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bend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영어 위키백과 참고하여 {{Authority control}} 추가
1번째 줄:
[[파일:Huang Zong-Xi.jpg|right|thumb|180px|황종희]]
'''황종희'''(黃宗羲, [[1610년]] ~ [[1695년]])는 중국 [[명나라|명]]말 [[청나라|청]]초의 학자이자 사상가이다. [[저장 성|저장성]] [[위야오 현]] 출신이며, 자는 태충(太沖), 호는 남뢰(南雷)·이주(梨州)이다.
 
== 생애 ==
9번째 줄:
== 저서 ==
=== 《명이대방록》 ===
[[1663년]](강희 2년)에 나온 1권짜리 정치론 책이다. 명이(明夷)라는 것은 [[역경|역]](易)의 괘명(卦名)으로서 ‘밝은 것이(明) 손상된다(夷)’를 뜻하며, 현명한 신하가 어리석은 군주 밑에서 명지(明知)를 표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사상(事象)을 가리킨다. 대방(待訪)이란 명군(明君)이 나타나서 유덕(有德)한 선비에게 천하를 통치하는 대법(大法)을 묻고자 그 내방(來訪)을 기다림을 뜻한다. 황종희는 지금은 명이에 해당하는 세상이나, 장차 명군의 출현에 의하여 유덕한 선비의 치세대법(治世大法)이 소생하리라는 기대하에 본서를 이와 같이 명칭했다.
 
내용은 원군(原君)·원신(原臣)·원법(原法)·치상(置相)·학교(學校)·취사(取士) (2編)·건도(建都)·방진(方鎭)·전제(田制) (3編)·병제(兵制) (3編)·재계(財計) (3編)·서리(胥吏)·엄관(奄官) (2編)의 13목 21편으로 되어 있고, 각목(各目)을 통하여 명대 [[전제군주제|전제 체제]]의 악폐가 통렬하게 비판하고, 그의 이상과 그것이 실현되기 위한 구체적 정책론을 펴고 있다. 본서는 과거의 역사에 대한 광범한 지식에 근거하여 저술된 것으로서, 독선적인 군주전제를 반대하고 인민을 위한 정치를 강조한 점에서 혁명적이라고도 할 만한 성격을 갖고 있다. 후에 청말의 개량파(改良派), 혁명파(革命派)는 이것을 [[프랑스]]의 [[장자크 루소|루소]]에도 비교할 만한 [[민주주의]], 혁명주의의 저서로 크게 취급하여 황종희를 ‘중국의 루소’라 불렀다.
 
=== 명유학안 ===
전체 62권으로서 [[1676년]](강희 15년) 이후에 완성 되었다. 명1대(明一代)에 강학(講學:禪宗的인 直觀을 중히 여기고 문답이나 강연식으로 학문을 논하는 학풍)의 제가(諸家)의 문집(文集)·어록(語錄)을 탐구하고, 그 학문의 계통을 변별하여 본서에 수록하였다.
 
내용은 오여필(吳與弼)로부터 유종주까지의 196인의 학자를 숭인학안(崇仁學案)·백사학안(白沙學案)·하동학안(河東學案)·삼원(三原)학안·요강(姚江)학안·절중왕문(浙中王門) 학안·강우왕문(江右王門)학안·남중왕문(南中王門)학안·북방왕문(北方王門)학안·민월왕문학안·지수(止修)학안·태주(泰州)학안·감천(甘泉)학안·제유(諸儒)학안·동림(東林)학안·즙산 학안의 16학안(學案)으로 나누어, 각 학자에 대하여 각기 학안의 처음에 그 전기를 기술하고 다음에 학설을 요약하고 최후에는 비판을 첨가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형식으로서는 각 학자의 학설을 평범하게 나열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선택이나 배열 속에 그들의 학문에 대한 황종희의 평가가 보인다. 본서 이전에 이미 동종의 저작으로서 주여등(周汝登)의 《성학종전》(聖學宗傳, 明末), 손기봉(孫奇逢)의 《이학종전(理學宗傳)》(淸初)이 있었으나 황종희는 이것들에 불비한 점이 많았기 때문에 본서를 저작한 것인데, 중국 최초의 체계적 학술서로서 정평이 있다.
 
== 참고문헌 ==
24번째 줄:
 
 
{{Authority control}}
[[분류:1610년 태어남]]
[[분류:1695년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