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야사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상호 비판: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10번째 줄:
 
== 상호 비판 ==
재야사학자들은 강단사학을 [[일제 강점기]]의 이론이나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아 [[단군]]을 [[신화]]로 매도하고 [[동이]], [[배달겨레]], [[한민족]]의 [[역사]]를 축소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단사학계는 재야사학이 《[[규원사화]]》나 [[20세기]]에 쓰여진 위서(僞書) 《[[환단고기]]》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성과를 무시하고, 지명의 유사성과 같은 단편적인 일치를 확대 해석하고 논리를 비약하여 [[한민족]]이 [[중국]] 대륙을 지배한 증거라고 내민다고 비판하고 있다. 재야사학자들은 강단사학계의 이런 비판에 대해, 강단사학이 [[낙랑군]]의 치소(治所)를 [[왕검성]]으로 비정하는 것이나 [[한사군]]의 [[현도군]] 초기 치소 위치를 비정하는 방법 등이야말로 단편적인 일치의 확대 해석이자 지명의 유사성에 기초한 논리 비약이라고 공박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4016938|제목=“동해가 아니라 한국해, 동해 대응전략 바꿔야” 재미사학자 폴김박사|언어=한국어|작성일자날짜=2011-08-11|출판사=뉴시스|확인일자=2012-01-03}}</ref><ref>최진섭, 《희망에 반하여 희망하라》, 1999년; 임지현, 《이념의 속살(억압과 해방의 경계에서)》, 2001년, 220쪽.</ref> 일각에서는 ‘재야사학’과 ‘강단사학’의 호칭을 아예 인정하지 않거나 반감이나 비판의 의미를 담기도 한다.<ref>[http://news.donga.com/3//20070615/8454473/1 ‘다시 보는 한국역사’ 연재 마친 신용하 석좌교수], 《동아일보》, 2009-09-27</ref>
 
재야사학자 [[이덕일]]은 [[한국]] 주류 사학계를 관통하는 두 가지 [[사관]]이 [[일제]] [[식민사관]]과 조선후기 노론사관이라고 주장한다. 노론의 후예들이 [[일제]] 조선사편수회에 가담했으며, [[광복]] 뒤에도 사학계 주류가 되어 명(明)에 대한 [[사대주의]]에서 [[친일]], 친미(親美)로 이어져 왔다는 게 주장의 요지이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75033.html|제목=식민사학 ‘만리장성’ 요동 밖으로 물렀거라|언어=한국어|작성일자날짜=2009-09-04|출판사=한겨레신문|확인일자=2012-01-03}}</ref>
 
반면, 재야사학은 과도한 [[민족주의]]적 성격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대사 서술과 같이 이데올로기에 근거해 역사적 사실을 재단(裁斷)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극우]]에 친화성을 띠는 재야사학자'라는 표현<ref>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3》, 1994.</ref> 이나 “새로운 신화 만들기”라는 비평<ref>강돈구, 〈새로운 신화 만들기-재야사학에 대한 또 다른 이해〉, 《정신문화연구》 제78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998년.</ref> 이 나오고 있다.
 
==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