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quote → ps
4번째 줄:
'''성문'''(聲聞,
{{llang|sa|[[:en:śrāvaka|<span style="color: black">śrāvaka</span>]]}} '''스라바카''',
{{llang|pi|[[:en:sāvaka|<span style="color: black">sāvaka</span>]]}} '''사바카''')의 [[팔리어]]의 원어 사바카(sāvaka)의 뜻은 단순히 '듣는 자 (hearer)' 또는 '제자 (disciple)'이며,{{sfn|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1921-5|loc="[http://dsal.uchicago.edu/cgi-bin/philologic/getobject.pl?c.4:1:70.pali sāvaka]".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Sāvaka:
Sāvaka [fr. śru] a hearer, disciple (never an Arahant) D i.164; ii.104; iii.47, 52, 120 sq., 133; A i.88; M i.234; S ii.26; It 75 sq., 79; J i.229; Vism 214, 411. -- fem. sāvikā D ii.105; iii.123; Th 2, 335; S iv.379; A i.25, 88. (Cp. ariya -- ˚, agga -- ˚, mahā).
-- sangha the congregation of the eight Aryas M ii.120; S i.220 (cattāri purisayugāni aṭṭha purisapuggalā); ii.79 sq.; It 88."}} 한자어 성문(聲聞)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직접적인 가르침[聲]을 듣는다[聞]'로, 낱말의 뜻 그 자체로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 즉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뜻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81%B2%E8%81%9E&rowno=2 聲聞(성문)]".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성문):
【범】 śrāvaka 【팔】 sāvaka 3승의 하나. 가장 원시적 해석으로는 석존의 음성을 들은 불제자를 말함. 대승의 발달에 따라서 연각과 보살에 대할 때는 석존의 직접 제자에 국한한 것이 아니고, 부처님의 교법에 의하여 3생(生) 60겁(劫) 동안 4제(諦)의 이치를 관하고, 스스로 아라한 되기를 이상(理想)으로 하는 1종의 저열한 불도 수행자를 말함. 그러므로 대승교에서는 성문을 소승의 다른 이름처럼 보고, 성문으로 마치는 이와 대승으로 전향(轉向)하는 이를 구별하여 우법(愚法)ㆍ불우법(不愚法)의 2종으로 나눔. 또 3종성문ㆍ4종성문의 말도 있음."}}<ref>"[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12559&categoryId=200000083 성문(聲聞)]",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4월 9일에 확인.<br>"성문(聲聞):
<br>요약: 석가의 음성을 들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불제자를 이르는 말.
12번째 줄:
<br>후에 부파불교(部派佛敎)에서는 석가의 가르침을 그대로 충실히 실천하는 출가자 일반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석가가 세상을 떠난 후에는 석가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연기(緣起)의 이법(二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사람을 연각(緣覺) 또는 독각(獨覺)이라고 하였다. 대승불교(大乘佛敎)에서는 대승을 향해 나아가는 자를 보살(菩薩)이라 하고 소승의 수행을 하는 자를 성문이라 하였다.
<br>대승에 의하면, 보살은 널리 다른 사람을 구제하며 부처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성문은 자기만의 수양에 힘쓰며 아라한(阿羅漢:Arhan)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부처는 될 수 없다고 한다. 대승을 보살승(乘) 또는 불승(佛乘)이라고 하는 데 반하여, 소승을 성문승이라고 한다.
<br>이같이 초기의 대승불교를 성문과 연각의 2승(二乘)과 보살을 구별하여 3승을 말하기도 하였으나 《법화경(法華經)》에서는 회삼귀일(會三歸一) 사상을 고취하여 성문·연각·보살을 구분하면 참된 일승(一乘)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ref>{{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6&docId=901271&categoryId=2886 성문(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성문(聲聞):
<br>① 산스크리트어 śrāvaka 팔리어 sāvaka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 부처의 가르침을 듣고 아라한(阿羅漢)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수행하는 자. 자신의 깨달음만을 위해 부처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자.
<br>② 성문승(聲聞乘)의 준말.
