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지방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한국어 위키백과와 무관하게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제시된 출처 틀 제거.
48번째 줄:
1964년, 양에게서 발견된 효소가 ''n''−6 아라키돈 산을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 E<sub>2</sub>
<ref>{{저널 인용|author=Bergstrom, Danielson, Klenberg, and Samuelsson |title=The Enzymatic Conversion of Essential fatty Acids into Prostaglandins |journal=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ume=239 |issue=11 |pages=PC4006-PC4008 |date=Nov 1964 |url=http://www.jbc.org/content/239/11/PC4006.full.pdf}}</ref>
으로 변환시키며, 이 두 물질은 통증을 유발하고, 손상되고 감염된 조직의 회복과 면역 반응을 돕는다.{{출처|date=October 2010}} 1979년을 지나면서, 더욱 많은 것이 알려졌다. [[에이코사노이드]], [[트롬복산]], [[프로스타클린]], [[류코트리엔]]이 발견되었다.<ref name=Lands1992/> 에이코사노이드는 중요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방산에서 합성되고 효소에 의해 대사작용에 의해 수명이 끝나는 짧은 체내 활성 수명을 가진다. 하지만, 만약 합성 속도가 대사 속도를 넘어서면, 초과분의 에이코사노이드가 해로운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ref name=Lands1992/> 연구자들은 특정한 ''n''−3 지방산도 역시 에이코사노이드로 변환되지만, 그 속도는 훨씬 느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n''−3 지방산으로부터 만들어진 에이코사노이드는 종종 항염즘성 물질로 불리지만, 사실 그 물질들은 ''n''−6 지방산으로부터 만들어진 것보다 염증성이 약할 뿐이다. 만약 ''n''−3과 ''n''−6 지방산이 모두 존재한다면, 이 물질들은 변환되기 위해 "경쟁"할 것이고, 긴 사슬 ''n''−3:''n''−6 지방산의 비율은 생산된 에이코사노이드의 종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다.{{출처|date=October 2010}}
 
트롬복산이 혈전증으로 인한 사망과 출혈로 인한 사망을 모두 일으킬 수 있는 혈소판 응고의 인자라는 사실이 밝혀졌을 때, 이러한 경쟁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비슷하게, [[류코트리엔]]이 면역/염증 시스템 반응에 중요한 요소이고, 따라서 [[관절염]], [[루프스]], [[천식]], 염증 회복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은 ''n''−6 에이코사노이드의 합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 것에 대한 큰 관심으로 이어졌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더 많은 ''n''−3 지방산을 소모하고 ''n''−6 지방산의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ref name=Lands1992/>
 
에틸 에스터로 처방될 때, ''n''−3 지방산 EPA는 resolvin과 omega-3-oxylipin으로 불리는 강한 항염증성 분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며,<ref>Shearer GC, Harris WS, Pedersen TL, Newman JW. (August 2009) Detection of omega-3 oxylipins in human plasma and response to treatment with omega-3 acid ethyl esters. ''J Lipid Res''. [http://www.jlr.org/cgi/rapidpdf/M900193-JLR200v1 Full Free text]</ref> 이는 생선 기름의 긍정적인 효과들을 일부 설명한다.{{출처|date=October 2010}}
 
n-3 지방산 DHA와 EPA는 세포막의 [[G-단백질]] [[수용체]]에 리간드로서 작용하며, 쥐에서 항염증 반응과 [[인슐린]] 감작 반응에 기여한다.<ref>Da Young Oh, Saswata Talukdar, Eun Ju Bae, Takeshi Imamura, Hidetaka Morinaga, WuQiang Fan, Pingping Li, Wendell J. Lu, Steven M. Watkins, Jerrold M. Olefsky. (September 2010) GPR120 Is an Omega-3 Fatty Acid Receptor Mediating Potent Anti-inflammatory and Insulin-Sensitizing Effects. Cell, Volume 142, Issue 5, 687-698, 3 September 2010. [http://www.cell.com/abstract/S0092-8674(10)00888-3]</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