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엔트로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46번째 줄:
{{본문|엔트로피}}
 
[[정보이론]]에서 ‘엔트로피’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섀넌의 공식이 열역학적 엔트로피의 공식과 상당부분 비슷하기 때문이다.<ref>{{저널 인용| last=Jaynes | first=E.T. | url=http://bayes.wustl.edu/etj/articles/theory.1.pdf | 제목=Information Theory and Statistical Mechanics | journal=Physical Review | volume=106 | issue=4 | pages=620–630 | month=May | year=1957 | doi=10.1103/PhysRev.106.620 |bibcode = 1957PhRv..106..620J|언어고리언어=en }}</ref> 열역학적 [[엔트로피]] S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계열역학에서는 기브스의 엔트로피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S = - k_B \sum p_i \ln p_i \,</math>
여기서 ''k''<sub>B</sub>는 [[볼츠만 상수]]를, 그리고 p<sub>i</sub>는 미시적인 상태의 확률을 의미한다. 기브스엔트로피는 1872년 [[볼츠만]]의 연구업적을 뒤이어 [[조사이어 윌러드 기브스]]에 의하여 1878년에 정의되었다.
61번째 줄:
* [[제레미 리프킨]]의 책 《엔트로피》. 엔트로피에 대한 그릇된 해석으로 유명하다.<ref>[http://chemistry.sogang.ac.kr/~duckhwan/essay/books/books-entropy.htm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ref>
* 헨리 애덤스의 책 《엔트로피와 생명》. 19세기 미국 역사가 헨리 애덤스는 기계의 힘인 동력과 힘의 쇠퇴인 [[엔트로피]] 개념을 포함한 정교한 역사 이론을 주창하였다. 애덤스는 인간 사회가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쇠퇴하는 것을 자연 상태에서 엔트로피가 커지는 것에 결합하여 설명하였다.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의 극장판. 여기서는 '잘못' 사용된 예시로써 악명이 높다.
 
==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