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ㅍ):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8번째 줄:
 
'''8근'''(八根)은 [[22근]] 가운데
[[신근 (5선근)|신근]](信根){{.cw}}[[근근 (5선근)|근근]](勤根){{.cw}}[[염근 (5선근)|염근]](念根){{.cw}}[[정근 (5선근)|정근]](定根){{.cw}}[[혜근 (5선근)|혜근]](慧根)의 [[5선근]](五善根)과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cw}}[[이지근]](已知根){{.cw}}[[구지근]](具知根)의 [[3무루근]](三無漏根)을 통칭하는 말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3c08 T29n1558_p0013c08 - T29n1558_p0013c13].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quoteps=<br>"樂等五受。信等八根。於染淨中如次增上。樂等五受染增上者。貪等隨眠所隨增故。信等八根淨增上者。諸清淨法隨生長故。有餘師說。樂等於淨亦為增上。如契經說。樂故心定。苦為信依。亦出離依喜及憂捨。毘婆沙師傳說如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4 114-115 / 1397].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quoteps=<br>"낙(樂) 등의 5수근(受根)과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은 염오함과 청정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증상력이 있다.<sup style="color: blue">6)</sup> 이를테면 낙 등의 다섯 가지가 염오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것에 의해 탐 등의 수면(隨眠)이 수증(隨增)하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7)</sup>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이 청정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함은, 온갖 청정법이 그것에 따라 증장하기 때문이다.
<br>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기도 하였다. "낙 등은 청정함에 대해서도 역시 증상력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계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즉
<br>낙(樂)으로 인해 마음은 정(定)에 들게 되고<sup style="color: blue">8)</sup>
23번째 줄:
==팔근의 증상==
 
'''8근의 증상'''[八根根增上]은 [[22근]] 가운데 8가지인 [[신근 (5선근)|신근]]{{.cw}}[[근근 (5선근)|근근]]{{.cw}}[[염근 (5선근)|염근]]{{.cw}}[[정근 (5선근)|정근]]{{.cw}}[[혜근 (5선근)|혜근]]{{.cw}}[[미지당지근]]{{.cw}}[[이지근]]{{.cw}}[[구지근]]의 [[8근]](八根)이 가지는 뛰어난 작용력을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3c08 T29n1558_p0013c08 - T29n1558_p0013c13].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quoteps=<br>"樂等五受。信等八根。於染淨中如次增上。樂等五受染增上者。貪等隨眠所隨增故。信等八根淨增上者。諸清淨法隨生長故。有餘師說。樂等於淨亦為增上。如契經說。樂故心定。苦為信依。亦出離依喜及憂捨。毘婆沙師傳說如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4 114-115 / 1397].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quoteps=<br>"낙(樂) 등의 5수근(受根)과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은 염오함과 청정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증상력이 있다.<sup style="color: blue">6)</sup> 이를테면 낙 등의 다섯 가지가 염오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그것에 의해 탐 등의 수면(隨眠)이 수증(隨增)하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7)</sup> 신(信) 등의 여덟 가지 근이 청정함에 대해 증상력이 있다고 함은, 온갖 청정법이 그것에 따라 증장하기 때문이다.
<br>그런데 유여사는 다음과 같이 설하기도 하였다. "낙 등은 청정함에 대해서도 역시 증상력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니, 계경에서 설한 바와 같다. 즉
<br>낙(樂)으로 인해 마음은 정(定)에 들게 되고<sup style="color: blue">8)</sup>
36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11)</sup> 논주 세친은 '근'의 의의에 관한 이상의 논설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을 다만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전하는 설 즉 '전설(kila)'이라고 하였으며, 계속하여 이에 대한 이설(普光의 『俱舍論記』에서는 識見家등의 설, 法寶의 『俱舍論疏』에서는 曇無德 Dharmagupta, 즉 법장부의 설, 『稱友釋』에서는 경량부설로 해석됨)로서 다음의 세 게송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현은 『현종론』(권제<sup style="color: blue">5)</sup>에서 이를 삭제하였다."}}
 
