29.pdf?type=attachment BaseTheory_2nd_Edition(2008)</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