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6번째 줄:
다른 한편으로 {{Harvtxt|Strauss|1958|p=11}}는 "만일 우리가 마키아벨리는 근본적으로 애국자 혹은 과학자라 인정해야만 할지라도, 우리는 그가 악의 전파자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ref>Concerning being a scientist, {{Harvtxt|Strauss|1958|pp=54~55}} says that this description of Machiavelli as a scientist "is defensible and even helpful provided it is properly meant" because ''The Prince'' "conveys a general teaching" and only uses specific historical facts and experience as a basis for such generalizing. On the other hand {{Harvtxt|Strauss|1958|p=11}}: "Machiavelli's works abound with "value-judgments". Concerning patriotism {{Harvtxt|Strauss|1958|pp=10~11}} writes that "Machiavelli understood it as collective selfishness." It is Machiavelli's indifferent "comprehensive reflection" about right and wrong, which is "the core of Machiavelli's thought," not love of the fatherland as such.</ref> 뿐만 아니라 마키아벨리는 "그가 무엇을 하는지 알만큼 사려깊고, 그의 사리에 맞는 친구에게 그것을 시인할 만큼 너그럽다."<ref>Much of Machiavelli's personal correspondence with other Florentines is preserved, including some of the most famous letters in Italian. Of particular interest for example, are some of his letters to [[Francesco Vettori]] and [[Francesco Guicciardini]], two men who had managed to stay in public service under the Medici, unlike Machiavelli. To Guicciardini for example he wrote concerning the selection of a preacher for Florence, that he would like a hypocritical one, and "I believe that the following would be the true way to go to Paradise: learn the way to Hell in order to steer clear of it." (Letter 270 in {{Harvcoltxt|Machiavelli|1996}})</ref>
 
마키아벨리는 [[관념론|이상주의]]가 아닌 [[현실주의]]의 필요를 강조했다. 군주론에서 그는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운명을 통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가 생각하는 최고의 윤리적, 정치적 목적을 설명하지 않는다. 마키아벨리는 지도자가 되려는 자는 저절로 영예와 명예를 목표로 삼는다는 점을 당연시 했다. 그는 이러한 목표를 지도자의 '[[덕|역량]](virtue)'과 '사려분별(prudence)'의 필요성과 연관지었으며 그러한 역량을 바람직한 정치와 진정한 공익에 필수적이라 보았다. 위인들이 그들의 역량과 사려분별을 발전시키고 이용해야 한다는 것은 가톨릭 군주에게 하는 충고의 전통적인 주제였다.<ref>{{Harvcoltxt|Gilbert|1938}}</ref> 그리고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하더라도 {{Harvtxt|Fischer|2000|p=75}}가 말한 대로, 더 큰 역량이 운명에 덜 의존한다는 것은 고전적으로 마키아벨리 당대의 "[[인문주의|인문주의자]]의 상투적인 표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마키아벨리는 그의 의견에 의하면 그들의 기독교 신앙 때문에 운명에 맡겨 버린, 그러므로 부적절한 지도자에게 맡겨버리는 그가 살았던 시대의 다른 저자들을 넘어선 그 이상의 것이었다. 그는 그러한 단어의 기존의 기독교적 의미와는 대조적으로, '역량'과 '사리분별'이란 단어를 영예를 추구하는 것과 품성의 기상이 넘치는 뛰어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