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2번째 줄:
== 외교사 ==
=== 19세기부터 1910년까지 ===
19세기 중반, [[조선]]은 서구의 통상 요구에 대하여 국경을 개방하지 않고 있었다. 1832년부터 1834년까지 코친차이나, 시암, 머스캣에서의 임무를 수행했던 미국의 특사 [[에드먼드 로버츠]]는 미국 국무장관 [[:en:Louis McLane|루이스 맥레인]]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조선 및 북부 중국과 통상을 여는 길은 먼저 일본과 조약을 맺는 것"이라고 언급하였으나, 몇 년 후 그가 병사하는 바람에<ref>{{서적 인용|제목=The Korean struggle for International identity in the foreground of the Shufeldt Negotiation : 1866 - 1882 |url= https://books.google.co.kr/books?id=hRAPN6SZqKUC |저자=Woong Joe Kang |isbn=9780761831204 |쪽=79~80}}</ref> 일본과의 조약은 20년 뒤(1854년)에 실현되게 된다. 1852년 (철종 3년) 음력 12월, 미국의 포경선 1척이 [[동래현]] 용당포 앞바다에 나타난 바 있다.<ref>{{서적 인용 | 제목=[[일성록]] |장url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YDG/ILS_CONTVIEW.jsp?ptype=class^subtype=ils^lclass=year^mclass=1800^year=1853^num=^kingname=%EC%B2%A0%EC%A2%85^month=1^day=6 |장= 철종 4년 1월 6일조 |인용문 = 慶尙監司 洪說謨以漂到異樣船問情馳啓}} </ref><ref>{{서적 인용 | 제목=[[일성록]] |장url =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e-kyujanggak.snu.ac.kr/home/YDG/ILS_CONTVIEW.jsp?ptype=class^subtype=ils^lclass=year^mclass=1800^year=1853^month=1^day=18^kingname=%EC%B2%A0%EC%A2%85 |장= 철종 4년 1월 18일조 |인용문 = 慶尙監司 洪說謨 統制使 李膺緖以異樣船徑發馳啓}} </ref>이 조선과 미국간의 최초의 접촉이었다. 중국에 체류하던 미국인 상인 프레스턴( W. B. Preston)이 자신 소유의 상선(商船)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와 일행을 이끌고 [[대동강]]에 침입하였다. 프레스턴 일행이 통상을 요구하며 행패를 부리자 평양 군민(軍民)들이 반격하여 배를 불태워버린 사건([[제너럴셔먼호 사건]], 1866년)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은 [[신미양요]](1871년)를 일으킨다.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조선]]의 전권대신 [[신헌]]과 전권부관 [[김홍집 (1842년)|김굉집]]은 미국 전권대신인 해군제독 [[로버트 슈펠트]]와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의정(議定)했다.<ref>1882년 ~ 의정(議定)했다.: [[정교]](鄭喬) 저, 조광(趙珖) 편, 《대한계년사 1》(소명출판, 2004년) 93쪽.</ref> 이어 1905년 [[러일전쟁]]의 중재를 맡은 미국은 식민지 [[필리핀]]의 안전을 일본으로부터 보장받기 위해 같은 해 7월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맺음으로써 조선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을 인정하였다.<ref>{{서적 인용 |제목= 지구촌시대 남북한의 외교․안보․통일론 | 저자= 김강녕 |꺾쇠표 =예|연도= 2010 |출판사=신지서원 |위치= 경주시 |장=오바마 행정부 출범과 한국의 대미외교전략 |쪽=227|id=ISBN 978-89-5531-188-4 |인용문= <!--이어 1905년 러일전쟁의 중재를 맡은 미국은 식민지 필리핀의 안전을 일본으로부터 보장받기 위해 같은 해 7월 태프트-카쓰라협약(Taft-Katsura Agreement)을 맺음으로써 조선에 대한 일본의 지배권을 인정하였다.<sup>8)</sup> 8) 백광일, “미국의 대한 안보정책,”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제16집, 1982, p.197--> }}</ref>
 
=== 임시정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