'[[근 (불교)|근]](根)'은 [[증상력]](增上力) 즉 뛰어난 힘 또는 작용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데,{{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3b11 T29n1558_p0013b11 - T29n1558_p0013b13]. 근(根)의 뜻|quoteps=<br>"根是何義。最勝自在光顯名根。由此總成根增上義。"}}{{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1 111 / 1397]. 근(根)의 뜻|quoteps=<br>"'근'이란 무슨 뜻인가?<sup style="color: blue">1)</sup>
<br>가장 수승[最勝]한 자재(自在)이며, 빛나고 현저[光顯]하기 때문에 '근'이라 이름한 것이니,<sup style="color: blue">2)</sup> 이에 따라 근은 증상력(增上力 : 탁월하고 뛰어난 힘)의 뜻이라는 것이 모두 성취되는 것이다.
<br><sup style="color: blue">1)</sup> 근의 원어 indriya는 'Indra에 상응하는' 혹은 '∼속한'이라고 하는 뜻의 형용사로서, 명사로 쓰일 경우 인드라의 힘, 인드라의 영역의 뜻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논설처럼 근은 뛰어난 힘 즉 증상력(增上力, adhipatya)의 뜻으로 해석된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5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614a15 T30n1579_p0614a15]. 근(根)의 뜻|quoteps=<br>"問何等是根義。答增上義是根義。"}}{{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57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38&startNum=222 222 / 692]. 근(根)의 뜻|quoteps=<br>"[문] 무엇이 근(根)의 뜻인가.
<br>[답]뛰어남[增上]이라는 뜻이 근의 뜻이다."}} [[8근]]은 '''[[정증상]]'''(淨增上)이라는 뛰어난 작용력을 가지고 있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13c08 T29n1558_p0013c08 - T29n1558_p0013c13].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14 114-115 / 1397]. 5수근(五受根)과 8근(八根)의 증상}}
 
45번째 줄:
==팔무위==
 
'''8무위'''(八無爲)는 '''8종무위'''(八種無爲)라고도 하며,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설하는 [[허공 (불교)|허공]](虛空){{.cw}}[[비택멸]](非擇滅){{.cw}}[[택멸]](擇滅){{.cw}}[[부동 (불교)|부동]](不動){{.cw}}[[상수멸]](想受滅){{.cw}}[[선법진여]](善法真如){{.cw}}[[불선법진여]](不善法真如){{.cw}}[[무기법진여]](無記法真如)의 8가지 [[무위법]](無爲法)을 말한다.{{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29523/%E5%85%AB%E7%A8%AE%E7%84%A1%E7%82%BA 八種無為]". 2013년 5월 29일에 확인|quoteps=<br>"八種無為: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br>解釋: 顯揚一卷十五頁云:無為者:此有八種。謂虛空、非擇滅、擇滅、不動、想受滅、善法真如、不善法真如、無記法真如。虛空者:謂諸心心法所緣外色對治境界性。非擇滅者:謂因緣不會,於其中間,諸行不起滅,而非離繫性。擇滅者:謂由慧方便,有漏諸行,畢竟不起滅,而是離繫性。不動者:謂離遍淨欲,得第四靜慮;於其中間,苦樂離繫性。想受滅者:謂離無所有處欲,入滅盡定;於其中間,不恆現行心心法,及恆行一分心心法滅,而離繫性。善不善無記法真如者:謂於善不善無記法中,清淨境界性。
135번째 줄:
==팔사==
 
