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추측만으로 편집하지 마세요. 증산 맞음
잔글 그 쪽의 주장도 모순인게 '금장'도 갑자기 전부다 '서경주'로 바뀐 전력이 있습니다. 한 역사에 두 개의 역명부터 이상합니다.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
'''정선선'''(旌善線)은 [[강원도 (남)|강원도]] [[정선군]]의 [[민둥산역|증산역]]과 [[아우라지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태백선]]의 지선이다.
|노선명 = 정선선
|노선명2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설명2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종류 = [[지선철도]]
|나라 = {{KOR}}
|체계 =
|상태 = 영업 중
|기점 = [[민둥산역]]<br />([[강원도]] [[정선군]] [[남면]])
|종점 = [[구절리역]]<br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역수 = 7
|개통일 = [[1967년]] [[1월]]
|폐지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 = 45.9 km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435 mm
|선로 = [[단선 (철도)|단선]]
* |전철화 구간 := 없음
|신호 =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 통표 폐색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정선선'''(旌善線)은 [[강원도 (남)|강원도]] [[정선군]]의 [[민둥산역|증산역]]과 [[아우라지역]]을 연결하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태백선]]의 지선이다.
 
{{BS-map
|title=정선선(증산역―아우라지역민둥산역―아우라지역)
|title-color=white
|title-bg=#0066b3
줄 9 ⟶ 40:
|map=
{{BS|STR||[[태백선]]([[영월역]] 방면)}}
{{BS|BHF|0.0|증산민둥산}}
{{BS|ABZrf||[[태백선]]([[사북역]] 방면)}}
{{BS|SBRÜCKE||[[국도 제38호선]]}}
줄 39 ⟶ 70:
|bottom=* 아우라지역과 구절리역 구간은 아리아리호 열차가 운행됨
}}
 
== 노선 정보 ==
* 노선 거리 : 38.7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
* 역 수 : 7
* 복선 구간 : 없음
* 전철화 구간 : 없음
* 보안 장치 : 증산 - 정선 : ATS | 정선 - 아우라지 : 통표 [[폐색]]
 
== 역 목록 ==
줄 62 ⟶ 83:
!비고
|-
|align="center"|[[민둥산역|증산]]
|align="center"|Jeungsan
|align="center"|甑山
줄 71 ⟶ 92:
|align="center" rowspan=9|[[강원도 (남)|강원도]]
|align="center" rowspan=9|[[정선군]]
|align="center"|태백선에서는 민둥산역
|-
|align="center"|[[별어곡역|별어곡]]
줄 141 ⟶ 162:
 
== 노선 특징 ==
이 노선은 평시에는 [[민둥산역|민둥산]] - [[아우라지역|아우라지]]간 [[정선아리랑열차]]가 하루 2왕복 운행하는 것이 정기 운행의 전부이며, 이 중 1왕복은 [[민둥산역]]을 지나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한다. 그 외에 화물 일부<ref>주로 쇄재자갈선의 자갈을 수송하는 열차이다.</ref> 와 관광 목적의 임시열차가 운행된다. 과거에는 구절리에서 출발하여 [[태백선]] 및 [[중앙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통일호]]가 하루 1회 운행하였지만 그나마도 새벽 3:50에 [[구절리역]]을 출발했기 때문에<ref>1996년 중앙, 태백, 영동선 열차 시각표에는 청량리발 철암/구절리행 통일호(이 열차는 1,2,3호차는 구절리역까지, 4,5,6호차는 [[철암역]]까지 운행한 복합열차였다.)가 22:00에 출발하여 구절리역에 03:14에 도착하고 03:50에 구절리역을 발차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ref><ref>[[구절리역]]에 [[전차대]], 승무사무소 및 차량 정비 시설이 없고, 당시 [[민둥산역|증산역]]에서 철암으로 분리 운행된 통일호 열차와 합치는 시간을 맞추기 위해 [[청량리역 (지상)|청량리역]]에서 출발하여 구절리까지 들어온 열차는 바로 기관차의 위치를 반대로 바꾼 다음 나와야 했다.</ref> 수요는 많지 않았고, 연선의 침체 및 [[철도청]]의 장거리 통일호 감축에 따라 폐지되었다. 정선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비둘기호]] 열차가 운행한 노선이며, [[정선역|정선]] - 아우라지 구간은 정기 여객열차가 운행하는 구간에서 유일하게 통표 [[폐색]]을 사용하고 있다.
 
[[통일호]]가 폐지된 시점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는 이 구간에 전국 유일의 객차형 [[통근열차]]가 운행하였다. 이 열차는 비둘기호 시절의 별명을 따서 ‘꼬마열차’로 불리었으며, 노후한 최초기형의 [[새마을호]]<ref>[[1982년]]에 [[현대정공]]에서 제작하였고 퇴역 당시 [[무궁화호]] 특실이였다.</ref><ref>[http://club.paran.com/club/home.do?clubid=kicha-bbsView.do?menuno=21736-clubno=222-bbs_no=0LcDx 하이텔 철도사랑동호회 ‥ 파란 ∽ 클럽<!-- 봇이 붙인 제목 -->]</ref> 객차를 관광 목적에 맞게 개조하여 운영하였다. 이 객차는 제천열차승무사무소 소속 승무원이 승차하였으며, 제천역에서 태백선을 경유하여 영주역으로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 후부에 연결되어 증산역까지민둥산역까지 회송 운행했다.<ref>반대로 증산역에서민둥산역에서 제천역까지의 회송 운행은 다른 열차에 연결되지 않고 직접 회송 운행</ref> 그 당시에는 '정선아리랑 유람열차'로 불렸으며, 현재도 발전차 1량이 남아 무궁화호 등에 편성되고 있다. [[2008년]]부터는 이 구간에 통근열차의 운행이 중단되고, 그 대신 [[2015년]] [[1월 14일]]까지 무궁화호가 태백선을 따라 [[제천역]]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었다. 수도권 거주 정선선 관광객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09년]] [[7월 1일]]부터 [[서울역]] - [[아우라지역|아우라지]]간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 1왕복이 신설되었다가, [[2010년]] [[1월 5일]]부터 [[청량리역 (지상)|청량리역]]까지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고 이후 정선 5일장이 서는 날만 운행하는 것으로 축소되었으며 [[2015년]] [[1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운행을 중단하게 되었다.
 
