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 (춘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 생애 ==
=== 청년기 ===
관중은 [[기원전 725년]] 제나라 영상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있다알려져 있다. 영상은 영수 근처에 위치한 상업의 중심지로, 수운을 통해 교류하기 쉬운 곳이다. 경제를 중요시 했던 관중의 사상은 자신의 출생지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젊은 시절 포숙과[[포숙]]과 함께 지냈으며, 널리 알려져 있는 "관포지교"의“관포지교”의 기록외에는기록 외에는 알려진 바 없다. 다만 출신지인 영상의 특성과 관포지교의 내용 중 상업과 관련된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때 상업에 종사한 것으로 보인다.
관중과 포숙은 각각 제나라의 공자인 규와 소백을 모셨다. [[제양공]]이 관지보와 연칭에게 시해당하고 제나라의 군주자리가군주 자리가 공석이 되자, 관중과 포숙은 각기 규와 소백을 모시고 제나라를 향했다. 포숙의 신속한 대처로 소백이 먼저 군주의 자리에 오르니 그가 바로 [[제환공]]이다. 관중이 모시던 규가 죽고, 노나라로 망명했던 자신 역시 목숨이 위태로워졌으나, 포숙의 천거로 그는 하루아침에 제나라의 재상에 오르게 된다.
 
=== 관료시절 ===
관중이 제환공에게 중용되어 재상이 되었을 때는 [[기원전 686년]]. 중원을 차지하고 있던 주왕실의 통제력을 갈수록 약해지고 [[제]](齊), [[초]](楚), [[진]](晉), [[진]](秦), [[연]](燕), [[노]](魯) 등을 비롯한 [[제국]](諸國)들이 차츰 중앙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국의 실리를 취하며 군웅할거하던 시절이다.
 
관중이 재상이 된 후 [[기원전 681년]] 노나라와의 전쟁에서 이겨 화의를 하던 과정에서 노나라의 장수 [[조말]]이 단도로 제환공을 위협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조말은 제나라에서 가져갈 노나라 영토를 돌려달라고 했고, 위협에 못이긴 제환공은 그러겠다고 했지만, 속으로는 영토를 돌려주지 않고 그를 죽이려 했다. 관중은 제환공을 말리며 군주가 한번 뱉은 말을 지키지 않으면 어떤 제후도 이후에 제나라를 믿고 따르지 못할 것이라며 "신의"에“신의”에 대해 설명했다. 결국 노나라의 영토는 다시 돌려줬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제환공의 명성은 중원에 퍼졌다.
 
제환공 재위 7년 ([[기원전 679년]])에 [[위]](衛)의 견(甄)에서 회맹을 열고 패자의 지위에 오른다.
 
훗날 관중이
“내가 예전에 곤궁할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이익을 나눌 때 내가 더 많이 차지하곤 했다. 그럼에도 포숙이 나를 탐욕스럽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가난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내가 포숙을 대신해서 어떤 일을 벌이다가 (실패해 그를) 더욱 곤궁하게 했건만, 포숙이 나를 어리석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시운이 좋을 때와 나쁠 때가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또 내가 일찍이 세 번이나 벼슬길에 나섰다가 세 번 모두 군주에게 내쫓기고 말았으나, 포숙이 나를 못났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아직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세 번 싸움에 나가 세 번 모두 도망쳤을 때에도 포숙이 나를 겁쟁이라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나에게 노모가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공자 규가 (왕위를 놓고 다투다가) 패하자, 소홀(召忽)은 죽고 나는 붙잡혀 굴욕을 당했을 때에도 포숙이 나를 수치도 모르는 자라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사소한 일에는 수치를 느끼지 않으나 천하에 공명을 날리지 못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를 낳아준 것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주는 것은 포숙이다.”<ref>네이비 지식백과사전 사기 열전 권62 관안열전</ref>라 말하였는데, 고사성어 "관포지교"의 유래이다.
 
=== 사망 ===
줄 72 ⟶ 69:
 
*[[논어]] 헌문편에서 [[공자]]는 관중의 사람됨이 인(仁)하지 못하다 평가했다. 그러나 동시에 관중이 아니었다면, 오랑캐로부터 주나라를 지켜내지 못했을 것이라 말한다. 이는 관중의 존왕양이의 과정이 옳다고 볼 순 없지만, 그러한 과정을 통해 화하족의 문명권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자는 관중에 대해 상당히 객관적인 시각의 평을 내렸다 볼 수 있다.
 
== 일화 ==
 
“내가{{인용문|내가 예전에 곤궁할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이익을 나눌 때 내가 더 많이 차지하곤 했다. 그럼에도 포숙이 나를 탐욕스럽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가난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내가 포숙을 대신해서 어떤 일을 벌이다가 (실패해 그를) 더욱 곤궁하게 했건만, 포숙이 나를 어리석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시운이 좋을 때와 나쁠 때가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또 내가 일찍이 세 번이나 벼슬길에 나섰다가 세 번 모두 군주에게 내쫓기고 말았으나, 포숙이 나를 못났다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아직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가 세 번 싸움에 나가 세 번 모두 도망쳤을 때에도 포숙이 나를 겁쟁이라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나에게 노모가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공자 규가 (왕위를 놓고 다투다가) 패하자, 소홀(召忽)은 죽고 나는 붙잡혀 굴욕을 당했을 때에도 포숙이 나를 수치도 모르는 자라고 여기지 않은 것은 내가 사소한 일에는 수치를 느끼지 않으나 천하에 공명을 날리지 못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를 낳아준 것은 부모이지만 나를 알아주는 것은 포숙이다.<ref>네이비 지식백과사전 사기 열전 권62 관안열전</ref>}} 말하였는데, 고사성어 "관포지교"의 유래이다.
 
이것이 고사성어 “관포지교”의 유래이다.
 
== 저서 ==
줄 80 ⟶ 83:
 
===관련 인물===
* [[관녕]]
 
== 참고문헌 ==
줄 103 ⟶ 106:
 
{{제자백가 둘러보기}}
 
[[분류:기원전 6세기 태어남]]
[[분류:제나라생년 사람미상]]
[[분류:기원전 6세기725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8세기 태어남]]
[[분류:기원전 645년 죽음]]
[[분류:기원전 7세기 죽음]]
[[분류:제나라 사람]]
[[분류:춘추 시대의 재상]]
[[분류:춘추 시대의 정치인]]
[[분류:춘추 전국 시대의 사상가]]
[[분류:법가]]
[[분류:도가]]
[[분류:중국의 재상]]
[[분류:제나라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