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름순 항성 목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Unlerat (토론 | 기여)
오타 수정
태그: m 모바일 웹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21번째 줄:
* 보통의 항성 목록에서는 [[쌍성]]을 하나처럼 취급하는 경우가 많으나, 아래 목록에서는 분리하여 실었다.
* 항성진화 모형과 [[하야시 주시로|하야시]]의 불안정대에 기초하여, 우리은하 내의 별들은 태양 반지름의 약 1,500 배를 넘지 못한다는 예측에 대한 이론적 추측이 있다. 정확한 한계에 대해서는 별의 [[중원소 함량]]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마젤란 성운]]에 있는 초거성들의 약간씩 다른 온도 및 밝기 한계를 가진다. 한계를 넘는 별들은 거대한 방출과 단 몇달 만의 분광형 변화를 겪는다.
* 마젤란 은하에 대한 탐사는 많은 적색초거성을 목록에 수록하였고 이들 중 44 개는 그 크기가 최소 태양의 700 배(아래 표 구분행)에서 최대 1,200~1,300 배에 이른다.<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Levesque | first1 = E. M.
| last2 = Massey | first2 = P.
| last3 = Olsen | first3 = K. A. G.
| last4 = Plez | first4 = B.
| last5 = Meynet | first5 = G.
| last6 = Maeder | first6 = A.
| doi = 10.1086/504417
| title = The Effective Tempera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agellanic Cloud Red Supergiants: The Effects of Metallicity
| journal = The Astrophysical Journal
| volume = 645
| issue = 2
| pages = 1102
| year = 2006
| pmid =
| pmc =
48번째 줄:
! 참고
|-
|width=250| [[방패자리 UY]] || 1,708<ref name=torres2013>{{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Arroyo-Torres | first1 = B.
| last2 = Wittkowski | first2 = M.
| last3 = Marcaide | first3 = J. M.
| last4 = Hauschildt | first4 = P. H.
| title = The atmospheric structure and fundamental parameters of the red supergiants AH Scorpii, UY Scuti, and KW Sagittarii
| doi = 10.1051/0004-6361/201220920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54
| pages = A76
| year = 2013
| pmid =
| pmc =
}}</ref> || ±192 태양반경 정도 크기 계산 또는 측정의 오류가 있다. 만약에 크기가 최소라면 궁수자리 VX와 비슷할 것이다.
|-
| [[백조자리 NML]] || 1,650<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Zhang | first1 = B.
| last2 = Reid | first2 = M. J.
| last3 = Menten | first3 = K. M.
| last4 = Zheng | first4 = X. W.
| last5 = Brunthaler | first5 = A.
| year = 2012
| title = The distance and size of the red hypergiant NML Cygni from VLBA and VLA astrometry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44
| pages = A42
| arxiv = 1207.1850
| bibcode = 2012A&A...544A..42Z
| doi = 10.1051/0004-6361/201219587
}}</ref> || 2013년 1월 기준으로 관측된 항성 중 부피가 가장 큰 [[극대거성]]으로 추정된다.
|-
| [[카시오페이아자리 PZ]] || 1,565<ref name=levesqueetal2005/><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Kusuno | first1 = K.
| last2 = Asaki | first2 = Y.
| last3 = Imai | first3 = H.
| last4 = Oyama | first4 = T.
| title = Distance and Proper Motion Measurement of the Red Supergiant, Pz Cas, in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H2O Maser Astrometry
| doi = 10.1088/0004-637X/774/2/107
| journal = The Astrophysical Journal
| volume = 774
| issue = 2
| pages = 107
| year = 2013
| pmid =
| pmc =
96번째 줄:
|-
| [[WOH G64]] || 1,540<ref name="Levesque2009">
{{저널 인용
{{cite journal
|title=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d Supergiant WOH G64: The Largest Star Known?
|journal=Astronomical Journal
106번째 줄:
|arxiv = 0903.2260 }}</ref> || [[대마젤란 은하]]에서 가장 덩치가 큰 별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위치 및 움직임이 비정상적이며, 단순히 전면(前面)의 헤일로 거성일 가능성도 있다.
