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91번째 줄:
[[1699년]] 이잠은 정시한을 예방하여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는 퇴계학 수용의 증거로 지목된다.<ref name="신항수1"/> 정시한은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인물 중의 한사람이었다. 이서는 주희의 경전 해석을 따르면서 이황의 학문을 수용하였다. 이익 단계인 [[1710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저술을 하면서 학파를 개창하기에 이르렀다. [[퇴계학]]을 수용하고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성과를 낸 [[이익 (1681년)|성호 이익]]은 이제 이황과 자신을 연결하고자 하였다.<ref name="신항수1"/> 그러나 [[윤휴]]의 학문이 다소 과격하고 급진적이라는 비판적인 견해가 계속 제기되자 이를 부담스럽게 느꼈던 [[이익 (1681년)|성호 이익]]은 학문적 전통을 [[윤휴]]에게서 찾던 형 섬계 [[이잠]]이나 [[유형원]] 등과 달리 [[허목]]을 거쳐서 [[퇴계 이황]]으로 연결하려 했다. 이러한 시도는 [이익의 스승 중 한사람인 [[이서우 (1633년)|이서우]]가 [[허목]]과 윤휴 모두에게서 수학한 것에서 근거로 삼았다.
 
[[1715년]]에서 [[1720년]] 사이 [[이익 (1681년)|성호 이익]]은 전대에 거리가 있었던 허목과 이하진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허목을 자신이 사숙한 스승으로 규정하였다.<ref name="신항수1"/> 이러한서인 시도는노론이 퇴계학으로율곡 자정한이이를 상대적으로자신들의 보수적인학문적 근기뿌리로 삼은 것에 대항해서, 이익은 서울 지역(近畿) 남인들의 학문적 근원을 이황에서 찾으려 시도했다. 이익은 47 논쟁에 관한 책을 쓰고, 또 이황의 글을 발췌한 {이자 수어}도 편찬한다. 이러한 시도는 서울지역 남인들에게 일반적으로 수용되었다.<ref name="신항수"/> 한편 이익은 [[허목]]의 후학으로 자정한 이후에도 경전해석이나 경세론 분야에서는 여전히 윤휴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전통적인 윤휴와의 계통을 강조하였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학문 경향을 보였다. [[윤휴]]를 강조하던 인사들이 신유 박해로 몰락하면서 성호 학파의 학통은 오로지 퇴계학과 관련된 내용으로 전승되게 된다.<ref name="신항수1"/>
 
[[이익 (1681년)|이익]]은 이황의 사상을 직접 계승하지는 않았으나 [[이익 (1681년)|이익]]의 스승 중 한명인 [[이서우 (1633년)|이서우]]가 [[허목]]의 문인이고, [[허목]]의 스승인 [[정구 (1543년)|정구]]는 이황의 문하에서도 배웠고, [[조식 (1501년)|조식]]의 문하에서도 공부하였다. [[이익 (1681년)|이익]]은 이 점을 들어 퇴계 이황과의 관련성을 계속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