'''8사'''(八邪)는 [[8정도]](八正道)의 반대로, [[몸 (불교)|몸]][身]{{.cw}}[[말 (불교)|말]][語]{{.cw}}[[뜻 (불교)|뜻]][意, [[마음 (불교)|마음]]]으로 행하는 다음의 8가지 종류의 잘못된 행위, 또는 8가지 그릇된 길을 말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67&DTITLE=%A4K%A8%B8%A6%E6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quoteps=<br>"八邪行: 「八正道」之對稱。即身、語、意等所犯之八種誤謬。又作八邪支、八邪法。略稱八邪。即:(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恚、害等之思惟。(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為惡事所作之方便精勤。(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八)邪定,指非正定之定。以上八者,乃凡夫外道所常行,求涅槃者悉皆捨離。〔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經卷四十九、八正道經、維摩經弟子品〕"}}{{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C%94%EC%82%AC&rowno=4 八邪(팔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quoteps=<br>"八邪(팔사):
[1] 또는 팔미(八迷)ㆍ팔계(八計)ㆍ팔류(八謬)ㆍ팔사(八事). ⇒팔미(八迷)
[2] 또는 팔사행(八邪行)ㆍ팔사지(八邪支). ↔팔정도. 즉 사견(邪見)ㆍ사지(邪志;邪思惟)ㆍ사어(邪語)ㆍ사업(邪業)ㆍ사명(邪命)ㆍ사방편(邪方便;邪正進)ㆍ사념(邪念)ㆍ사정(邪定)."}}{{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522&categoryId=2886 팔사(八邪)]". 2012년 11월 7일에 확인|quoteps=<br>"팔사(八邪): 여덟 가지 그릇된 길, 곧 팔정도(八正道)의 반대. 사견(邪見)·사사(邪思)·사어(邪語)·사업(邪業)·사명(邪命)·사정진(邪精進)·사념(邪念)·사정(邪定)."}}
 
'''8사행'''(八邪行), '''8사지'''(八邪支) 또는 '''8사법'''(八邪法)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567&DTITLE=%A4K%A8%B8%A6%E6 八邪行]". 2012년 11월 7일에 확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C%94%EC%82%AC&rowno=4 八邪(팔사)]". 2012년 11월 7일에 확인}}
155번째 줄:
'''8식10명'''(八識十名,
{{llang|en|[[:en:ten names of the eighth consciousness|<span style="color: black">ten names of the eighth consciousness</span>]]}},
[[:en:ten names of the eighth vijñāna|<span style="color: black">ten names of the eighth vijñāna</span>]]) 또는 '''제8식10명'''(第八識十名)은, 《[[종경록]](宗鏡錄)》 제50권에 나오는,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을 가리키는 다음의 10가지 다른 명칭을 말한다.{{sfn|연수 편찬|T.2016|loc=제50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8n2016_p0712c14 T48n2016_p0712c14 - T48n2016_p0713a06]. 8식10명(八識十名)|quoteps=<br>"每識別立十名。... 三第八識十名者。一七後得稱。名為八識。二真偽雜間。名為和合識。三蘊積諸法。名為藏識。四住持起發。名熏變識。五凡成聖。名為出生識。六藏體無斷。名金剛智識。七體非靜亂。名寂滅識。八中實非假。名為體識。九藏體非迷。名本覺識。十功德圓滿。名一切種智識。"}}
 
