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edMosQ (토론 | 기여)
잔글 내땅(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1번째 줄:
* [[방절]] 호르몬
* [[이자 (해부학)|이자]] 호르몬: [[랑게르한스섬]]호르몬([[글루카곤]],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 [[정소]] 호르몬: [[안드로겐]]
* [[난소]] 호르몬: [[에스트로겐]]
* [[태반]] 호르몬: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
43번째 줄:
[[단백질계 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 표면의 [[세포막]]에 위치해 있다. 호르몬과 수용체가 결합하면, [[세포질]] 내에서 [[인산화반응]], 또는 인산기의 분해가 일어나 [[고리모양 AMP]]와 같은 [[2차 신호 전달 물질]]들을 형성한다. 2차 신호 전달 물질은 [[이온 통로]]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거나 세포내 분자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수용체는 표적 세포내의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호르몬들이 수용체와 결합하려면 반드시 세포막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 호르몬들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인지질로 구성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호르몬이 수용체와 결합하여 만든 호르몬-수용체 복합체는 핵막을 통과하여 [[세포핵]]속으로 들어가 특정 [[염기서열]]에 부착, [[유전자]]를 발현시켜 원하는 [[단백질 생합성|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합성]]되도록 한다.
<ref name=beato>{{cite journal저널 인용| author =Beato M, Chavez S and Truss M | title =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steroid hormones | journal = Steroids | year=1996 | volume=61 | issue=4 | pages=240–251 | pmid = 8733009 | doi = 10.1016/0039-128X(96)00030-X}}</ref> 그러나, 어떤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수용체는 세포질이 아닌 [[세포막]]에 위치하기도 한다.<ref name=hammes>{{cite journal저널 인용| author =Hammes SR | title = The further redefining of steroid-mediated signaling | journal = Proc Natl Acad Sci USA | year=2003 | volume=100 | issue=5 | pages=21680–2170 | pmid = 12606724 | doi = 10.1073/pnas.0530224100 | pmc =151311}}</ref>
<!--
== 호르몬의 효과 ==
54번째 줄:
== 중요한 인간호르몬 ==
다음은 주요 인간 호르몬의 목록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ref>{{서적 인용| 저자 = Ricki Lewis 외|출판사 = Mc Graw Hill|연도 = 2009|제목 = LIFE|페이지 = 442-453p |확인날짜 = 2010-10-15}}</ref>
{| class="wikitable" class="sortable wikitable"
| | '''종류''' || '''호르몬의 명칭''' || '''약자''' || '''분비되는 조직''' || '''분비되는 세포''' || '''기능 방법''' || '''기능'''
|-
69번째 줄:
|-
| 단백질 ||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 EPI || [[부신#부신수질|부신 수질]] || [[크롬친화세포]] || || 싸움 혹은 도망 상황(Fight-or-flight response):
[[뇌]]와 [[근육]]에 [[산소]] 및 [[글루코오스]] 공급 촉진 ([[심장 박동수]]와 심박출량 증가, [[혈관확장]], 간에서 [[글리코겐]] [[효소]] 분비 촉진, [[지방 세포]]에서 [[지질]] 분해)
[[동공]] 확대
[[소화|소화작용]]과 같이 비교적 급하지 않은 신체 반응을 억제
78번째 줄:
[[골격근]] 준비성 증가.
|-
| 단백질 || [[도파민]] (프로락틴 억제 호르몬) || DPM, PIH, DA || [[신장]], [[시상하부]]|| 신장의 [[크롬친화세포]] || || [[심장]] 박동수 및 [[혈압]] 증가 <br />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중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프로락틴]] 분비 억제
|-
| 단백질 || 항뮐러리안호르몬 (뮐러리안 억제 호르몬) || AMH || [[정소]] || [[세르톨리 세포]] || || [[뇌하수체전엽호르몬]] 중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과 [[프로락틴]] 분비 억제
95번째 줄:
 
|-
| 단백질 || [[콜레시스토키닌]] || CCK || [[십이지장]] || || || [[이자 (해부학)|이자]]의 소화효소 방출 촉진
[[쓸개]]에서 [[담즙]]분비 촉진
[[배고픔]] 억제
110번째 줄:
 
|-
| 단백질 || [[그렐린]] || || [[위]] || P/D1 세포 || || [[식욕]] 촉진,
[[뇌하수체#뇌하수체 전엽|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123번째 줄:
 
|-
| 단백질 || [[성장 호르몬]] || GH, hGH || [[뇌하수체#뇌하수체 전엽|뇌하수체 전엽]] || 성장자극세포 || || 성장 및 세포분열 촉진
간에서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1) 분비 촉진
 
133번째 줄:
남성: 라히디히 세포의 [[정자]] 세포 생산 촉진
|-
| 단백질 || [[파라토르몬]] || PTH || [[부갑상선]] || || cAMP || 혈중 [[칼슘|Ca<sup>2+</sup>]]농도 증가:
* [[용골세포]] 자극 (간접적 효과)
* [[신장]]에서 Ca<sup>2+</sup> 재흡수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