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3번째 줄:
== 역사 ==
 
[[네안데르탈인]]은 이미 죽은 자들을 매장할 때, 생전에 직접 사용했던 것을 함께 묻어주었다.<ref name="세계풍속사21"> {{서적 인용 |저자=파울 프리샤우어 |기타= [[이윤기]] 번역|제목=세계풍속사(상)|초판발행년도초판연도=1968 |발행일자날짜=1991-01-15|꺾쇠표=예|출판사=도서출판 까치|출판위치=서울 |id=ISBN 89-7291-011-2 |페이지=21쪽
|인용문=그러므로 죽은 자의 유해는 죽은 뒤에도 방해받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일을 할 수 있도록 그대로 두거나 또는 생전에 직접 사용했던 것을 전부 함께 묻어주었다. ... 네안데르탈인은 이미 죽은 자들에게 애정을 담아 매장할 때 그렇게 했다.}} </ref> 의도적인 매장이 분명한 최초의 흔적은 이스라엘의 카프제(Qafzeh)와 스쿨에 있는 12~9만 년 된 동굴에서 나왔다.<ref>피터 왓슨, 《생각의 역사1》(들녘, 2009) 50쪽 ISBN 978-89-7527-836-5 "의도적인 매장이 분명한 최초의 흔적은 이스라엘의 카프제와 스쿨에 있는 12~9만 년 된 동굴에서 나왔다." Paul Mellars, Chris Stringer, ''The Human revolu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89) ISBN 978-0-85224-646-7 214쪽에서 인용함. </ref>
신석기 시대 매장식 무덤에서 시신위에 꽃이 놓여 있었던 것이 발견되어 매장 의식이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국의 스톤헨지는 거대한 축제의 장소이자 장례 의식이 행해진 곳이었다고 한다.<ref>[https://archive.is/20120701120229/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615680 스톤헨지 관련기사]</ref>
고대 국가가 출현하면서 [[피라미드]], [[진시황릉]], [[고인돌]], [[장군총]] 등 거대한 통치자의 무덤이 건설되었다.
25번째 줄:
 
한국의 사족(士族)은 10촌(五世) 이내의 친족을 의친(懿親), 유복친(有服親)이라 하여 한 가족으로 간주했다. 종형제(從兄弟: 4촌형제)·질부(姪婦:3촌 조카며느리)의 상사(喪事)에 대공복(大功服: 9개월 상복), 종조부모(從祖父母:조부의 형제부부)·재종형제(再從兄弟: 6촌형제)·종질(從姪: 5촌조카)·종손(從孫:6촌손자)의 상사에 소공복(小功服: 5개월 상복), 종증조(從曾祖:증조부의 형제부부)·삼종형제(三從兄弟: 8촌형제)의 상사에 시마복(緦麻服: 3개월 상복)을 입었다.<ref>왕족은 지위와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었고, 서민은 부모의 상에도 100일상을 치루는 경우가 많아 물의가 잦았다.</ref>
장례방법이 매장(埋葬)을 하던 시대에서 화장(火葬)으로 바뀌었고 유골 처리도 자연으로 돌리는 자연장이 대세이며, 화장 및 납골문화가 확산되면서 묘지 증가에 따른 국토 훼손을 막을 수 있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12810241531118 묘지로 쓰이는 국토면적은 ‘한해 여의도의 57%’2010-01-28]</ref> <ref>[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886 이천, 장례문화 매장서 화장으로 유도 2015-01-07]</ref>
 
=== 일본 ===
70번째 줄:
=== 이슬람 ===
 
이슬람의 장례는 부활 신앙에 따라 땅에 시신을 모시는 매장이다. 염(殮)을 한 시신에 수의를 입히며 무덤안의 묘실에 모시며, 관을 사용하지는 않는다.<ref> [http://www.induskorea.eu/board/board.php?board=infomation&page=2&command=body&no=14 이슬람 장례문화 소개글]</ref>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