# [[8식]](八識)
170번째 줄:
==팔전==
 
'''8전'''(八纏)은 다음의 8가지 [[수번뇌]](隨煩惱)를 말한다. 아래 목록은 《[[구사론]]》 제21권에 따른 것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b13 T29n1558_p0109b13 - T29n1558_p0109b23]. 수번뇌: 8전 또는 10전|quoteps=<br>"後當略論纏煩惱垢攝者。且應先辯。纏相云何。頌曰。
<br>  纏八無慚愧  嫉慳并悔眠
<br>  及掉舉惛沈  或十加忿覆
176번째 줄:
<br>  無愧眠惛沈  從無明所起
<br>  嫉忿從瞋起  悔從疑覆諍
<br>論曰。根本煩惱亦名為纏。經說欲貪纏為緣故。然品類足說有八纏。毘婆沙宗說纏有十。謂於前八更加忿覆。"}}{{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3 953-954 / 1397]. 수번뇌: 8전 또는 10전|quoteps=<br>"[이러한 수번뇌에 대해서는] 뒤에서 응당 전(纏)과 번뇌구(煩惱垢)에 포섭시켜 간략히 논설하리라.
<br>바야흐로 먼저 분별해 보아야 할 것이니, '전'의 상은 어떠한가?
<br>게송으로 말하겠다.
213번째 줄:
'''8혜'''(八慧)는 [[혜 (불교)|혜]](慧)의 8가지 다른 이름인 [[지 (8혜)|지]](智){{.cw}}[[견 (8혜)|견]](見){{.cw}}[[명 (8혜)|명]](明){{.cw}}[[각 (8혜)|각]](覺){{.cw}}[[해 (8혜)|해]](解){{.cw}}[[혜 (8혜)|혜]](慧){{.cw}}[[광 (8혜)|광]](光){{.cw}}[[관 (8혜)|관]](觀)을 말한다. (참고: [[혜의 8가지 다른 이름]])
 
[[보광 (당나라)|보광]](普光)의 《[[구사론기]](俱舍論記)》 제26권에 따르면, [[8혜]](八慧) 즉 [[혜의 8가지 다른 이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sfn|보광 술|T.1821|loc=제2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1n1821_p0386a11 T41n1821_p0386a11 - T41n1821_p0386a14]. 혜의 8가지 다른 이름|quoteps=<br>"智謂決斷。或謂重知。見謂推求。或謂現照。明謂照明。覺謂覺悟。解謂達解。慧謂簡擇。光謂慧光。觀謂觀察。智等八種並慧異名。"}}
 
# [[지 (8혜)|지]](智): [[결단]](決斷) 또는 [[중지 (불교)|중지]](重知: 거듭하여 앎)
226번째 줄:
==평등성지==
 
'''평등성지'''(平等性智)는 [[유식유가행파]]의 [[4지]](四智)와 [[밀교 (불교)|밀교]]의 [[5지]](五智) 가운데 하나로, 오염된 상태의 [[제7말나식]]을 [[전 (불교)|전]](轉: 질적 변형)하여 [[증득]]하는 [[무루혜]]로, 일체의 [[사상 (불교)|사상]](事相: 현상계의 [[법 (불교)|법]])과 자타(自他)가 [[평등 (불교)|평등]]하여 하나[不二, 一如]라는 것을 깨달아 [[대자비심]](大慈悲心)을 일으키는 [[지혜 (불교)|지혜]]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D%8F%89%EB%93%B1%EC%84%B1%EC%A7%80&rowno=1 平等性智(평등성지)]". 2013년 1월 27일에 확인|quoteps=<br>"平等性智(평등성지): 5지(智)의 하나. 제7식을 전(轉)하여 얻은 무루 지혜니, 통달위(通達位)에서 그 일부분을 증득하고, 불과(佛果)에 이르러 그 전체를 증득한다. 일체 모든 법과 자기나 다른 유정들을 반연하여 평등 일여한 이성(理性)을 관하고 너와 나의 차별심을 여의어 대자대비심을 일으키며, 보살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교화하여 이익되게 하는 지혜."}}{{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5558&categoryId=2886 평등성지(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quoteps=<br>"평등성지(平等性智): 사지(四智)의 하나. 번뇌에 오염된 말나식(末那識)을 질적으로 변혁하여 얻은 청정한 지혜. 이 지혜는 자아에 대한 집착을 떠나 자타(自他)의 평등을 깨달아 대자비심을 일으킴으로 이와 같이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498&DTITLE=%A5%AD%B5%A5%A9%CA%B4%BC 平等性智]". 2013년 1월 27일에 확인|quoteps=<br>"平等性智: 梵語 samatā-jñāna。又作平等智。乃四智心品之一,五智之一。指體悟自、他平等之智。即轉第七末那識所得之智慧,依此智慧而了知一切事相及自他皆平等,乃生起大慈悲心。佛地論卷三謂平等性智乃觀自、他一切皆平等,大慈大悲恆常相互契合而無間斷,故建立佛地「無住涅槃」(不住於生死、涅槃之涅槃)。隨諸有情之所樂,示現自、他受用之身與土等種種影像。對於初地以上之菩薩,示現他受用之身土,常行大慈大悲之化益。心地觀經卷二(大三‧二九八下):「平等性智,轉我見識得此智慧。是以能證自佗平等二無我性,如是名為平等性智。」<br>
 此外,密教所建立之五智,其中平等性智又作灌頂智,為南方寶生佛之智。祕藏記卷上本(大八六‧二中):「平等性智,清淨智水,不簡情、非情故,彼此同如故,常住不變故,名曰平等性智。」(參閱「五智」1161、「四智心品」1771)"}}
 
