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중력의 영향; 예쁘게 바꿈
22번째 줄:
오른쪽 그림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에 의한 중력렌즈효과의 시뮬레이션이다. 중력렌즈에 의한 이차적인 은하의 상이 실제 은하 위치의 반대쪽에서 관찰되며, 이 이차적인 상은 블랙홀의 아인슈타인 반지름(Einstein radius) 안에 위치한다. 이차적인 상의 크기는 원래의 은하 위치가 블랙홀에 가까워질수록 커진다. 원래 은하의 상과 이차적인 상 모두 겉보기 밝기는 일정하지만, 둘 사이의 각 크기는 변화한다. 이것이 멀리 떨어진 관찰자에 의해 관측되게 되면, 은하의 광도가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은하가 정확히 블랙홀 뒤에 위치한 경우에 은하의 겉보기 밝기가 최대로 관측된다.
 
== 중력 렌즈 효과의 종류 ==
중력 렌즈 효과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ref>{{서적 인용 | 제목 = The Galactic Supermassive Black Hole | 저자 = Melia, Fulvio | authorlink = Fulvio Melia | 출판사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연도 = 2007 | isbn = 0-691-13129-5 | pages = 255–256}}</ref>
 
==== 강한 렌즈효과 (Strong lensing) ====
쉽게 볼 수 있는 왜곡, 예를 들어 [[아인슈타인 링]]의 형태, 원호, 다중 상(multiple images).
==== 약한 렌즈효과 (weak lensing) ====
광원의 왜곡이 매우 작아지고, 많은 수의 광원의 분석을 통해 겨우 몇 퍼센트의 일관성 있는 왜곡이 발견된다.
 
많은 수의 멀리 떨어진 은하의 형태와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값들의 평균치로 부터 중력 렌즈효과가 얻어진다. 이 측정값으로부터 공간의 질량분포, 특히 [[암흑 물질]] 분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은하는 본질적으로 타원형이고, 약한 중력렌즈효과는 작으므로, 아주 많은 수의 은하들이 이 연구에 사용된다. 약한 중력렌즈 효과 연구에서는 주요한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통계적 오류를 조심해야 하며, 은하의 모양을 왜곡시키는 카메라의 점 퍼짐 현상과 대기층의 영향이 주의 깊게 이해 되어야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주론의 매개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며, 특히 [[암흑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ΛCDM 모형]]을 검증/발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미소 중력렌즈 효과 (microlensing) ====
중력 렌즈에 의해 겉으로 보았을 때의 모양 왜곡은 없지만, 천체로부터 관측되는 빛의 양이 변화된다. 대부분의 경우 렌즈효과를 일으키는 천체는 [[우리은하]]에 있는 주계열성이고, 배경의 광원은 우리 은하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진 별이거나 [[퀘이사]]이다. 미소렌즈효과는 매우 약한데, 예를 들어 태양 질량의 백 만 배 이상의 은하는 수 초의 각거리 만큼 떨어진 복합된 상을 만들고, [[은하단]]은 수 분의 각거리만큼의 분리된 상을 만든다. 두 경우 모두 우리 은하와의 거리는 매우 멀어서 <math>10^8</math>[[파섹]] 이상 떨어져 있다.
 
49번째 줄:
=== 우주의 기하학적 구조 ===
 
전면에 있는 [[은하단]]에 의한 강한 중력렌즈효과와 약한 중력렌즈효과를 이용하면 [[암흑 물질]]의 양과 분포도 연구할 수 있다. [[파일:789px-COSMOS_3D_dark_matter_map.jpg‎|thumb|right|Mass map|암흑물질의 삼차원 분포 지도. 허블우주망원경의 약한중력렌즈효과 측정으로부터 재구성되었다]] 이를 포함하여 전면 렌즈 안에서의 질량분포가 이해된다면, [[암흑 에너지]]와 [[허블상수]]로 기술되는 우주의 팽창 효과를 더욱 정확히 이해 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76번째 줄:
 
