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정약용
211.221.95.131(토론)의 15242304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다른 뜻|정약용 (드라마)||드라마}}
{{다른 뜻 넘어옴|다산}}
{{인물 정보
줄 19 ⟶ 18:
|자녀= 6남 3녀, 아들 정학연, 정학유, 손자 정유역
|부모= 정제권 / [[해남 윤씨]] 윤소온
|친척= 형제 큰형[[정약현]], [[정약전]], [[정약종]], 매형매부 [[이승훈]], 처남 이복형 [[이벽]], 5촌 [[윤지충]]
|서명=
|웹사이트=
줄 25 ⟶ 24:
[[파일:Geojunggi.png|200px|thumb|[[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경기도]] [[광주군 (경기도)|광주부]]에서 태어난<ref>정약용이 태어난 곳은 오늘날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이므로, 현재 남양주시에서는 정약용이 남양주시 촐신임을 [[지하철]] [[광고]] 등으로 선전하고 있다.</ref> [[조선 정조]] 때의 [[정치인|문신]]이다. [[실학|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정씨|나주]], [[자 (이름)|자]]는 미용(美庸), [[호 (이름)|호]]는 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삼미(三眉)·'''다산'''(茶山), 당호는 여유당(與猶堂)<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6JOc_A1762_1_0012162}}</ref> 이며,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중농주의]] [[실학자]]로 [[정전론|전제 개혁을 주장]]하며 [[조선]] [[실학]]을 집대성하였고, [[수원 화성]] 건축 당시 기중가설(起重架說)에 따른 활차녹로(滑車轆轤 : [[도르래]])를 만들고 그를 이용하여 [[거중기]]를 고안하여 건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또한, 유교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당대 조선을 지배한 주자학적 세계관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시도하였다. 문집으로 유배 생활 중 대부분이 저술된 《[[여유당전서]]》<ref>여유(與猶)는 “망설이면서(與), 겨울에 냇물을 건너는 것 같이 주저하면서(猶) 사방의 이웃을 두려워한다.”라는 뜻으로, [[노자]]가 지은 《[[도덕경]]》에 나오는 말이다.</ref>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