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벨 범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7번째 줄:
이후 1957년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ref>{{저널 인용 | last=Grothendieck | first=Alexander | authorlink=알렉산더 그로텐디크 | title=Sur quelques points d’algèbre homologique | mr=0102537 | year=1957 | journal=The Tohoku Mathematical Journal. Second Series | issn=0040-8735 | volume=9 | pages=119–221|url=http://projecteuclid.org/euclid.tmj/1178244839 | doi = 10.2748/tmj/1178244839 | 언어=fr}}</ref>가 이를 "아벨 범주"({{llang|fr|catégorie abélienne}})라는 이름으로 독자적으로 재도입하였다. 그로텐디크는 이 논문에서 [[층 코호몰로지]]와 [[군 코호몰로지]]를 아벨 범주의 개념을 사용하여 일관되게 다루는 데 성공하였다. 이 논문은 [[도호쿠 대학]] 저널에 출판되었으므로 흔히 "도호쿠 논문"이라고 불린다.
 
이후 솔 루브킨({{llang|en|Saul Lubkin}})<ref>{{저널 인용|제목=Imbedding of abelian categories|이름=Saul|성=Lubkin|저널=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jstor=1993379|doi= 10.1090/S0002-9947-1960-0169890-3 |언어=en}}</ref>과 피터 존 프레이드({{llang|en|Peter John Freyd}})<ref>{{저널 인용|이름=Peter John|성=Freyd|출판사=Harper and Row|날짜=1964|제목=Abelian categories|언어=en}}</ref>가 모든 아벨 범주는 어떤 가군 범주 속에 [[충실한 함자|충실한]] [[완전 함자]]로 매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으며, 곧 배리 미첼({{llang|en|Barry Mitchell}})<ref name="Mitchell"/>은 이 함자를 항상 [[충실충만한 함자]]로 잡을 수 있음을 보였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