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보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ca:Correcció gamma
Wikier.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이 동음이의 처리함: 양자화 을 양자화 (정보 이론)로 연결
20번째 줄: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 ([[청각]]과 같은 다른 [[감각]]들도 자극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채널 당 8 bit와 같이 한정된 [[정보표현량]](bit depth)안에서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는 양이 변할때 부드럽게 느껴지지 않고 단절되어 보이는 현상(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표현량의 한계 안에서 최적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선 비선형적으로 부호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 Rec. 709 transfer function과 같은 비선형 함수 사용)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JPEG]], [[TIFF]] 형식으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감마 보정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RAW 그래픽 파일 포맷]]은 감마 보정이 적용되지 않은 데이터이다. 하지만, [[니콘]]의 압축형 NEF (compressed NEF)의 경우 bit depth를 9.4 bit으로 줄이는 [[양자화 (정보 이론)|양자화]](quantization)과정에서 감마 곡선과 유사한 비선형 곡선(전달 함수)을 사용한다.
 
== 감마 보정에 대한 오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