241번째 줄:
==폭류==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314b20 T30n1579_p0314b20 - T30n1579_p0314b23]. 번뇌(煩惱)의 차별(差別)|quoteps=<br>"煩惱差別者。多種差別應知。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常害。箭。所有。根。惡行。漏。匱。燒。惱。有諍。火。熾然。稠林。拘礙。如是等類煩惱差別當知。"}}{{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8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220 220-221 / 829]. 번뇌(煩惱)의 차별(差別)|quoteps=<br>"번뇌(煩惱)의 차별(差別)<sup style="color: blue">31)</sup>이란 여러 가지 차별(差別)이 있는 줄 알아야만 한다. 말하자면 결(結) 박(縛) 수면(隨眠) 수번뇌(隨煩惱) 전(纏) 폭류(暴流) 액(軛) 취(取) 계(繫) 개(蓋) 주올(株杌) 구(垢) 상해(常害) 전(箭) 소유(所有) 근(根) 악행(惡行) 루(漏) 궤(匱) 소(燒) 뇌(惱) 유쟁(有諍) 화(火) 치연(熾然) 조림(稠林) 구애(拘礙)이다.
<br>위와 같은 등의 종류가 번뇌의 차별(差別)인 줄 알아야 한다.
<br><sup style="color: blue">31)</sup>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여덟 번째로 번뇌(煩惱)의 차별(差別)에 대해서 기술한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314b27 T30n1579_p0314b27 - T30n1579_p0314b28]. 폭류(暴流)|quoteps=<br>"深難渡故。順流漂故故名暴流。"}}{{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8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221 221 / 829]. 폭류(暴流)|quoteps=<br>"건너기 매우 어렵고 흐름에 따라서 떠내려가기 때문에 폭류(暴流)라고 이름하는 것이다."}}
 
: '''폭류'''(暴流)는 [[번뇌]]의 [[번뇌의 동의어|다른 이름]]인 [[결 (불교)|결]](結){{.cw}}[[박 (불교)|박]](縛){{.cw}}[[수면 (불교)|수면]](隨眠){{.cw}}[[수번뇌]](隨煩惱){{.cw}}[[전 (불교)|전]](纏){{.cw}}[[폭류]](暴流){{.cw}}[[액 (불교)|액]](軛){{.cw}}[[취 (불교)|취]](取){{.cw}}[[계 (불교)|계]](繫){{.cw}}[[개 (불교)|개]](蓋){{.cw}}[[주올]](株杌){{.cw}}[[구 (불교)|구]](垢){{.cw}}[[상해 (불교)|상해]](常害){{.cw}}[[전 (번뇌)|전]](箭){{.cw}}[[소유 (불교)|소유]](所有){{.cw}}[[근 (불교)|근]](根){{.cw}}[[악행]](惡行){{.cw}}[[누 (불교)|누]](漏){{.cw}}[[궤 (불교)|궤]](匱){{.cw}}[[소 (불교)|소]](燒){{.cw}}[[뇌 (불교)|뇌]](惱){{.cw}}[[유쟁]](有諍){{.cw}}[[화 (불교)|화]](火){{.cw}}[[치연]](熾然){{.cw}}[[조림 (불교)|조림]](稠林){{.cw}}[[구애 (불교)|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
263번째 줄:
==피갑==
 
