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4.53.109.66(토론)의 14792165판 편집을 되돌림
문서 내용을 "니 엄마다!!!"으로 바꿈
태그: 문서 훼손 가능성 (테스트)
1번째 줄:
니 엄마다!!!
{{문화재 정보
| 국가 = {{KOR}}
| 유형 =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사적]]
| 그림 = Dokripmun.jpg
| 이름 = 서울 독립문<br />(서울 獨立門)
| 번호 = 32
| 지정 = [[1963년]] [[1월 21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1
| 시대 = 1897년
| 지도 = 대한민국
| 띄움 =
| 꼬리표 =
| 너비 =
| 대체지도 =
| 설명 =
| 위도도 = 37 |위도분 = 34 |위도초 = 20.64 |남북 = N
| 경도도 = 126 |경도분 = 57 |경도초 = 34.52 |동서 = E
| 웹사이트 =
| 문화재청 = 13,00320000,11
}}
 
'''서울 독립문'''(서울 獨立門)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1896년]] [[11월]]에 준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다.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 한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ref>{{뉴스 인용
| 제목 = 아마 죠션도 차차 되야 가나 보더라 엇지 하야 그럿쇼 죠션 사람들이
| url = http://gonews.kinds.or.kr/OLD_NEWS_IMG3/DLD/DLD18960704u00_01.pdf
| 출판사 = [[독립신문]]
| 날짜 = 1896-7-4
| 확인날짜 = 2013-8-12
}}</ref>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으로<ref name="gojong">{{서적 인용
|저자=이태진
|제목=고종시대의 재조명
|날짜=2000-08-30
|판=초판 2쇄
|출판사=태학사
|출판위치=서울
|id=ISBN 89-7626-546-7 04910
|페이지=32~92쪽.
|인용문=
|꺾쇠표 = 예
}}</ref><ref>{{서적 인용
|저자=주진오
|편집자=역사문제연구소 편
|제목=바로 잡아야 할 우리 역사 37장면 1
|꺾쇠표=예
|연도=1993
|출판사=역사비평사
|쪽=33~34쪽
|꺾쇠표 = 예
|장=교과서의 독립협회 서술은 잘못되었다
|인용문=독립협회는 단지 독립문을 건립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추진위원회의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33쪽) 그것은 바로 청국으로부의 독립을 의미한다.(34쪽)
}}</ref>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서재필의 원작을 배경으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Середин-Cабатин, 士巴津, Sabatin, 흔히 사바틴)이 설계·시공했고, 그 현판은 [[김가진]]의 작품이다.
 
[[조선]]의 [[중국]]에 대한 사대의 상징인 [[영은문]]을 헐고 그 뒷편에 건립되었으며, 독립문 전면에는 영은문이 서 있던 기둥돌이 함께 남아 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 사적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배경 ==
[[신라]]시대에 [[당나라]]를 상국으로 받들고 조공을 바친 이후 [[고려]]시대의 송,원나라와의 관계를 거쳐 [[조선]]시대에도 [[명나라]]를 상국으로 받들고 조공을 바쳤으며, 속국을 자처하였다. 이를 사대정책이라 한다. 조선 시대에는 명의 사신들을 맞이하기 위해 [[서대문]] 근처에 [[영은문]]을 건립하고, 근처에는 사신을 맞이하는 [[모화관]]을 건립하였다. '영은'은 은혜로운 대국의 사신을 맞이한다는 뜻이며, '모화'는 중국을 흠모한다는 뜻이다. 명에 대한 조선의 관계는 소중화사상으로 이어져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로 교체된 뒤에도 계속되었다.
 
[[병자호란]]과 [[정묘호란]]으로 인한 [[청나라]]에 대한 반감에 더하여, 예전부터 [[발해]]와 [[고려]], 조선을 형님의 나라이며 상국으로 받들던 [[여진족]]에 대한 멸시 등이 복합되어 반청 감정은 고조되었고, 북벌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청나라에 대한 반감은 19세기까지 이어졌고 청나라가 유럽 열강과의 전쟁에서 패하기 시작하면서 [[조선]]이 자주독립국임을 선언해야 된다는 여론이 강하게 나타났다.
 
[[1890년]]대에 [[서재필]]은 [[영은문]]과 모화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서재필은 직접 [[프랑스]]의 [[개선문]] 사진을 보고, 이를 참고하여 독립문의 모양새를 직접 스케치했다. 이는 1896년 [[스위스]]계<ref>서재필의 일기에 따르면 그를 스위스인이라 했는데 그는 사실 우크라이나 출신의 러시아인으로 부계 혈통 중에 일부 스위스인의 피가 흐르고 있긴 하다.</ref>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에게 보내졌다.
 