<br>참조어: 성문승"}}
 
이후 불교교단이 확립된 [[부파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출가자]]만을 뜻하게 되었고,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cw}}[[연각승]](緣覺乘){{.cw}}[[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乘]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 [[4성제]]의 [[현관 (불교)|현관]], [[4성제]]를 현전에서 [[관찰 (불교)|관찰함]])을 의지하여 [[성도 (불교)|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로,{{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乘(성문승):
3승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증과(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곧 고ㆍ집ㆍ멸ㆍ도의 4제법(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기류(機類)도 성문승이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8&DTITLE=%C1n%BBD%AD%BC 聲聞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乘:
 為二乘之一,三乘之一,五乘之一。指能成就聲聞果之四諦法門。乘,為運載之意,指能乘載眾生至彼岸者;即指佛陀之教法。聲聞之人由觀四諦之理而出離生死,以達涅槃,故稱四諦法門為聲聞乘。又指聲聞之機類。〔稱讚大乘功德經、法華玄論卷七、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參閱「二乘」206) p6499"}}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이며, 그 최고의 [[깨달음]]의 [[지위 (불교)|지위]]가 '[[아공]](我空)을 깨친 [[아라한]]'에서 그치고 마는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2종성문'''(二種聲聞){{.cw}}'''3종성문'''(三種聲聞){{.cw}}'''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성문의 성격을 세분하였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
 梵語 śrāvaka,巴利語 sāvaka。音譯舍羅婆迦。又意譯作弟子。為二乘之一,三乘之一。指聽聞佛陀聲教而證悟之出家弟子。大乘義章卷十七本解釋聲聞之名義有三,即:(一)就得道之因緣而釋,聞佛之聲教而悟解得道,稱為聲聞。(二)就所觀之法門而釋,如十地經論卷四說,我眾生等,但有名故,說之為聲,於聲悟解,故稱聲聞。(三)就化他之記說而釋,如法華經卷二信解品載說,以佛道聲,令一切聞,故稱聲聞。此三釋中,前二者為小乘之聲聞,第三則為菩薩,隨義而稱為聲聞。<br>
 聲聞原指佛陀在世時之諸弟子,後與緣覺、菩薩相對,而為二乘、三乘之一。即觀四諦之理,修三十七道品,斷見、修二惑而次第證得四沙門果,期入於「灰身滅智」之無餘涅槃者。聲聞乘,乃專為聲聞所說之教法。聲聞藏,則為闡述其教說之經典。<br>
70번째 줄: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들이 [[자리 (불교)|자리]](自利) 즉 자신의 [[열반]]의 [[성취]]에만 치중하는 것에 반대하여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利他) 즉 [[열반]]에 이르기 위한 [[수행 (불교)|수행]]과 다른 [[유정 (불교)|유정]]을 위한 [[보시]]의 실천을 함께 실행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자리이타]](自利利他)를 실천하는 [[보살]]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보고, [[성문승]]{{.cw}}[[연각승]]{{.cw}}[[보살승]]의 [[3승]]의 교의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3승]]의 교의에서 정의하는 [[성문승]]의 수행자를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ref name="글로벌-삼승"/><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성문승'''(聲聞乘)은 [[4제현관]](四諦現觀) 즉 고제{{.cw}}집제{{.cw}}도제{{.cw}}멸제의 [[4성제]]를 [[현관 (불교)|현전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즉, [[성문승]]이란 [[열반]]의 [[증득]]에 이르는 탈것 즉 길 또는 방편으로서의 [[4제현관]]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문승]]의 수행자인 '''성문'''은 열반을 증득하는 수행으로써 [[4제현관]]을 닦는 이를 말하는데, 이들은 특히 [[이타]](利他)는 고려하지 않고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한다는 성격을 가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乘(성문승):
