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n개의 원소의 k-조합 ==
''<math>n'' </math>개의 원소를 가지는 집합에서 ''<math>k''</math>개의 부분집합을 고르는 조합의 경우의 수를 [[이항계수]]라 하며, <sub>''n''</sub>C<sub>''k''</sub>나 <sup>''n''</sup>C<sub>''k''</sub>, C(''n'', ''k''), 또는 <math>{n \choose k}</math>로 나타낸다. 기호 C는 콤비네이션이라고 읽기도 한다.
 
그 값은 <math> {n \choose k} = \frac{P(n,k)}{k!} = \frac{n!}{k! \cdot (n-k)!}</math>이다.
25번째 줄:
 
== 중복조합 ==
'''중복조합'''(重複組合, combination with repetition) <sub>n</sub>H<sub>rk</sub>은 서로 다른 ''<math>n'' </math>개의 원소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r'' <math>k</math>개를 뽑는 경우의 수이다. 이는 크기가 <math>n</math>인 집합에서, 크기가 <math>k</math>인 [[중복집합]]을 고를 수 있는 가짓수와 같다. <sub>n</sub>H<sub>r</sub> = <sub>n+rk-1</sub>C<sub>rk</sub> 이다.
 
예를 들어, 세개의 문자 A,B,C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5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sub>3</sub>H<sub>5</sub> = <sub>7</sub>C<sub>5</sub> = 21이므로 21가지가 된다.
35번째 줄:
<math>_n H _1 = n</math><br>
<math>_n H _k = _{k+1} H _{n-1}\ (</math>단, <math> n\ge1) </math><br>
<math>_n H _0 + _n H _1 + _n H _2 + \cdots + _nH_r_nH_k = _{n+1}H_rH_k</math>
 
=== 공식 유도 ===
모든 경우를 직접 나열하는 방법으로 중복조합의 공식을 유도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다른 방법으로 설명한다. 중복조합 nHr은 rnHk는 <math>k</math>개의 원소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나열하는 것이므로, r <math>k</math>개의 빈칸에 중복을 허용하여 n개의<math>n</math>개의 원소를 넣는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 <math>n </math>가지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 원소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집어 넣어야 하므로, <math>n-1 </math>개의 칸막이를 두고 <math>n </math>가지 경우를 임의의 순서로 배열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막이 기호를 /로 나타낸다면, 위의 예제에서 "A B B B C"는 "A / B B B / C"에 해당하고 "A B C C C"는 "A / B / C C C"에 해당한다.
44번째 줄:
물론 칸막이 사이에 아무 원소도 없을 수도 있는데, 이것은 그 원소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제에서 "A A A C C"는 "A A A / / C C"에 해당하고 "B B C C C"는 "/ B B / C C C"에 해당한다.
이제 중복조합의 문제는 원래 문자가 들어갈 r <math>k</math>개의 빈칸과 <math>n-1 </math>개의 칸막이가 들어갈 빈칸을 모두 합한 <math>n+rk-1 </math>개의 빈칸에서, 칸막이가 들어갈 <math>n-1개의1</math>개의 칸을 선택하는 문제로 변형되었다. 결국 중복조합 nHr은nHk은 n+rk-1Cn1Ck-1이 된다. 한편, nCrnCk = nCn-r이므로k이므로 nHrnHk= n+rk-1Cr이1Ck이 된다.
 
== 바깥 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