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로셸 공성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문맥 손질 및 종교적 관점 보충
21번째 줄:
}}
 
'''라로셸 공성전'''은 1627년-1628년까지 프랑스 국왕 [[루이 13세]]의 국왕군과 [[라로셸]](La Rochelle)의 [[위그노]]들(Huguenots) 사이에서 일어난 전투이다. 이 공성전은 프랑스의 가톨릭과로마 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사이에서 일어난 긴장의 절정에서 발생했고, 루이 13세와 가톨릭의 승리로 끝났다.
 
== 배경 ==
[[파일:Entrance to La Rochelle harbour Claude Lorrain 1631.JPG|thumb|left|공성전 기간 라 로셸. [[클로드 로랭]]의 세부묘사 ''[[:File:Siege of La Rochelle by Claude Lorrain Le Louvre.jpg|Le siège de La Rochelle]]'', [[루브르 박물관]].]]
 
프랑스의 [[앙리 4세]](Henry IV of France)가 공포한 [[낭트 칙령]](Edict of Nantes)에 의해 위그노에게 많은 특권이 부여되었다. [[라 로셸]]은 위그노의개신교를 믿는 위그노들의 자치가 이루어져 그들의 본거지가 되었다. 이 지역은 위그노의 해상세력의 중심이 되었고, 중앙정부에 대한 저항의 거점이 되었다.<ref>''Warfare at sea, 1500-1650: maritime conflicts and the transformation of Europe'' by Glete J Staff, Jan Glete Routledge, 2002 ISBN 0-203-02456-7 p.178 [http://books.google.com/books?id=j4WGsMa6bmcC&pg=PA178]</ref> [[라 로셸]]은 당시 도시민이 30,000명을 넘어 프랑스에서 두 번째 혹은 세 번째에 해당하는 거대한 도시가 되었다.
 
1610년 가톨릭교도에 의해 앙리 4세가 암살되고, 모후 [[마리 드 메디시스]](Marie de' Medici)의 섭정과 동시에 [[루이 13세]]가 즉위하자 개신교에 대한 관용 정책은 친가톨릭 정책으로 회귀하고 프로테스탄트의 입장은 약화되었다. 이 때문에 [[로앙 공작 앙리]](Henri de Rohan)와 그의 동생 [[수비즈 공작 벤자민 드 로앙|수비즈]] 공작은 프로테스탄트의 저항세력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1621년 [[위그노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루이 13세는 1621년-1622년에 [[생장당젤]](Saint-Jean d'Angély)을 포위해 함락시키고, [[라 로셸의 봉쇄]]를 기도했으나 전황이 교착되어 [[몽페리에 협정]]( Treaty of Montpellier)을 맺고 종결시켰다.
 
1625년 로앙과 수비즈은 다시 무장봉기를 일으켰으나, 루이 13세에게 [[레 섬의 점령]](Capture of Ré island)에 의해 종결되고 말았다. 이 사건 후, 루이 13세는 위그노의 제압을 바라고 재상 [[리슐리외 추기경]]도 위그노 제압이 왕국의 최우선과제라고 선언했다.
44번째 줄:
{{multiple image| align = right | direction = horizontal | header = | header_align = left/right/center | footer = '''왼쪽 그림''': [[세블랑주]]에 상륙한 버킹엄 (세부).<br /> '''오른쪽 그림''': [[생마르탱드레 공성전]]에서 영국 군대.| footer_align = left | image1 =Landing_of_Buckingham_in_Sablanceau.jpg| width1 = 200 | caption1 = | image2 =English Siege_of_Saint_Martin_1627.jpg| width2 = 233 | caption2 = }}
 
잉글랜드 왕 [[찰스 1세]](Charles I)는 총신 [[제1대 버킹엄 공작 조지 빌리어즈]](George Villiers, 1st Duke of Buckingham)가 이끄는 80척의 함대를 라 로셸로셸의 위그노 반란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했다. 1627년 6월 버킹엄 공작은 라 로셸 사이의 연락선을 확보하고 도시를 지원하기 위해 6,000명의 부대를 연안에 있던 [[일 드 레]](Île de Ré)의 섬에 상륙시켜 [[영국-프랑스 전쟁 (1627년-1629년)]]이 시작되었다.
 