3승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증과(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곧 고ㆍ집ㆍ멸ㆍ도의 4제법(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기류(機類)도 성문승이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8&DTITLE=%C1n%BBD%AD%BC 聲聞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聲聞乘:
 為二乘之一,三乘之一,五乘之一。指能成就聲聞果之四諦法門。乘,為運載之意,指能乘載眾生至彼岸者;即指佛陀之教法。聲聞之人由觀四諦之理而出離生死,以達涅槃,故稱四諦法門為聲聞乘。又指聲聞之機類。〔稱讚大乘功德經、法華玄論卷七、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參閱「二乘」206) p6499"}}<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그리고,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연각승]](緣覺乘)은 [[12연기]]를 [[현관 (불교)|현관]]하는 것을 말한다. 원래 [[연각]](緣覺) 또는 [[독각]](獨覺)은 [[고타마 붓다]]의 무사독오(無師獨悟) 즉 [[고타마 붓다]]가 스승에 의하지 아니하고 혼자서 깨달음을 얻은 것을 나타내는 말인데, [[대승불교]]의 [[3승]]의 교리에서는 [[연각승]]의 수행자 즉 홀로 [[12연기]]를 관찰하여 [[미혹]]을 끊고 [[진리 (불교)|진리]]를 깨닫는 이로서, 성문과 마찬가지로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하는 이들을 말한다.<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7%B0%EA%B0%81%EC%8A%B9&rowno=1 緣覺乘(연각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緣覺乘(연각승):
2승의 하나. 연각의 깨닫는 경지에 도달하는 탈 물건(敎法)이란 뜻. 12인연(因緣)의 법. 또는 연각의 경지에 있는 사람."}}{{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1306&DTITLE=%BDt%C4%B1%AD%BC 緣覺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緣覺乘:
 梵語 pratyekabuddha-yāna。指到達緣覺果之法門,亦即指十二因緣之法。由此義,亦將緣覺之機類直接稱為緣覺乘。又作辟支佛乘、獨覺乘。為二乘之一,三乘之一,五乘之一。即觀察十二因緣之理,以期於一向一果中入於涅槃者。(參閱「二乘」206) p6134"}}
 
이에 비해 [[보살승]](菩薩乘)은 [[6바라밀]]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6바라밀]]의 첫 번째 요소는 '''보시바라밀'''인데, '''보시'''(布施)에는 재물을 보시하는 '''재시'''(財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6113 財施(재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財施(재시):
자신의 금ㆍ은ㆍ보배 등을 다른 이에게 베풀어 주는 일 →삼시(三施) ⇒보시(布施)"}}와 교법을 보시하는 '''법시'''(法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6016 法施(법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法施(법시):
3시의 하나. 다른 이에게 교법을 말하여 선근을 자라게 하는 것. 또 법을 말해 줌. ⇒보시(布施)}}와 [[계 (불교)|계]]를 지키어 남을 [[손뇌|침해]]하지 아니하고 또한 두려워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무외시'''(無畏施){{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05099 無畏施(무외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無畏施(무외시):
3시(施)의 하나. 계를 지니어 남을 침해하지 아니하며, 또 두려워 하는 마음이 없게 하는 것. ⇒보시(布施)"}}가 있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B%9C&rowno=5 報施婆羅蜜(보시바라밀)]".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報施婆羅蜜(보시바라밀):
