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포로수용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
 
'''거제도포로수용소'''({{lang|en|Koje POW Camp}})는 [[1950년한국전쟁]] 당시 사로잡은 [[6월 25일조선인민군]] [[한국전쟁중공군]] 당시 사로잡은 북한군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육지와의 교통수단이 배 밖에 없었던 [[거제도1951년]]부터 [[1951년]]부터고현동 (현 [[거제시)|고현리]]) 고현리, 수월리 등지를 중심으로 설치한 수용소이다. [[1983년수양동|수월리]]을 중심으로 [[12월 20일거제도]] 경상남도일대에 문화재자료설치된 제99호로 지정되었다수용소이다.
 
[[거제도]]는 육지와 가까워 포로를 수송하기 수월하면서도, 당시에는 육지와의 교통수단이 배 밖에 없어서 포로를 격리 수용하기에 적합했기 때문에 이곳에 포로수용소가 설치되었다. [[1983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되었다.
 
== 개요 ==
=== 시설과 규모 ===
[[File:Geoje-POW Camp entrance.jpg|thumb|220px|거제포로수용소 입구]]
[[1950년]] [[11월 27일]] 유엔군에 의해 현재의 [[거제시]] [[고현동 신현읍(거제시)|신현동]], [[수양동]], [[연초면]], [[남부군]] 일대의 1,200헥타르 규모의 수용소가 설치되었고, [[1951년]] 2월부터 포로수용소 업무가 시작되었다. 포로수용소는 60, 70, 80, 90 단위의 숫자가 붙은 구역으로 나뉘었고, 1개의 단위구역(enclose)에는 6,000명을 수용하였다. 각 구역의 하부 구조로 수용동(compound)이 있었고, 전체 수용소는 4개의 구역과 28개의 수용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앙 계곡에는 제6구역, 동부 계곡에는 제 7, 8, 9 구역이 설치되었다. 또한 이러한 시설과 규모를 자체 지원할 수 있는 비행장, 항구, 보급창, 발전선박, 병원, 도로, 탐조등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 수용===
줄 31 ⟶ 33:
[[1953년]] [[6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의 반공 포로의 일방적인 석방으로 27,389명이 탈출하였고, 친공 포로의 소환과 등 존재의 이유가 없어져서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조인으로 인해 폐쇄되었다.
 
현재는 잔존건물 일부만 남아서 이곳에 당시 포로들의 생활 상이나 모습, 의복, 무기 등을 전시해 놓고 있으며, 최근 기존의 시설을 확장하여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으로 탈바꿈하여 전쟁의 역사와 산 교장으로 활용되고 있다.<ref>{{서적《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 인용 |이름=거제시시설관리공단, |제목=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2009년 |꺾쇠표=예1월 |출판사=거제시시설관리공단31일 |확인일자=2009-01-31}}확인.</ref>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은 [[1983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되었고, 야외 캠프와 일부 유적터만 남아 있던 포로수용소 유적지를 확장하여 [[1999년]] 유적관을 1차로 개관하였고, 2002년 11월 30일 유적공원을 준공하여 2차로 개관하였으며, 2005년 5월 27일에는 흥남철수작전 기념 조형물을 준공하여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으로 탈바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