'''피갑'''(被甲)은, [[무착]]의 《[[대승아비달마집론]]》, [[안혜]]의 《[[대승아비달마잡집론]]》, [[호법]] 등의 《[[성유식론]]》 등에 나오는, [[정진 (마음작용)|정진]](精進) 또는 [[근 (마음작용)|근]](勤)의 5단계의 차별인 [[피갑]](被甲){{.cw}}[[가행]](加行){{.cw}}[[무하 (불교)|무하]](無下){{.cw}}[[무퇴]](無退){{.cw}}[[무족]](無足)의 [[5정진]](五精進) 가운데 하나이다.{{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4b13 T31n1605_p0664b13 - T31n1605_p0664b15]. 피갑(被甲)|quoteps=<br>"證智決擇為體。惡行不轉所依為業。何等為勤。謂心勇悍為體。或'''被甲'''或加行。或無下或無退或無足。差別成滿善品為業。"}}{{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697c04 T31n1606_p0697c04 - T31n1606_p0697c08]. 피갑(被甲)|quoteps=<br>"勤者。'''被甲'''方便無下無退。無足心勇為體成滿善品為業。謂如經說。有勢有勤有勇堅猛不捨善軛。如其次第應配釋被甲心勇等諸句。滿善品者。謂能圓滿隨初所入根本靜慮。成善品者。謂即於此極善修治。"}}{{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0a23 T31n1585_p0030a23 - T31n1585_p0030b01]. 피갑(被甲)|quoteps=<br>"勤謂精進。於善惡品修斷事中勇悍為性。對治懈怠滿善為業。勇表勝進簡諸染法。悍表精純簡淨無記。即顯精進唯善性攝。此相差別略有五種。所謂'''被甲'''加行無下無退無足。即經所說有勢有勤有勇堅猛不捨善軛。如次應知。此五別者。謂初發心自分勝進。自分行中三品別故。"}}{{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91 291-292 / 583]. 피갑(被甲)|quoteps=<br>"‘근(勤)심소’<sup style="color: blue">49)</sup>는 정진(精進)을 말한다. 선품을 닦고 악품을 끊는 일에 대해서 용맹스럽고 굳세게 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게으름[懈怠]을 다스려서 착한 일을 원만하게 이루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용맹스럽다는 것은 정진하는 것을 나타내어 모든 잡염법을 가려낸다. 굳세다는 것은 지극히 순수한 것을 나타내어 청정 무구성을 가려낸다. 곧 정진은 오직 착한 성품에만 포함됨을 나타낸다. 이것의 양상의 차이는 대략 다섯 종류가 있으니 곧 '''맹렬함을 일으키는 것[被甲]'''<sup style="color: blue">50)</sup>ㆍ가행<sup style="color: blue">51)</sup>ㆍ낮추지 않음[無下]<sup style="color: blue">52)</sup>ㆍ물러나지 않음[無退]<sup style="color: blue">53)</sup>ㆍ만족하지 않음[無足]<sup style="color: blue">54)</sup>이다. 경전에서 말씀한, 세력이 있음[有勢]{{.cw}}정진함[有勤]{{.cw}}용감함[有勇]ㆍ견고하고 용맹함[堅猛]{{.cw}}선의 멍에<sup style="color: blue">55)</sup>를 버리지 않음[不捨善軛]이니, 순차적으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다섯의 차이를 말하면 초발심{{.cw}}자분(自分){{.cw}}승진(勝進){{.cw}}자분행(自分行) 중의 세 가지 품류로서 다르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56)</sup>
<br><sup style="color: blue">49)</sup> 근(勤, vīrya)심소는 ‘정진’의 심리작용으로서, 용맹스럽게 선행을 닦고 악행을 끊게 한다. 해태(懈怠)심소를 다스린다.
284번째 줄: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 {{llang|sa|[[:en:niyata-dhvaja-ketu|<span style="color: black">niyata-dhvaja-ketu</span>]]}})는 [[결정당상삼매]](決定幢相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9번째 [[삼매 (불교)|삼매]]이다. 제8번째 [[삼매 (불교)|삼매]]는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이고 제10번째 [[삼매 (불교)|삼매]]는 [[금강삼매]](金剛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sfn|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T.1509|loc=제4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5n1509_p0397a12 T25n1509_p0397a12 - T25n1509_p0397a13].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quoteps=<br>"云何名畢幢相三昧?住是三昧能持諸三昧幢,是名畢幢相三昧。"}}{{sfn|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K.549, T.1509|loc=제47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272&startNum=1667 1667 / 2698].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quoteps=<br>"무엇을 필당상(畢幢相)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모든 삼매의 당기[幢]를 지니게 되나니, 이것을 필당상삼매라 하느니라."}}
 