== 개요 ==
[[파일:Independence Gate in 1897.jpg|thumb|left|170px|건립 초기의 독립문과, 헐린 영은문 기초]]
[[파일:독립문 기공식 초청장.png|thumb|right|150px|독립문 기공식 초정장, [[1897년]] [[11월 14일]]자]]
 
독립문의 건립은 1890년대 초 [[서재필]] 등 개화파에 의해 추진되었다. 이들은 [[영은문]]은 [[중국]]에 사대해온 치욕의 상징이므로 헐고,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의 상징을 건설하자고 [[대한제국 고종|고종]]에게 적극적으로 건의하기 시작하였다. 독립문은 [[영은문]] 맞은편이 예정지로 정해지고 시공되었으며, [[1896년]] [[11월 20일]] 건립되었다.
 
[[1895년]]부터 서재필은 독립문 건립을 위해 백성들의 성금을 모금하였고, 스위스계 우크라이나인 세레딘사바틴을 영입해왔다. 서재필은 직접 독립문을 스케치하고 이를 토대로 공사를 시작한다.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조선의 독립이 국제법상 확정<ref>[[이토 히로부미]]와 [[리훙장]]이 교환한 조약문 제1항, '양국은 조선이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인정한다'에 근거함.</ref> 된 후, 건설이 시작되었다. [[1896년]]에 공사를 시작해 [[1897년]]에 완공되었다. 높이는 14.28[[미터]], 폭 11.48미터이다. 약 1,850개의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랑스]] [[파리 시|파리]]의 [[개선문]]을 모델로 삼아서 만들었다. 현판은 [[김가진]]이 썼고, 현판 바로 아래에는 [[대한제국 황족|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문양인 [[오얏]]꽃이 장식되어 있다. 앞쪽의 기둥 두 개는 옛날 영은문의 기둥으로서, 철거 후에도 남은 부분이다. 독립문의 기공식 때는 [[대한제국 고종]]을 비롯한 황족과 고관들이 모두 참여하였다. 이 중 [[김가진]]은 [[삼전도]]([[정축하성]])와 병자년([[병자호란]]), 정묘년([[정묘호란]])의 굴욕을 이제서야 깨트렸다며 크게 기뻐하였다 한다.
 
[[1979년]]에 성산대로 공사로 인해 본래의 위치에서 북서쪽로 70미터 정도 이전하였고, [[2009년]] [[10월 28일]]에 [[서대문 독립공원]]의 재조성 공사가 완료되면서 동시에 독립문은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 기타 ==
독립문은 서재필이 특별히 초빙한 건축사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하였다. 후일 사적 32호로 지정된 독립문은 [[서재필]]이 독립문의 윤곽을 스케치한 것을 바탕으로 [[독일]] 공사관의 [[스위스]]인 기사가 설계를 담당했다. 토목·건축공사는 한국인 건축 기사 심의석이 담당하고 중국인 노무자들이 노역을 맡았다.<ref name="sonns">[http://kid.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19/2007111900995.html 독립문 준공 (1897.11.20)] 조선일보 2007.11.19</ref> 공사비는 기부금으로 해결했다.<ref name="sonns"/>
 
후일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의 출신과 관련, 서재필은 그의 자서전에서 독립문 설계자를 [[스위스]]인 기사라고 언급했다.<ref name="swiss">[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0/23/2009102300254.html 한국 서양건축의 비조 사바친 베일 벗어] 조선일보 2009.10.23</ref> 후일 [[스위스]]인이 아니라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국제한국사학회]] 공동 연구자의 한사람인 [[러시아 국립인문과학대학]] [[타치아나 심비르체바]] [[박사]]는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우크라이나]] 출신이지만 [[폴란드]],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등 여러 국가의 혈통을 물려받은 국제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따라서 서재필 박사가 독립문 설계자를 [[스위스]]인 기사라고 언급한 대목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ref name="swiss"/>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개화파]]
* [[청일 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영은문]]
* [[서대문 형무소]]
* [[서대문 독립공원]]
*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
* [[모화관]]
* [[만동묘]]
{{Col-2}}
* [[갑신정변]]
* [[갑오경장]]
* [[서재필]]
* [[서광범]]
* [[안창호]]
* [[윤치호]]
* [[이상재]]
* [[이승만]]
* [[이완용]]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Col-end}}
 
== 각주 ==
<references/>
 
== 참고 자료 ==
* {{문화재청 문화재|13,00320000,11|서울 독립문}}
 
== 바깥 고리 ==
{{위키공용분류|Independence Gate}}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05d0824a 독립문] - 다음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 [http://mtcha.com.ne.kr/korean-photo/sosun/photo11-dogribmun.htm 독립문] - 독립협회 설명
 
[[분류:서울특별시의 사적]]
[[분류:서울 서대문구의 건축물]]
[[분류:조선의 건축물]]
[[분류:조선의 정치]]
[[분류:서재필]]
[[분류:윤치호]]
[[분류:안창호]]
[[분류:한국의 문]]
[[분류:개선문]]
[[분류:1897년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