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행정구역 링크 정리; 예쁘게 바꿈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8번째 줄: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평양]]의 [[정의여학교]] 교사로 근무하며 남편과 함께 이 운동에 참여했다가 구금되었다. 이 무렵 이규갑은 전국 대표들이 모여 [[기미독립선언서]] 지지를 표명한 인천의 국민대회에 참가하고 [[한성임시정부]]를 조직했으며, 이애라는 [[한남수]], [[김사국]], [[홍면희]] 등과 함께 적극 가담했다. 이규갑은 곧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망명하였다.
 
국내에 남은 이애라는 [[1920년]]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여성들의 모임인 [[애국부인회]]에 참여하여 지방의 교회를 순회하며 모금 운동을 했다. 당시 국내 각 지역 및 해외에까지 애국부인회가 조직되었고, 이애라는 애국부인회에서 중심 역할을 하면서 상하이와 연락을 취했다.
 
[[1921년]] [[천안시|천안]]의 [[양대여학교]] 교사로 있던 중 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던 이규갑 때문에 경찰의 박해가 심해지자, 시숙인 [[이규풍]]이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벌이고 있던 [[러시아]]로 탈출을 꾀했다. 그러나 [[함경북도]] [[웅기군]]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번째 줄:
시숙인 이규풍과 남편 이규갑, 이규풍의 아들 [[이민호 (독립운동가)|이민호]], 이민호의 아들 [[이길영]]이 모두 독립유공자이며, 아산에 충국순의비가 세워져 있다.<ref>《시민시대》 (2006.3.1) [http://www.magsimin.com/news/read.php?idxno=8 독립유공자 이길영 선생]</ref>
 
== 주석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