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성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2번째 줄:
'''반사성운'''(反射星雲, reflection nebulae)은 [[성간진]]이 근처의 [[항성|별]]빛을 받아 빛나는 [[성간운]]이다. 별빛의 에너지가 강하면 성운을 이루는 기체들이 [[전리]]되어 [[발광성운]]이 되겠지만, 에너지가 약해서 전리는 안 일어나고 [[산란]]만 일어날 경우 반사성운이 된다. 때문에 반사성운의 스펙트럼은 별빛의 그것과 유사하다.
 
1912년 [[베스토 슬라이퍼]]는 [[플레이아데스성단]]의 [[메로페 (항성)|메로페]] 주위의 성운의 스펙트럼을 관측하고, 그 빛이 별빛과 유사하며, 그 빛은 별빛을 반사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ref>{{cite journal|꺾쇠표없음이탤릭체=예|bibcode=1912LowOB...2...26S|title=On the spectrum of the nebula in the Pleiades |author1=Slipher|first1=Vesto M.|volume=2|year=1922|pages=26-27|journal=Lowell Observatory Bulletin}}</ref> 다음 해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은 슬라이퍼의 가설을 지지하는 계산 결과를 얻었다.<ref>{{cite journal|꺾쇠표없음이탤릭체=예|bibcode=1913AN....195..449H|title=Über die Helligkeit der Plejadennebel|author1=Hertzsprung|first1=E.|volume=195|year=1913|pages=449-452|journal=Astronomische Nachrichten|doi = 10.1002/asna.19131952302 }}</ref> [[에드윈 허블]]은 1922년 발광성운과 반사성운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했다.<ref>{{cite journal|꺾쇠표없음이탤릭체=예|bibcode=1922ApJ....56..400H|title=The source of luminosity in galactic nebulae|author1=Hubble|first1=E. P.|volume=56|year=1922|pages=400|journal=Astrophysical Journal|doi=10.1086/142713}}</ref>
 
[[파일:Cosmic dust clouds in reflection nebula Messier 78.jpg|thumb|left|200px|[[메시에 78]].<ref>{{cite news|title=Sifting through Dust near Orion's Belt|url=http://www.eso.org/public/news/eso1219/|accessdate=2 May 2012|newspaper=ESO Press Release}}</ref> ]]
16번째 줄:
{{성운}}
{{토막글|성운}}
 
[[분류:반사성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