6바라밀의 하나. 재물보시ㆍ법보시ㆍ무외보시 따위의 대행(大行). 이 대행은 나고 죽는 이 언덕에서 불생불멸하는 열반의 저 언덕에 이르는 배와 같으므로 바라밀이라 함."}}{{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B%9C&rowno=4 布施(보시)]".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布施(보시):
【범】dāna 단나(檀那)라 음역. (1) 6바라밀의 하나. 자비심으로써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줌. 이것을 재시(財施). 보시는 재시ㆍ법시ㆍ무외시(無畏施)의 3종으로 나누며, 또 4종, 5종, 7종, 8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재시(財施)ㆍ법시(法施)ㆍ무외시(無畏施) (2) 4섭법(攝法)의 하나. 보살이 재시ㆍ법시로써 중생을 섭수(攝受)하여 화도(化導)하는 것. (3) 지금은 흔히 신도들이 스님들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하고 보수로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보시라고 말한다."}} 따라서, [[대승불교]]의 [[3승]]의 교의에 따르면 [[보살]]은 성문과 [[연각]]과는 달리 자신과 남의 [[깨달음]] 즉 [[자리 (불교)|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동시에 추구하는 수행자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2%B4%EC%8A%B9&rowno=1 菩薩乘(보살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菩薩乘(보살승):
3승의 하나. 성불하기를 이상(理想) 목적으로 삼는 보살들이 수행하는 6도(度) 등의 법문. 승(乘)은 싣고 옮겨 가는 뜻, 이 법문은 보살로 하여금 번뇌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理想)의 불과에 이르게 하므로 이렇게 이름함. 그러므로 보살의 기류(機類)를 바로 보살승이라고 함. ⇒범승(梵乘)"}}{{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743&DTITLE=%B5%D0%C2%C4%AD%BC 菩薩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菩薩乘:
 梵語 bodhisattva-yāna。三乘之一,五乘之一。又稱佛乘。乘,運載之意。以悲智六度法門為乘,運載眾生,總越三界三乘之境,至無上菩提大般涅槃彼岸,如乘舶過海,故稱菩薩乘。或有直稱菩薩之機類為菩薩乘。〔法華玄論卷七、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華嚴五教章卷一、觀經疏玄義分傳通記卷二〕(參閱「三乘」593、「五乘」1126) p5220"}}{{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459&DTITLE=%A5%AC%ACI 布施]".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布施:
 梵語 dāna,巴利語同。音譯為檀那、柁那、檀。又稱施。或為梵語 daksinā 之譯,音譯為達嚫(嚫又作[貝*親])、大嚫、嚫,意譯為財施、施頌、嚫施。即以慈悲心而施福利與人之義。蓋布施原為佛陀勸導優婆塞等之行法,其本義乃以衣、食等物施與大德及貧窮者;至大乘時代,則為六波羅蜜之一,再加上法施、無畏施二者,擴大布施之意義。亦即指施與他人以財物、體力、智慧等,為他人造福成智而求得累積功德,以致解脫之一種修行方法。大乘義章卷十二解釋布施之義:以己財事分散與他,稱為布;惙己惠人,稱為施。小乘布施之目的,在破除個人吝嗇與貪心,以免除未來世之貧困,大乘則與大慈大悲之教義聯結,用於超度眾生。<br>
 施財之人,稱為檀越(梵 dānapati,布施主之意,意譯為施主、檀那主,簡稱為檀那);而所施之財物,稱為嚫資、嚫財、嚫金、嚫錢、堂嚫(對僧堂之僧施物之意)、俵嚫(分與施物之意)、信施(信徒施物之意)。此外,獻上錢財,稱為上嚫;施物供於佛前,稱為下嚫。於日本,信者所屬之寺院,稱為檀那寺;而道場所屬之信者,稱為檀家、檀中、檀徒、檀方。<br>
91번째 줄:
 據菩薩善戒經卷一序品載,在家菩薩行財施與法施;出家菩薩行筆施、墨施、經施、說法施等四施;而得無生忍之菩薩則具足施、大施、無上施等三施。俱舍論卷十八舉出八種布施,即:隨至施、怖畏施、報恩施、求報施、習先施、希天施、要名施、為莊嚴心等施。同書卷十八亦舉出施客人、施行人、施病人、施侍病者、施園林、施常食、隨時施等七種布施。舊譯華嚴經卷十二「十無盡藏品」則有修習施、最後難施、內施、外施、內外施、一切施、過去施、未來施、現在施、究竟施等十施。上述乃就布施行為之內容、態度、目的等之不同,而有種種分類方式。又施者、受者、施物三者本質為空,不存任何執著,稱為三輪體空、三輪清淨。〔中阿含卷三十福田經、增一阿含經卷四、卷九、卷二十、大般若波羅蜜多經卷四六九、卷五六九、菩薩地持經卷四、布施卷、大智度論卷十四、卷二十九、瑜伽師地論卷三十九〕(參閱「達嚫」5677) p1901"}}
 
