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관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구게(公家)의 최고 관위인 간파쿠(関白)로써 천하통일을 달성했지만, 도요토미 종가(宗家)를 셋칸케, 방계 서류(庶流) 및 도쿠가와(徳川) ・ 마에다(前田) ・ 우에스기(上杉) ・ 모리(毛利) ・ 우키타(宇喜多) 등의 집안을 세이카게(清華家)의 격식에 준하는 것으로 끌어올리는 등 여러 구니의 다이묘에게 조정의 관위를 내렸다. 고대 율령 관위 체계 아래 다이묘들을 포섭해 그들을 자신의 통제 아래 끌어들이고자 한 것이었다. 그러나 애초에 구게에게 줄 관위도 부족하던 판국에 무가의 인물이 고위 임관되는 경우가 차츰 늘면서 관위 승진 체계가 기능 마비를 일으키고, 그 결과 대신의 임용 요건을 가진 구게가 부족한 지경이 되었고 히데요시가 죽었을 무렵에는 내대신(内大臣)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최고위 관위 보유자가 되는 이상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히데요시는 마찬가지로 해외지향을 외친 다이묘였던 무장 [[가메이 고레노리]](亀井茲矩)에 대해 율령에 정해져 있지도 않은 관직인 류큐노카미(琉球守)<ref>류큐는 지금의 오키나와로 청 왕조나 조선에도 사절을 보내 외교관계를 수립한, 메이지 시대까지 독자적인 왕이 존재했던 독립 국가였다.</ref> 다이쥬노카미(台州守)<ref>다이쥬는 태주(台州), 즉 지금의 중국 [[저장 성]](浙江省) [[타이저우 시 (저장 성)|타이저우 시]](台州市).</ref> 같은 이례적인 칭호를 허용하기도 했다. 이는 엄밀히 말해 조정에 있어 중대한 위법 사태였고, 히데요시의 해외 진출이 좌절되었을 때 가메이의 자칭도 일본 국내의 관직으로 회귀하였다.
 
== 주석 ==
<references/>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