또한, 열차운행이 폐지된 [[아우라지역|아우라지]] - [[구절리역|구절리]] 간에는 관광용의 레일바이크 및 열차 아리아리호가 운행중에 있다.
 
2005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정선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ref>당시에는 증산 (민둥산) - 아우라지간 통근열차가 하루 3왕복 운행하였다.</ref>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5pt;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줄 158 ⟶ 179:
!운행총계
|-
|align="center"|증산민둥산 - 아우라지
|align="center"|12
|align="center"|2
줄 186 ⟶ 207:
== 역사 ==
=== 개요 ===
연선의 석탄 탄광 개발에 맞추어, 이를 산업시설에 수송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 최초에는 영월선 및 [[함백선]]의 연장 노선인 정선선으로 처음에 건설이 이루어졌다. 이후 고한선과 황지지선간의 연결이 이루어져 [[태백선]]으로 명명되면서, 정선선은 증산 (민둥산)~여량간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가장 최후까지 [[비둘기호]]가 운행하던 노선으로, 적자 운송의 대표적 노선으로 인지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지자체의 관광 진흥 노력에 따라 관광노선으로서의 입지를 점차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연혁 ===
* [[1962년]] [[5월 10일]] - 정선선 예미~정선간 착공.
* [[1966년]] [[1월 10일]] - 예미~증산간증산 (민둥산)간 개통.
* [[1966년]] [[2월 28일]] - 정선~여량간 착공.
* [[1967년]] [[1월 20일]] - 증산 (민둥산)~정선간 22.6km6&nbsp;km 완공.<ref>철도청 고시 제305호(1967.01.13)</ref>
* [[1969년]] [[10월 15일]] - 정선~나전간 9.9km9&nbsp;km 완공.<ref>철도청 고시 제151호(1969.10.08)</ref>
* [[1971년]] [[5월 21일]] - 나전~여량간 6.1km1&nbsp;km 완공.<ref>철도청 고시 제23호(1971.05.12)</ref>
* [[1973년]] [[10월 16일]] - 제천~백산간이 [[태백선]]으로 명명됨에 따라 정선선은 증산 (민둥산)~여량으로 축소.
* [[1974년]] [[5월 4일]] - 여량~구절리간 8.0km0&nbsp;km 완공.
* [[2000년]] [[1월 1일]] - 여량역을 아우라지역으로 개명.
* [[2000년]] [[11월 14일]] - 증산 (민둥산)~구절리간 [[비둘기호]] 폐지로, 전 노선에서 [[비둘기호]] 등급 폐지.
* [[2002년]] [[8월 31일]] - [[태풍 루사]] 피해로 인해 정선~구절리간 열차 운행 중단.
* [[2004년]] [[2월 10일]] - 정선~구절리간 열차 운행 재개.
* [[2004년]] [[6월 27일]] - 별어곡~선평간 낙석사고 발생. 동년 [[7월 9일]]까지 운행 중단.
* [[2004년]] [[9월 23일]] - 구절리역 및 여량~구절리간 7.2km2&nbsp;km 영업중지<ref>사실상 계통폐지</ref>.
* [[2005년]] [[7월 1일]] - 정선선 레일바이크 운행 개시<ref>아우라지~구절리 간 한정운행</ref>.
* [[2006년]] [[8월 1일]] - 관광열차 아리아리호 아우라지~구절리 간 운행 개시.
* [[2007년]] [[5월 5일]] - 정선선 관광열차<ref>서울~정선 새마을호</ref> 에 MTB열차 운행 개시.
* [[2008년]] [[1월 1일]] - 정선선 전용 통근열차 객차 운행 중지, 제천~증산 (민둥산)~아우라지 무궁화호 운행개시.
* [[2009년]] [[7월 1일]] - 서울~아우라지 무궁화호 임시열차 운행개시.<ref>[[2010년]] [[4월 1일]]부로 정기열차화되어 1643 1644의 열차번호가 부여되었다.</ref>
* [[2010년]] [[1월 5일]] - 서울~아우라지 무궁화호가 청량리~아우라지로 단축. 이후 정선 5일장이 서는 날만 운행하게 됨.
줄 215 ⟶ 236:
 
== 미래 ==
현재 정선선에 대한 개량, 전철화 등의 논의는 전무한 상황이다. 한편 [[강원도]], 정선군 의회 등에서는 구절리~횡계 간 32.4km4&nbsp;km 의 철도 노선 신설을 여러 차례 요청한바 있으며, 특히 동계 올림픽 유치와 연계하여 추진을 시도하였으나, 경제적 타당성 등의 이유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http://council.jeongseon.go.kr/pages/g/g_content01.html?mode=view&thid=273].
 
== 주석 ==
줄 224 ⟶ 245:
* [[태백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한국철도공사 노선 목록}}
{{정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