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ngofSol (토론 | 기여)
영어 위키백과의 Muscular system 문서 2014년 10월 27일 22시 13분 버전을 참고하였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근육계통'''({{lang|en|Muscular system}}, 筋肉系統)은 [[골격근]], [[평활근]], [[심장근]]으로 구성된 [[기관계]]이다. 몸을 움직이거나 자세를 유지하고, 전신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척추동물]]의 근육계통은 [[신경계통]]의 통제를 받고, 일부(심장근과 내장근육 등)는 [[자율신경계|자율적]]으로 움직인다. [[골격계통]]과 연합하여 근골격계를 형성한다.
 
== 근육 ==
{리를 액틴 미세섬유 쪽으로 뻗고 있다.
{{본문|근육}}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구분된다. 근육은 힘을 내고 몸의 균형과 자세를 유지하며, 움직임을 가능케 하고, 열을 내어 [[체온]]을 유지한다.
 
[[활동전위]]가 골격근을 자극하면 각 [[근섬유분절]]({{lang|en|sarcomere}})은 일제히 수축한다. 근수축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은 [[필라멘트 활주 모형]]({{lang|en|sliding filament model}})이다. [[액틴]]과 [[마이오신]] 섬유가 서로 겹치면서 수축이 일어난다. 마이오신 미세섬유는 골프 클럽 모양의 머리를 액틴 미세섬유 쪽으로 뻗고 있다.
 
마이오신 머리에는 액틴 미세섬유와 결합 자리가 있다. 마이오신은 가장 가까운 액틴 필라멘트의 결합자리에 분리와 재결합을 반복하면서 근섬유분절의 중심을 향해 회전한다. 이 과정에는 다량의 에너지([[아데노신 삼인산|ATP]])가 소모된다. ATP는 마이오신 머리와 액틴 미세섬유가 형성한 다리에 결합한다. ATP가 방출하는 에너지로 마이오신 머리가 회전한다. 근육은 ATP를 소량만 저장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방출된 [[아데노신 이인산|ADP]]를 이용하여 ATP를 빠르게 재생산해야 한다. 근육 조직에 있는 [[인산 크레아틴]]이 초기 단계에 ADP를 ATP로 빠르게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근섬유분절이 수축하는 각 주기에는 [[칼슘 이온]](Ca<sup>2+</sup>)이 꼭 필요하다. 근육에 수축 자극이 오면 Ca<sup>2+</sup>가 [[근육세포질그물]]({{lang|en|sarcoplasmic reticulum}})에서 근섬유분절로 방출된다. Ca<sup>2+</sup>는 미오신이 결합하는 액틴 결합자리를 드러낸다. 근육이 수축을 멈출 때가 되면 Ca<sup>2+</sup>는 다시 근섬유분절에서 근육세포질그물로 돌아가 저장된다. 근육
 
=== 유산소 및 무산소성 근육 활동 ===
줄 18 ⟶ 15:
|chapter=
|pages=387-426
|edition=5판{본문|근육}}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구분된다. 근육은 힘을 내고 몸의 균형과 자세를 유지하며, 움직임을 가능케 하고, 열을 내어 [[체온]]을 유지한다.
 
[[활동전위]]가 골격근을 자극하면 각 [[근섬유분절]]({{lang|en|sarcomere}})은 일제히 수축한다. 근수축을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은 [[필라멘트 활주 모형]]({{lang|en|sliding filament model}})이다. [[액틴]]과 [[마이오신]] 섬유가 서로 겹치면서 수축이 일어난다. 마이오신 미세섬유는 골프 클럽 모양의 머리를 액틴 미세섬유 쪽으로 뻗고 있다.
|date=2011-03-01
|publisher=라이프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