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구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오타를 고침
태그: m 모바일 앱 거짓된 편집 요약의 문서 훼손 가능성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242년]]에 [[고구려]]가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자 이에 [[오환족]]<ref>《관구검기공비》 "討寇將軍 巍烏丸單于"</ref>과 [[선비족]]<ref>《십육국춘추》 전연록 모용외 "祖木延 左賢王 從毋丘儉征高麗有功"</ref>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공격하였다. 관구검은 고구려의 [[동천왕]](東川王)을 맞아 처음에는 비류수와 양맥곡에서 각기 3천 군사가 참획되는 등 고전했지만, 이후 고구려군 2만 가운데 1만 8천여 명을 죽이는 대승을 거두고 수도 [[환도성]]을 함락하였다. 이후 관구검이 다시 고구려를 공격하자, 동천왕은 [[옥저]]로 도망하였다.
 
위나라가 공손씨(公孫氏)를 멸망시킨 다음, 당시 유주자사이던 관구검을 보내어 고구려를 칠 때(244~245), 관구검은 그 예하의 현도 태수 [[왕기(공여)|왕기]](王頎)를 부여에 보냈다. 부여의 위거왕은 견사를 보내어 교외에서 왕기를 맞게 하고, 군량을 보내었다. <ref>[[진수 (서진)|진수]](3세기),《[[삼국지]]》〈[[:s:zh:三國志삼국지/卷30권30|卷30 烏丸鮮卑東夷傳권30]]〉 부여 조(夫餘 條) “正始中,幽州刺史毌丘儉討句麗,遣玄菟太守王頎詣夫餘,位居遣大加郊迎,供軍糧。”(정시 년간(240년에서 249년 중순에4월까지)에 유주자사인 관구검이 고구려를 토벌하면서 현도 태수 왕기를 부여에 보냈고, 위거는 견사를 보내어 교외에서 (왕기를 ) 맞게 하고, 군량을 보내었다.)</ref>그러나 왕기(王頎)가 부여에 들른 것은 고구려 원정의 길에 올랐을 때가 아니라 그것이 완료된 후 회군할 때의 일로 보는 설도 있다. 즉, 고구려의 동천왕을 [[북옥저]]에까지 추격한 왕기(王頎)는 [[간도]] 지방에서 [[무단 강]] 유역으로 진군하여, 그 서북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백산계(小白山系)의 산맥을 넘어 부여가 자리잡고 있는 아러추허(阿勒楚喀) 평야를 거쳐 오늘날 [[푸순 시]]가 있는 현도 군치(玄菟郡治)로 개선, 귀진(歸陣)하였다는 것이다.<ref>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曹魏の東方經略〉《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12(1930)</ref> 그러나 왕기(王頎)가 동북 만주(滿洲)의 밀림 지대를 크게 우회, 부여를 거쳐 귀진(歸陣)하였다는 데는 반론도 있어<ref>와다 기요시(和田淸),〈魏の東方經略と扶餘城の問題〉《東洋學報》32卷 3號 (1950)</ref>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ref>{{웹 인용 | url = http://db.history.go.kr/front2010/dirservice/JO/viewJuJO.jsp?pPageLevel=6&pLevel=5&pType=T&pDatabaseID=jo_004_001&pRecordID=jo_004_001c_02_026 |제목 = 중국정사조선전 주석보기 > 三國志 卷 030 魏書 30 東夷傳 第 030 |출판사 = 국사편찬위원회 | 인용문 = 이는 魏가 公孫氏를 멸망시킨 다음 幽州刺史 毌丘儉을 보내어 고구려를 칠 때(244~245) 그 예하의 玄菟太守 王頎가 夫餘에 온 사실을 가리킨다. 그러나 王頎가 夫餘에 들른 것은 高句麗 원정의 길에 올랐을 때가 아니라 그것이 완료된 후 回軍할 때의 일로 보는 설도 있다. 즉, 高句麗의 東川王을 北沃沮에까지 추격한 王頎는 間島 지방에서 瑚爾喀河(牧丹江) 유역으로 진군하여, 그 서북으로 연결되어 있는 小白山系의 산맥을 넘어 夫餘가 자리잡고 있는 阿勒楚喀 평야를 거쳐 오늘날 撫順市가 있는 玄菟郡治로 개선, 歸陣하였다는 것이다. (池內宏, 「曹魏の東方經略」)그러나 王頎가 동북 滿洲의 密林 지대를 크게 迂廻, 夫餘를 거쳐 歸陣하였다는 데는 反論도 있어(和田淸,「魏の東方經略と扶餘城の問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參考文獻≫李基白·李基東 共著,『韓國史講座』(古代篇), 1982.池內宏, 「曹魏の東方經略」『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12, 1930.和田淸,「魏の東方經略と扶餘城の問題」『東洋學報』32卷 3號, 1950.}} </ref>
 
관구검은 현도 태수를 보내어 동천왕을 추격하고 왕기는 다시 따로 군사를 보내어 동천왕을 추격하였으나, 고구려 장수 유유와 밀우의 활약으로 동천왕은 위나라 군대의 추격에서 벗어나 관구검이 철수한 뒤 환도성으로 돌아왔다.<ref>관구검의 1차, 2차 공격 시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설이 있다. 《삼국지》 위서 제왕방기(齊王芳紀)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관구검의 고구려 정벌을 정시 7년(246년)의 일로 기록하고 있다. 《삼국지》 위서 고구려전에는 정시 5년(244년)에 정벌한 것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 위서 관구검전과 《관구검기공비》에는 정시 중에 1차 정벌하고, 정시 6년(245년)에 2차 정벌한 것으로 되어 있다. 《양서》 고구려전에는 정시 5년(244년)에 1차 정벌하고, 정시 6년(245년)에 2차 정벌한 것으로 되어 있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