{{인용문4
295번째 줄: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 {{llang|sa|[[:en:dharma-dhātu-niyata|<span style="color: black">dharma-dhātu-niyata</span>]]}})는 [[법계결정삼매]](法界決定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8번째 [[삼매 (불교)|삼매]]이다. 제7번째 [[삼매 (불교)|삼매]]는 [[관정삼매]](觀頂三昧)이고 제9번째 [[삼매 (불교)|삼매]]는 [[필당상삼매]](畢幢相三昧)이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sfn|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T.1509|loc=제47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5n1509_p0397a10 T25n1509_p0397a10 - T25n1509_p0397a12].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quoteps=<br>"云何名畢法性三昧?住是三昧決定知法性,是名畢法性三昧。"}}{{sfn|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K.549, T.1509|loc=제47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272&startNum=1667 1667 / 2698]. 필법성삼매(畢法性三昧)|quoteps=<br>"무엇을 필법성(畢法性)삼매라 하느냐 하면, 이 삼매에 머무르면 기필코 법의 성품을 알게 되나니, 이것을 필법성삼매라 하느니라."}}
 
{{인용문4
311번째 줄:
<br>迫
핍박할 박
<br>1. 핍박하다(逼迫--) 2. 닥치다 3. 줄어들다 4. 가까이하다 5. 궁하다(窮--: 가난하고 어렵다) 6. 좁다 7. 몰리다 8. 다가오다 9. 다급하다(多急--) 10. 허둥거리다 11. 다그치다"</ref>{{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139839/%E9%80%BC%E8%BF%AB 逼迫]".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逼迫:
<br style="margin-bottom: 10px">出處: 佛教漢梵大辭典
<br>解釋: pīḍā, utpīḍana, upagruta, √bādh; abhi-nir-ṇī(√nī), ava-√kram, avaṣṭambha, ārta, utpīḍa, utpīḍā, upakramaka, upakramika, upadrava, uparodha, aupakramika, pari-√kliś, paripīḍana, paripīḍā, parōtpīḍa, pīḍana, pīḍayati, vādhanātmaka, viheṭhana, √vyath, saṃpīḍana.
<br>頁數: P.3769-P.3775"}} [[산스크리트어]] 피다(pīḍā)는 고통(pain), 괴로움(suffering), 약올림(annoyance), 해침(harm), 상처입힘(injury), 방해(violation), 손상(damage), 황폐화(devastation), 제약(restriction), 제한(limitation)을 뜻한다.{{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pida pida]".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pida:
<br>(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br>(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23번째 줄:
<br>3 (cap) pIDA f. pain, ache, harm, wrong."}}
 