== 기타 출처 ==
* "''[http://www.sciencenews.org/view/generic/id/33082/title/Math_Trek__Accidental_astrophysicists Accidental Astrophysicists]''". Science News, June 13, 2008.
* "''[http://www.tat.physik.uni-tuebingen.de/~frutto/ XFGLenses]''". A Computer Program to visualize Gravitational Lenses, Francisco Frutos-Alfaro
* "''[http://web.archive.org/web/20070929124804/http://www.btinternet.com/~Boughen/G-LenS G-LenS]''". A Point Mass Gravitational Lens Simulation, Mark Boughen.
* Newbury, Pete, "''[http://www.iam.ubc.ca/old_pages/newbury/lenses/lenses.html Gravitational Lensing]''". Institute of Applied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Cohen, N., "Gravity's Lens: Views of the New Cosmology", Wiley and Sons, 1988.
84번째 줄:
* "''[http://imagine.gsfc.nasa.gov/docs/features/news/grav_lens.html Gravitational lensing]''". Gsfc.nasa.gov.
* Bridges, Andrew, "''[http://www.signonsandiego.com/news/science/20040215-1033-ca-farthestgalaxy.html Most distant known object in universe discovered]''". [[Associated Press]]. February 15, 2004. (Farthest galaxy found by gravitational lensing, using Abell 2218 and Hubble Space Telescope.)
* [http://sciencecareers.sciencemag.org/career_development/previous_issues/articles/2006_05_12/analysing_corporations_and_the_cosmos/(parent)/12100 Analyzing Corporations ... and the Cosmos] An unusual career path in gravitational lensing.
* "''[http://cfa-www.harvard.edu/castles HST images of strong gravitational lenses]''".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 "''[http://uk.arxiv.org/abs/astro-ph/0404309 A planetary microlensing event]''" and "''[http://arxiv.org/abs/astro-ph/0505451 A Jovian-mass Planet in Microlensing Event OGLE-2005-BLG-071]''" , the first [[Extrasolar planet|extra-solar planet]] detections using microlensing.
* [http://xstructure.inr.ac.ru/x-bin/theme3.py?level=2&index1=-188353 Gravitational lensing on arxiv.org]
* [http://www.aoc.nrao.edu/~smyers/class.html NRAO CLASS home page]
* [http://www.atnf.csiro.au/research/AT20G AT20G survey]
* [http://cdsads.u-strasbg.fr/full/1981Ap%26SS..78..199B ''A diffraction limit on the gravitational lens effect'' (Bontz, R. J. and Haugan, M. P. "Astrophysics and Space Science" vol. 78, no. 1, p. 199-210. August 1981)]
 
== 더 읽어 보기 ==
* {{저널 인용
| 저자 = Blandford & Narayan
| 연도 = 1992
104번째 줄:
}}
* {{저널 인용|제목=Weak Gravitational Lensing|저자=Matthias Bartelmann and Peter Schneider|작성 일자=2000-08-17|format=PDF|url=http://www.mpa-garching.mpg.de/Lenses/WLRevEls.pdf}}
* {{저널 인용| 저자=Dmitry Khavinson | 공저자=Genevra Neumann | url=http://www.ams.org/notices/200806/tx080600666p.pdf | 제목=From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to Astrophysics: A "Harmonious" Path | 저널=Notices | 출판사=AMS | 작성월=June/July | 연도=2008 | volume=55 | issue=6 | pages=666–675}}.
* {{서적 인용 | 저자=Arlie O. Petters |공저자=Harold Levine, Joachim Wambsganss | url=http://www.springer.com/birkhauser/physics/book/978-0-8176-3668-5 | 제목=Singularity Theory and Gravitational Lensing | series=Progress in Mathematical Physics | volume=21 | 출판사=Birkhäuser | 발행 년도=2001 }}
* [http://www.matnat.uio.no/proveforelesninger/g-i/haugan-stein-vidar-hagfors.xml ''Tools for the evaluation of the possibilities of using parallax measurements of gravitationally lensed sources'' (Stein Vidar Hagfors Haugan. June 2008)]
 
== 바깥 고리 ==
{{commonscat|Gravitational lensing}}
* {{언어고리|en}} [http://www.pdxjustice.org/node/54 Video: Evalyn Gates - Einstein's Telescope: The Search for Dark Matter and Dark Energy in the Universe], presentation in Portland, Oregon, on April 19, 2009, from the author's recent book tour.
* {{언어고리|en}} [http://www.astronomycast.com/stars/episode-37-gravitational-lensing/ Audio: Fraser Cain and Dr. Pamela Gay - Astronomy Cast: Gravitational Lensing, May 2007]
 
{{항성}}
120번째 줄:
[[분류:중력]]
[[분류:중력렌즈| ]]
[[분류:중력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