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8.239.103.88(토론)의 15801883판 편집을 되돌림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전자 정부가 온라인 정부나 인터넷 기반 정부로 여겨지지만, 인터넷 기반이 아닌 많은 전자 정부 기술이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팩스, [[PDA]], [[SMS]] 텍스트 메시징,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무선 네트워크 및 서비스, [[블루투스]],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추적 시스템, [[RFID]], [[생체]] 인식, 도로 교통 관리, [[스마트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부경대]]공간정보연구소장 [[이상윤]]교수의 견해에 따르면,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라는 용어와 개념은 미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명확한 개념의 정의 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미국의 NPR(1993)보고서에서 정보기술을 통한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으로 단편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이후 우리 한국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 이후 전자정부는 점차적으로 정보통신기술과 행정과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개념으로 변화해왔는데, 사실 전자정부는 기술과 행정환경에 따라서 변화해왔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학술적으로 혹은 실무적으로 명확하게 그 정의를 한정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윤 교수는 전자정부의 개념에 대해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업무와 대민서비스를 전자적으로 처리한다는 것이며, 이를 활용하여 행정서비스 체계를 일원화하고 공개함으로써 정부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정의하였다.<ref>한국 전자정부 정책변동 연구, 부산대학교 경제통상대학 공공정책학과 이상윤 박사학위논문 8-9쪽 http://academic.naver.com/view.nhn?dir_id=0&page=0&query=%EC%A0%84%EC%9E%90%EC%A0%95%EB%B6%80%EC%A0%95%EC%B1%85%EB%B3%80%EB%8F%99&doc_id=100690875&ndsCategoryId=10204</ref>
 
== 대한민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