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수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번째 줄:
{{불교}}
 
'''12수면'''(十二隨眠)은 12가지 근본번뇌를[[근본번뇌]]를 말한다.
 
《[[중사분아비담론]]》 제3권과 《[[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그 명칭은 다음과 같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702a28 T26n1542_p0702a28 - T26n1542_p0702b02]. 12수면(十二隨眠)|quote=<br>"有十二隨眠。謂欲貪隨眠。瞋恚隨眠。色貪隨眠。無色貪隨眠。慢隨眠。無明隨眠。有身見隨眠。邊執見隨眠。邪見隨眠。見取隨眠。戒禁取隨眠。疑隨眠。"}}{{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57 57 / 448]. 12수면(十二隨眠)|quote=<br>"12수면(隨眠)이 있는데, 욕탐(欲貪) 수면·진에(嗔恚) 수면·색탐(色貪) 수면·무색탐(無色貪) 수면·만(慢) 수면·무명(無明) 수면·유신견(有身見) 수면·변집견(邊執見) 수면·사견(邪見) 수면·견취(見取) 수면·의(疑) 수면이다."}}{{sfn|세우 조, 구나발타라·보리야사 한역|T.1541|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1_p0637a29 T26n1541_p0637a29 - T26n1541_p0637b03]. 12사(十二使)|quote=<br>"十二使。貪使。恚使。色貪使。無色貪使。慢使。無明使。身見使。邊見使。邪見使。見取使。戒取使。疑使。云何欲貪使使。謂愛染念著。悅樂可意。"}}{{sfn|세우 지음, 구나발타라·보리야사 한역, 송성수 번역|K.950, T.1541|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9&startNum=53 53 / 350]. 12사(十二使)|quote=<br>"12사(使)가 있으니, 욕탐사(欲貪使)·에사(恚使)·색탐사(色貪使)·무색탐사(無色貪使)·만사(慢使)·무명사(無明使)·신견사(身見使)·변견사(邊見使)·사견사(邪見使)·견취사(見取使)·계취사(戒取使)·의사(疑使)이다.
<br>어찌하여 욕탐사(欲貪使)가 마음을 제멋대로 부려 죄를 짓게 하는 것인가? 사랑하고 염착(念著)하고 즐거워하고 뜻에 맞추기 때문이다."}}{{sfn|운허星雲|loc="[http://buddhaetext.donggukfgs.eduorg.tw/bs_detailetext6/search-1-detail.aspxasp?typeDINDEX=detail1684&from=&to=&srchDTITLE=%ECA4Q%8BA4G%ADC0H%EC%9D%B4%EC%88%98%EB%A9%B4&rowno=1AFv 十二隨眠(십이수면)]". 2013년 5월 21일에 확인|quote=<br>"十二隨眠(십이수면):
수면의 열두 가지.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견(見)ㆍ의(疑)의 근본 번뇌 중에서 탐번뇌를 3으로 나누어 욕탐(欲貪)ㆍ색탐(色貪)ㆍ무색탐(無色貪)으로 한 것과, 견(見)을 나누어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5로 한 것을 합한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84&DTITLE=%A4Q%A4G%C0H%AFv 十二隨眠]". 2013년 5월 21일에 확인|quote=<br>"十二隨眠:
 指長時隨逐、眠伏於第八識中之十二種煩惱。據眾事分阿毘曇論卷三載,十二隨眠即:(一)貪欲,謂於順意之境,愛染念著,而生悅樂。(二)瞋恚,謂於不順意之境,無所愛樂,而自生瞋忿。(三)色貪,謂於色界愛樂淨法,貪著禪味。(四)無色貪,謂於無色界識處等定,愛樂順意,心生味著。(五)無明,謂於事理等法,無所明了,障覆真性。(六)身見,謂於五陰等法中,強立主宰,妄計為身。(七)邊見,謂於身見上,計我或斷或常,隨執於一邊。(八)邪見,謂由計斷常,不信因果,以為無作無得,起見誹謗。(九)見取,謂因此見,而能通至非非想天,信此非餘,執劣為勝。(十)戒取,謂執邪為道,非因計因,如持雞狗等戒,以為可得清淨解脫。(十一)慢,謂貢高自舉,輕慢他人。(十二)疑,謂於諦理不能解了,心生猶豫,是非不決。 p346"}}{{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3714/%E5%8D%81%E4%BA%8C%E9%9A%A8%E7%9C%A0 十二隨眠]". 2013년 5월 21일에 확인|quote=<br>"十二隨眠: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줄 24 ⟶ 23:
<br>〔十二、疑〕,謂於諦理不能解了,心生猶豫,是非不決也。(諦理者,即苦集滅道四諦之理也。)
<br>頁數: 出眾事分阿毗曇論"}}
 
 
#[[욕탐수면]](欲貪隨眠)
줄 36 ⟶ 34:
#[[사견수면]](邪見隨眠)
#[[견취수면]](見取隨眠)
#[[의수면계금취수면]](戒禁取隨眠)을 말한다.
#[[의수면]](疑隨眠)
 
12수면은 [[탐 (번뇌심소)|탐]](貪)ㆍ[[진 (번뇌심소)|진]](瞋)ㆍ[[만 (번뇌심소)|만]](慢)ㆍ[[무명 (번뇌심소)|무명]](無明)ㆍ[[견 (번뇌심소)|견]](見)ㆍ[[의 (번뇌심소)|의]](疑)의 [[6근본번뇌]] 중에서 [[탐 (번뇌심소)|탐]](貪)을 3계로 나누어 [[욕탐|욕탐]](欲貪)ㆍ[[색탐]](色貪)ㆍ[[무색탐]](無色貪)으로 세분하고, [[견 (번뇌심소)|견]](見)을 나누어 [[유신견]](有身見)ㆍ[[변집견]](邊執見)ㆍ[[사견]](邪見)ㆍ[[견취]](見取)ㆍ[[계금취]](戒禁取見)의 다섯으로 세분하여 이루어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B%AD%EC%9D%B4%EC%88%98%EB%A9%B4&rowno=1 十二隨眠(십이수면)]". 2013년 5월 21일에 확인|quote=<br>"十二隨眠(십이수면):
수면의 열두 가지. 탐(貪)ㆍ진(瞋)ㆍ만(慢)ㆍ무명(無明)ㆍ견(見)ㆍ의(疑)의 근본 번뇌 중에서 탐번뇌를 3으로 나누어 욕탐(欲貪)ㆍ색탐(色貪)ㆍ무색탐(無色貪)으로 한 것과, 견(見)을 나누어 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5로 한 것을 합한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84&DTITLE=%A4Q%A4G%C0H%AFv 十二隨眠]". 2013년 5월 21일에 확인|quote=<br>"十二隨眠: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