《[[구사론]]》에 따르면, 다른 [[유정 (불교)|유정]]에 대한 [[핍박]]은 [[수번뇌]] 가운데 하나인 [[해 (소번뇌지법)|해]](害)의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9c10 T29n1558_p0109c10 - T29n1558_p0109c11]. 해(害)|quoteps=<br>"害謂於他能為逼迫。由此能行打罵等事。"}}{{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2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956 956 / 1397]. 해(害)|quoteps=<br>"'해'란 이를테면 다른 유정에 대해 능히 핍박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에 의해 능히 때리고 꾸짖는 등의 일을 저지르게 되는 것이다."}}
 
[[3수]](三受) 가운데 [[고수 (3수)|고수]](苦受)는 '몸과 마음이 받는 핍박의 느낌' 또는 '몸과 마음을 핍박하는 느낌'으로 정의되기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030&DTITLE=%A4T%A8%FC 三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三受:
 梵語 tisro vedanāh,巴利語 tisso vedanā。又作三痛。受,領納之義。即內之六根,觸對外之六境,所領納之三種感覺。即:(一)苦受(梵 duhkha-vedanā),又作苦痛。即領納違情之境相,令身心受逼迫。(二)樂受(梵 sukha-vedanā),又作樂痛。即領納順情之境相,令身心適悅。(三)捨受(梵 upeksā-vedanā),又作不苦不樂受、不苦不樂痛。即領納中容之境相,身心無有逼迫,亦無有適悅。此三受通於眼等六根,亦通有漏無漏。或各自分成兩種,與五識相應者,稱為身受;與意識相應者,稱為心受。〔雜阿含經卷八、成唯識論卷五、阿毘達磨發智論卷十四、成實論卷六〕(參閱「五受」1103、「受」3096) p559"}}{{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C%88%98&rowno=2 三受(삼수)]".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三受(삼수):
세 가지 감각. 고수(苦受)ㆍ낙수(樂受)ㆍ사수(捨受). (1) 고수. 외계(外界)의 접촉에 의하여 몸과 마음에 받는 괴로운 감각. (2) 낙수. 바깥 경계와 접촉하여 즐거움을 느끼는 감각. (3) 사수. 고수와 낙수에 속하지 않은 감각. 곧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 수(受)는 바깥 경계를 받아 들인다는 뜻. ⇒수(受)"}}{{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016&DTITLE=%ADW%A8%FC 苦受]".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苦受:
 梵語 duhkha-vedanā。三受之一,五受之一。受者,領納外境之義。境有順、違、俱非三境,故受有苦、樂、捨三受。逼迫身心,領納違情之境而起苦惱之感者,稱為苦受。其為三受之一者,係指於身心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其為五受之一者,僅指於身所領納的逼迫不悅之感受。〔成唯識論卷九、四念處卷一〕(參閱「三受」559、「五受」 1103) p3945"}} 마찬가지로, [[고 (불교)|고]](苦)는 [[몸 (불교)|몸]]과 [[마음 (불교)|마음]]이 [[핍박]]을 받고 있는 고뇌(苦惱)의 상태로 정의되기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4013&DTITLE=%ADW 苦]". 2013년 3월 30일에 확인|quoteps=<br>"苦:
 梵語 duhkha 之意譯。音譯作豆佉、諾佉、納佉。泛指逼迫身心苦惱之狀態。苦與樂乃相對性之存在,若心向著如意之對象,則感受到樂;若心向著不如意之對象,則感受到苦。清淨論道謂,苦具有嫌惡(du)與空虛(khaj)二義,即嫌惡,及無「常、樂、我、淨」之空虛狀態,稱之為苦。在稱「苦、樂、捨(不苦不樂)」等三受之時,苦指身心所感之苦(廣義),配列於五受、二十二根之苦,而可分為身感受之苦(狹義)與心感受之憂兩類。「一切行皆苦」乃佛教根本思想之一,亦為四法印之一。苦之分類有多種,其大別如下:<br>
 (一)二苦,起自一己身心之苦,稱為內苦;受外界逼迫所產生之苦(如惡賊、天災等),稱為外苦。<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