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다양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Namobot (토론 | 기여)
→‎역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84번째 줄:
리만 기하학은 [[19세기]]에 [[베른하르트 리만]]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는 [[유클리드 기하학]] 및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대표적인 두 형태([[구면기하학]]과 [[쌍곡기하학]])를 포함하는 보다 일반적인 이론이다. 1853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제자 [[베른하르트 리만]]에게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이론에 대하여 [[하빌리타치온]] 논문을 쓰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시하였다. 리만은 이에 대하여 임의의 차원에서의 굽은 공간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였고, 이를 주제로 1854년에 [[괴팅겐 대학교]]에서 〈기하학의 기초를 이루는 가정들에 대하여〉({{llang|de|Über die Hypothesen welche der Geometrie zu Grunde liegen}})라는 제목의 강연을 개최하였으며, 이는 리만 기하학의 시초로 여겨진다. 리만의 강연은 당시에는 널리 이해되지 못하였으나, 강연 내용이 1868년에 리만의 사후에 [[리하르트 데데킨트]]에 의하여 출판되면서 [[미분기하학]]의 새로운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1869년에 [[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은 [[레비치비타 접속]]의 성분인 [[크리스토펠 기호]]를 도입하였으며,<ref>{{저널 인용 | first = Elwin Bruno | last = Christoffel |저자고리=엘빈 브루노 크리스토펠|title= Ueber die Transformation der homogenen Differentialausdrücke zweiten Grades| journal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volume = 70 | year = 1869 | pages = 46–70|url=http://resolver.sub.uni-goettingen.de/purl?GDZPPN002153882|issn=0075-4102|doi=10.1515/crll.1869.70.46|언어고리언어=de}}</ref> 20세기 초에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크리스토펠이 사용한 의미의 접속을 이용하면 평행 운송의 개념을 만들 수 있음을 발견하면서 보다 큰 관심을 받게 되었다.<ref>{{저널 인용|last1=Levi-Civita|first1=T.|저자고리=툴리오 레비치비타|last2=Ricci|first2=G.|저자고리2=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title=Méthodes de calcul différential absolu et leurs applications|journal=Mathematische Annalen|volume=54|호=1–2|날짜=1900|pages=125–201|doi=10.1007/BF01454201|issn=0025-5831|jfm=31.0297.01|언어고리언어=fr}}</ref>
 
호프-리노프 정리는 [[하인츠 호프]]와 그 제자 빌리 리노프({{llang|de|Willi Rinow}})가 1931년에 증명하였다.<ref>{{cite journal |last=Hopf |first=H. |저자고리=하인츠 호프|last2=Rinow |first2=W. |title=Ueber den Begriff der vollständigen differentialgeometrischen Fläche |journal=Commentarii Mathematici Helvetici |volume=3 |year=1931 |issue=1 |pages=209–225 |doi=10.1007/BF01601813|issn=0010-2571|언어고리언어=de }}</ref> 내시 매장 정리는 [[존 포브스 내시]]가 1950년대에 증명하였다.<ref>{{저널 인용|first=John|last=Nash|authorlink=존 포브스 내시|title=The imbedding problem for Riemannian manifolds|journal=Annals of Mathematics|volume=63|year=1956|pages=20–63|doi=10.2307/1969989|issue=1|mr=0075639|jstor=1969989|언어고리언어=en}}</ref>
 
==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