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형 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Inside the bus.jpg|250px|thumb|right|입석형 버스의 내부([[대한민국]] [[경기도]])]]
'''입석형 버스'''(立席形-)는 일반적인 형태의 버스에서 좌석을 줄여 그 대신 많은 입석 승객을 승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버스 차량의 일종으로 가장 대중적인 버스이다.
* 그 특수성 때문에, 주로 장거리보다는 중단거리에 더 많이 활용되며, 대중교통의 수요가 많은 도심지역을 비롯한 주요 거점지역의 [[시내버스]]나 [[농어촌버스]] 등의 형태로서 많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에서는 '''도시형 버스, (시내)일반 버스'''라 불린다.
 
* 차내 공간이 넓고, 간단한 좌석이 소수 설치되어 있으며, 천장에 안전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 중간에 승객의 승하차 목적의 정차가 잦은 점을 감안하여 승차용도의 문과 하차용도의 문을 따로 둔 특징이 있는데 차체 전방쪽의 문이 승차를 담당하고 차체 가운데쪽의 문이 하차를 담당한다.
* 또한, [[굴절버스]]는 이러한 입석형 버스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더 많은 입석 승객을 태워 나를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 [[저상버스]]도 대체적으로 입석형(도시형) 버스로 운행한다.
* 일부 지역에서는 회사 재량으로 좌석형 버스에 해당하는 차량을 사용하면서 타 입석형 버스와 같은 요금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협진여객 50번, 시흥교통 5602번, 백성운수 70번, 부천버스 88번, 선진버스 90번 등)
 
* [[서울특별시]]의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입석형(도시형) 버스'라는 명칭이 없으나, 모든 [[간선버스]]와 대부분의 [[지선버스]]가 다른 지역의 입석형 버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외에도 대부분의 광역시와 [[창원시]] 등 일부 시 지역에서도 [[간선버스]]와 [[지선버스]]가 입석형 버스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