|-
| [[웨스터룬드 1-26]] || 1,530<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Clark | first1 = J. S.
| last2 = Ritchie | first2 = B. W.
| last3 = Negueruela | first3 = I.
| last4 = Crowther | first4 = P. A.
| last5 = Damineli | first5 = A.
| last6 = Jablonski | first6 = F. J.
| last7 = Langer | first7 = N.
| title = A VLT/FLAMES survey for massive binaries in Westerlund 1
| doi = 10.1051/0004-6361/201116990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31
| pages = A28
| year = 2011
| pmid =
| pmc =
|arxiv = 1105.0776 |bibcode = 2011A&A...531A..28C }}</ref><ref>{{cite web인용|url=http://www.aanda.org/index.php?option=com_article&access=doi&doi=10.1051/0004-6361/201116990&Itemid=129|eprint=1209.6427v1|author1=Fok|author2=Jun-ichi Nakashima|author3=Yung|author4=Chih-Hao Hsia|author5=Shuji Deguchi|title=Maser Observations of Westerlund 1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Maser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Associated with Massive Clusters|class=astro-ph.SR|year=2012}}</ref><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Clark | first1 = J. S.
| last2 = Ritchie | first2 = B. W.
| last3 = Negueruela | first3 = I.
| title = A serendipitous survey for variability amongst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Westerlund 1
| doi = 10.1051/0004-6361/200913820
| journal = Astronomy and Astrophysics
| volume = 514
| pages = A87
| year = 2010
| pmid =
| pmc =
|arxiv = 1003.5107 |bibcode = 2010A&A...514A..87C }}</ref> || 이 별은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는 특이한 별로 매개변수들은 매우 불확실하다. 스펙트럼은 변하나 밝기는 일정하다.
|-
| [[궁수자리 VX]] || 1,520<ref name=mauron>{{cite web인용|eprint=1010.5369|url=http://arxiv.org/abs/1010.5369|author1=Nicolas Mauron|author2=Eric Josselin|title=The mass-loss rates of red supergiants and the de Jager prescription|class=astro-ph.SR|year=2010}}</ref> || 수축과 팽창에 따라 밝기가 크게 차이 나는 맥동변광성이다.
|-
| [[세페우스자리 VV|세페우스자리 VV A]] || 1,475 || [[세페우스자리 VV]] 쌍성계 중 밝은 A로, 짝별과의 거리는 매우 가까우며 A 자체는 심하게 찌그러져 있는데 이는 A의 질량 일부가 짝별 B로 흘러들어 가기 때문으로 보인다.
142번째 줄:
| [[세페우스자리 RW]] || 1,435 || 밝기(최소 3배 차이)와 분광형(G8에서 M까지 변한다.)이 크게 변하므로 크기 역시 크게 변할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가장 밝아졌을 때의 분광형과 표면 온도가 불확실하므로 앞의 반지름 수치는 단순 예측치에 불과하다.
|-
| [[큰개자리 VY]] || 1,420|| 관측사상 가장 큰 별로 알려진 적도 있으나 그 크기가 [[항성진화]] 이론에 따르면 지나치게 거대했다. 더 정교한 관측 결과 반지름은 예전 측정치보다 많이 줄어들었다.<ref>{{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Wittkowski | first1 = M.
| last2 = Hauschildt | first2 = P. H.
| last3 = Arroyo-Torres | first3 = B.
| last4 = Marcaide | first4 = J. M.
| title = Fundamental properties and atmospheric structure of the red supergiant VY Canis Majoris based on VLTI/AMBER spectro-interferometry
| doi = 10.1051/0004-6361/201219126
| journal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540
| pages = L12
| year = 2012
| pmid =
| pmc =
|arxiv = 1203.5194 |bibcode = 2012A&A...540L..12W }}</ref><ref name="Choi">
{{저널 인용
{{cite journal
|title=Distance to VY VMa with VERA
|publisher=Publications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179번째 줄:
| [[전갈자리 AH]] || 1,411<ref name=torres2013/> || 전갈자리 AH는 광학 대역에서 거의 3 등급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총 광도의 20%로 측정되었다. 직경의 변화는 온도 또한 변화하기 때문에 분명하지 않다.
