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다이라 사다노부 (1759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전거 정보 틀 추가; 예쁘게 바꿈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분류:큰_토막글_문서 참고하여 토막글 틀 정리
1번째 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llang|ja|松平定信}}, [[1759년]] [[1월 15일]] ~ [[1829년]] [[6월 14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정치가이다. 본래 성은 다야스({{lang|ja|田安}})이며, 어릴적 이름은 가시코마루({{lang|ja|賢丸}})이다.
 
아버지는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차남으로 [[고산쿄|다야스 도쿠가와 가문]]의 당주가 된 [[다야스 무네타케]]이다. 어릴적부터 총명함을 발휘해 병약하고 범용한 친형 [[도쿠가와 하루사토|하루사토]] 대신 다야스 가문의 후계자로 지목되기도 하였고,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의 후계자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사다노부는 당시의 실권자 [[다누마 오키쓰구]]의 정치를 '뇌물 정치'라고 비판하였고, 다누마의 권세를 두려워한 [[히토쓰바시 하루사다]]에 의해 [[1774년]] [[시라카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쿠니]]의 양자로 들어가게 되었다.
7번째 줄:
사다노부는 전임 다누마 정권이 중상주의 정책과 이권 뇌물 정치를 편 것에 반해, 주자학에 기반을 둔 중농주의에 입각하여, 기근 대책, 검약령, 뇌물 인사 폐지, 하타모토에 대한 문무 장려 등을 시행하여 일련의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개혁 자체는 형식적인 부분이 많았으며 근본적 문제 해결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처사횡단의 금령을 내려 [[하야시 시헤이]] 등의 여론 선동을 금지했고, [[간세이 이학 금령]]을 통해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삼고 [[난학]]을 단속했다. [[다이코쿠야 고타유]] 등 일본인 표류민들을 반환하면서 일본과의 통상을 요구한 러시아의 [[아담 락스만]]에 대해서는 한정적인 통상을 시사하고, 그동안 금지되었던 표류민 수용을 용인하였으나, 대신 [[에도 만]]을 비롯한 해상의 방비 강화에 힘썼다. 또한 [[조선통신사]]의 규모도 축소했다.
 
대정 위임론을 펴서 조정의 권위를 막부에 이용하려 했던 사다노부는, [[고카쿠 천황]]이 친아버지에게 태상천황의 칭호를 올리려는 것에 대해 주자학에 입각하여 반대하였고, 이 [[존호 사건]]을 계기로 아버지 히토쓰바시 하루사다에게 [[오고쇼]]의 존호를 올리려던 쇼군 이에나리와 대립하였고, 결국 [[1793년]], 해상 방어를 위해 출장중일 때 사직 명령을 받았다. 사다노부는 이때 은퇴하였지만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마키노 다다키요]] 등 사다노부파 로주들은 그대로 유임되어 사다노부의 정책을 계승했다. 실각한 사다노부는 시라카와 번 경영에 전념했고, 산지가 많아 실제 수입이 적은 번 재정을 개선하기 위해 말 생산을 장려하였고, 민정에 진력하여 명군으로 이름을 떨쳤다. 하지만 [[1810년]], 로주 재임 당시에 계획한 에도 만 경비가 실시되면서 그 최초의 주둔 임무가 주창자인 사다노부가 있는 시라카와 번에 내려졌고, 이로 인해 재정적 타격을 입게 되었다.
 
[[1812년]], 가문을 장남 [[마쓰다이라 사다나가|사다나가]]에게 계승하게 하고 은퇴했지만, 번의 실권은 여전히 쥐고 있었다. 사다나가 재임 때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의 옛 영지인 [[구와나 번]]으로 영지를 바꾸게 된 것도 사다노부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고도 한다. [[1829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9번째 줄:
}}
 
{{토막글|일본 사람}}
{{Authority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