그리고, 대승불교에서는 이러한 3승의 교의에 의거하여, 성문과 연각이 [[자리 (불교)|자리]](自利)에만 치중하는 수행자로서, 이러한 태도에 의해 결과적으로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을 수 있을 뿐 [[법공]](法空)의 이치는 깨닫지 못한다고 보았다. 즉, 성문과 연각이 완전히 깨달았다고 하는 상태는 단지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상태일 뿐으로 [[부처]]의 상태가 아니며 따라서 그들이 이상으로 하고 있는 [[아라한]]이란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서의 [[아라한]]'이 아니라 [[아공]](我空)의 이치만을 깨달은 [[성자 (불교)|성자]]일 뿐이라고 보았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승]](聲聞乘){{.cw}}[[연각승]](緣覺乘)의 [[2승]](二乘)으로는 '[[아라한]]' 즉 '[[아공]](我空)의 이치는 완전히 깨달은 [[성자 (불교)|성자]]'는 될 수 있어도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은 [[성자]]'인 [[부처]]는 영원히 될 수 없다고 보아, [[부처]]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길 즉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을 수 있게 하는 길로서의 자신들의 [[보살승]]과 구별하였고, [[성문승]]{{.cw}}[[연각승]]의 [[2승]](二乘)을 통칭하여 [[소승]](小乘)이라고 폄칭하였다.<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B0%8F%E4%B9%98&rowno=1 小乘(소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小乘(소승):
↔대승. 승(乘)은 싣고 운반하는 뜻. 사람을 태워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교법. 이 교법 중에서 교(敎)ㆍ리(理)ㆍ행(行)ㆍ과(果)가 모두 심원(深遠) 광대하고, 따라서 수행하는 이도 대기이근(大器利根)인 기류(機類)를 요하는 것을 대승이라 하고, 이에 반대되는 것을 소승이라 함. 소승에는 성문승ㆍ연각승 둘이 있다. (1) 성문승. 4제(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4과(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함. (2) 연각승. 12인연을 관하여 벽지불과(辟支佛果)에 이르는 것을 교체(敎體)로 함. 이것은 모두 회신멸지(灰身滅智)의 공적한 열반에 이르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여김. 인도의 상좌부ㆍ대중부 등의 20분파와 동토의 구사종ㆍ성실종ㆍ율종 등."}}{{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942&DTITLE=%A4G%AD%BC 二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二乘:
 乘為運載之意。運載眾生度生死海之法,有二種之別,故稱二乘。(一)指大乘與小乘。佛陀一代所說之教法可大別為大、小二乘。佛為聲聞、緣覺所說之法稱小乘,佛為菩薩所說成佛之法稱大乘。〔北本大般涅槃經卷十四聖行品、梁譯攝大乘論卷上〕<br>
 (二)聲聞乘與緣覺乘。即小乘法分為二種:(一)直接聽聞佛陀之教說,依四諦理而覺悟者,稱聲聞乘。(二)不必親聞佛陀之教說,係獨自觀察十二因緣之理而獲得覺悟者,稱緣覺乘。〔大寶積經卷二十八、北本大般涅槃經卷十二、華嚴五教章卷一〕<br>
 (三)一乘與三乘。出自華嚴五教章卷一。(一)法華以前說聲聞、緣覺、菩薩三乘證道有別,是為三乘。(二)法華會上,會三乘歸於一佛乘,是為一乘。 p206"}}{{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151&DTITLE=%A4p%AD%BC 小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quoteps=<br>"小乘:
 梵語 hīna-yāna。又作聲聞乘。二乘之一,乃大乘、菩薩乘之對稱。意譯為狹小之車乘,指運載狹劣之根機以達小果之教法;即於所修之教、理、行、果,與能修之根機均為小劣之法門。小乘之名,原係大乘佛教徒對原始佛教與部派佛教之貶稱,其後學術界沿用之,並無褒貶意。其教義主要以自求解脫為目標,故為自調自度(即滅除煩惱,證果開悟)之聲聞、緣覺之道,而異於大乘自利利他二者兼顧之菩薩道。大乘諸經論中比較大小二乘之別者頗多。<br>
 (一)據大智度論卷四、卷十八等所載,聲聞乘狹小,佛乘廣大;聲聞乘自利自為,佛乘利益一切;聲聞乘多說眾生空,佛乘則兼說眾生空與法空;煖、頂、忍、法等四善根位為小乘之初門,菩薩法忍為大乘之初門;聲聞說法中無大慈悲心,大乘法中則在在強調大慈悲心;聲聞法中皆為自身,大乘法中廣為眾生;聲聞法中無欲廣知諸法之心,僅有欲求疾離老病死之心,大乘法中欲了知一切法;聲聞法之功德有所限量,大乘法中欲盡諸功德,無有遺餘。(二)據入大乘論卷上載,聲聞之學,僅斷結障,觀無常行,從他聞法;菩薩則志在斷盡一切微細諸習,乃至觀一切法空,不從他聞,得自然智、無師智。聲聞之解脫,稱為愛盡解脫,而非一切解脫,乃為鈍根少智眾生而權假設說者;大乘之解脫,斷煩惱習,一切都盡,乃為利根菩薩而廣分別說者。(三)大乘莊嚴經論卷一成宗品則舉出聲聞乘與大乘有五種差異:(1)發心異,(2)教授異,(3)方便異,(4)住持異,(5)時節異。<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