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킴 (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77번째 줄:
 
=== 몰입과 부분 스킴 ===
두 [[국소환 달린 공간]] <math>(Y,\mathcal O_Y)</math>, <math>(X,\mathcal O_X)</math> 사이의 사상 <math>\iota\colon Y\to X</math>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열린 몰입]]'''({{llang|en|open immersion}})이라고 한다.
* <math>\iota</math>는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의 열린 [[매장 (수학)|매장]]이다. 즉, <math>\iota</math>는 [[단사 함수]]이며, <math>\iota(Y)\subset X</math>는 [[열린집합]]이다.
* <math>\iota^*\mathcal O_X\cong\mathcal O_Y</math>이다.
두 [[국소환 달린 공간]] <math>(Y,\mathcal O_Y)</math>, <math>(X,\mathcal O_X)</math> 사이의 사상 <math>\iota\colon X\to Y</math>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닫힌 몰입]]'''({{llang|en|closed immersion}})이라고 한다.
* <math>\iota</math>는 [[위상 공간 (수학)|위상 공간]]의 닫힌 [[매장 (수학)|매장]]이다. 즉, <math>\iota</math>는 [[단사 함수]]이며, <math>\iota(Y)\subset X</math>는 [[닫힌집합]]이다.
* [[층 (수학)|층]]의 사상 <math>\iota^\#\colon \mathcal O_X\to f_*\mathcal O_Y</math>은 [[전사 사상]]이다.
 
스킴 <math>(X,\mathcal O_X)</math>의 '''열린 부분 스킴'''({{llang|en|open subscheme}})은 위상 공간으로서 <math>X</math>의 열린 부분 공간[[열린집합]] <math>U\subset X</math>이며, <math>U</math> 위의 구조층은 층의 역상 <math>f^*\mathcal O_X</math>이다.<ref name="Hartshorne"/>{{rp|79, Exercise II.2.2; 85}} 이에 따라, [[열린 몰입]] <math>U\to X</math>가 존재한다.
 
스킴 <math>(X,\mathcal O_X)</math> 위에, [[준연접층]]인 [[아이디얼 층]] <math>\mathcal J</math>가 주어졌을 때, <math>\mathcal J</math>에 대응하는 '''닫힌 부분 스킴'''({{llang|en|closed subscheme}})은 집합으로서 [[닫힌집합]] <math>\operatorname{supp}\mathcal J\subseteq X</math>이며, 그 위의 구조층은 <math>(\mathcal O_X/\mathcal J)|_{\operatorname{supp}\mathcal J}</math>이다.<ref name="Hartshorne"/>{{rp|85}} 이에 따라, [[닫힌 몰입]] <math>\operatorname{supp}\mathcal J\to X</math>가 존재한다. 스킴의 열린 부분 집합이 주어지면 이에 대응하는 열린 부분 스킴이 유일하게 결정되지만, 스킴의 닫힌 부분 집합이 주어지면 이에 대응하는 닫힌 부분 스킴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스킴 <math>X</math>의 '''부분 스킴'''(部分scheme, {{llang|en|subscheme}}, {{llang|fr|sous-schéma}})은 열린 부분 스킴의 닫힌 부분 스킴이다.<ref name="EGA1-1ed"/>{{rp|120, Définition I.4.1.3}} <math>X</math>의 부분 스킴 <math>Y</math>의 부분 스킴 <math>Z</math>가 주어졌을 때, <math>Z</math>는 <math>X</math>의 부분 스킴이다.<ref name="EGA1-1ed"/>{{rp|120–121, Proposition I.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