당초 라 로셸은 국왕과 전쟁을 하는 것을 두려워해 버킹엄 공작과 동맹선언을 거절하고, 버킹엄 함대의 입항을 거부했으나 9월에 국왕군과 첫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에 동맹을 밝히게 되었다.
61번째 줄:
한편 국왕군은 [[앙굴렘 공작 샤를 드 발루아|앙굴렘의 샤를]](Charles of Angoulême)이 이끄는 병사 7,000명, 기병 600명, 포 24문의 병력을 갖고 1627년 8월부터 라 로셸의 포위를 시작했다. 국왕군은 본그레느(Bongraine;현재 [[레 미님]](Les Minimes)과 [[포트 루이]](Fort Louis)를 증강했다.
 
1627년 9월 10일 라 로셸에서 포트 루이의 국왕국을 상대로 최초의 첫 대포가 발사되면서 제3차 [[위그노의 반란]]이 시작되었다. 라 로셸은 프랑스의 위그노개신교인들의 도시 가운데 최대 도시였고, 위그노 저항의 본거지였다. 포위군은 리슐리외 추기경이 총사령관이 되었다.(당시 왕은 부재 중이었다.)
 
전투상태에 돌입한 국왕군의 공병부대는 길이 12km의 참호를 파서 요새 11개소, 보루 18개소에 이르는 포위선을 구축해 도시를 고립시켰다. 포위 요새들은 1628년 4월 전부 완성되어 병사 3,000명이 배치되었다.
72번째 줄:
[[파일:Louis XIII at the Siege of La Rochelle 17th century.jpg|thumb|left|라 로셸 공성전의 루이 13세.]]
==== 네덜란드 지원 ====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는 프로테스탄트의 라 로셸을 제압하기 위해 같은 프로테스탄트의 암스테르담 도시에서 선박을 임대했다. 그 때문에 프로테스탄트인 네덜란드의 선박에서 프랑스 병사들이 로마 가톨릭의 설교를 받는 것을 허락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가 암스테르담 시의회에서 논의되었다. 논의 결과 허용하지 않는다가 되었다. 네덜란드 선박은 프랑스 병사를 라 로셸에 수송했다. 프랑스는 [[합스부르크 왕가]]와 적대하는 네덜란드의 동맹국이되었다동맹국이 되었다.
 
==== 스페인 동맹 ====
91번째 줄:
[[파일:Entree de Louis XIII a La Rochelle par Pierre Courtilleau.jpg|thumb|라 로셸에 입장하는 루이 13세, [[피에르 Courtilleau]].]]
 
라 로셸의 시민은개신교인들은 잉글랜드의 구원이 서서히 절망적이 되는 와중에도 [[장 기통]] 시장 지휘하에서 14개월간 저항을 계속했다. 공성전의 전투와 기아, 질병에 의해 라 로셸의 인구는 27,000명에서 5,000명으로 감소했다.
 
항복은 무조건이었고, [[알레의 화의]]( Peace of Alais)의 조건에 의해 위그노는 그들의 영지, 정치적 그리고 군사적 여러 특권을 잃어버리고, [[낭트 칙령]]에 의해 허락되었던 신앙의 자유만 남게 되었다. 그들은 국왕의 자비 아래 놓이게 되었고, [[루이 14세]]가 [[퐁텐블로 칙령]]으로 낭트 칙령을 철폐하고 개신교인들에 대해 가혹한 탄압을 시작했을 때는 저항할 수단이 없었다.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라 로셸 공성전의 결과는 개신교인들의 정치적 기반을 무너뜨려 이후 [[퐁텐블로 칙령]]과 로마 가톨릭교회로의 강제 개종의 시작을 의미했다. 또 국왕이 프랑스 전 지역을 장악해 지방의 저항을 허용하지 않고 강력한 중앙정부를 이룰 수 있는 획기적인 일이 되었다.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이 전투는 [[절대왕정]] 확립의 기초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프랑스의 제도에 장기적인 영향도 있었다.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1627년 포위중인 전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3번째 줄:
 
== 화폐 ==
공성전 시기 로마 가톨릭교회와 왕국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공성전의 모습을 묘사한 일련의 [[프로파간다]]의 동전을 주조했다. 이들 동전에는 왕국의 권력을 유익한 빛으로 묘사하는 동시에 도시와 영국의 노력을 하찮은 빛으로 보이게 하는 상징적인 방법을 사용해 공성전을 묘사했다.<ref>[[Musée d'Orbigny-Bernon]] exhibit</ref>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