|-
| [[센타우루스자리 V766]] (HR 5171 A) || 1,316<ref>{{Cite저널 journal인용
| doi = 10.1051/0004-6361/201322421
| title = The yellow hypergiant HR 5171 A: Resolving a massive interacting binary in the common envelope phase
195번째 줄:
}}</ref> || HR 5171 A는 근접쌍성계에 있는 매우 찌그러진 모양의 별으로, 짝별에게 질량을 잃고 있다.
|-
| [[궁수자리 KW]] ||1,235<ref name=torres2013/><ref name=levesqueetal2005>{{Cite journal저널 인용
| last1 = Levesque | first1 = E. M.
| last2 = Massey | first2 = P.
| last3 = Olsen | first3 = K. A. G.
| last4 = Plez | first4 = B.
| last5 = Josselin | first5 = E.
| last6 = Maeder | first6 = A.
| last7 = Meynet | first7 = G.
| doi = 10.1086/430901
| title = The Effective Temperature Scale of Galactic Red Supergiants: Cool, but Not as Cool as We Thought
| journal = The Astrophysical Journal
| volume = 628
| issue = 2
| pages = 973
| year = 2005
| pmid =
| pmc =
222번째 줄:
| [[백조자리 BI]] || 1,078<ref name=levesqueetal2005/><ref name=mauron/> ||
|-
| [[베텔게우스]] || 1,075<ref>{{Cite저널 journal인용
| doi = 10.1051/0004-6361/201118002
| title = 3D simulations of Betelgeuse's bow shock
238번째 줄:
| [[용골자리 CK]] || 1,060<ref name=levesqueetal2005/> ||
|-
| [[세페우스자리 뮤]]([[윌리엄 허셜|허셜]]의 석류석 별) || 1,035<ref name=levesqueetal2005/><ref name=aaa540_2_99>{{Cite journal저널 인용| first=Takashi | last=Tsuji | title=Water in Emission in the Infrared Space Observatory Spectrum of the Early M Supergiant Star μ Cephei| 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 volume=540| issue=2 | pages=99–102 | year=2000 | bibcode=2000ApJ...540L..99T | doi=10.1086/312879|arxiv = astro-ph/0008058 }}</ref> ||
|-
| [[페르세우스자리 S]] || 1,005<ref name=levesqueetal2005/> || 페르세우스자리 [[이중성단]]에 있다.
248번째 줄:
| [[백조자리 RW]] || 980<ref name=levesqueetal2005/> ||
|-
|[[GCIRS 7]] || 960<ref name=paumard>{{Cite저널 journal인용|last1=Paumard |first1=T. |last2=Pfuhl |first2=O. |last3=Martins |first3=F. |last4=Kervella |first4=P. |last5=Ott |first5=T. |last6=Pott |first6=J.-U. |last7=Le Bouquin |first7=J. B. |last8=Breitfelder |first8=J. |last9=Gillessen |first9=S. |last10=Perrin |first10=G. |last11=Burtscher |first11=L. |last12=Haubois |first12=X. |last13=Brandner |first13=W. |title=GCIRS 7, a pulsating M1 supergiant at the Galactic centre. Physical properties and age |journal=Astronomy & Astrophysics |volume=568 |issue=85 |pages=A85 |arxiv=1406.5320 |year=2014 |doi=10.1051/0004-6361/201423991 }}</ref>
|-
| [[안타레스]] || 883 ||
|-
| [[파리자리 세타]] || 878
|-
| [[용골자리 V602]] || 860<ref name=levesqueetal2005/> ||
311번째 줄:
| 저널 = Astronomy & Astrophysics
| volume = 387
| 쪽 = 151-161
| 발행년도 = 2001-11-13
| doi = 10.1051/0004-6361:20020295
487번째 줄:
* [[겉보기 등급순 별 목록]]
* [[절대 등급순 별 목록]]
* [[질량이 큰 별 목록]]
* [[가까운 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