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top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1번째 줄:
{{다른 뜻|심해 (음반)||미스터 칠드런의 음반}}
'''심해'''(深海, Deep sea)는 2km 이상의 깊숙한 [[바다]]로, [[사람]]이 [[수압]] 때문에 견딜 수 없는 그 이상의 공간을 뜻한다. 수압이 매우 높아 보통 방법으로는 측량이 불가하며, [[레이더]] 등의 특수 장비로 측정해야 한다. 심해는 매우 넓어 그 면적은 전체 해양의 90%이며, 또 거기에 담겨 있는 바닷물의 부피는 전체 해양의 95%에 이른다.
 
가장 깊은 심해는 [[일본]]과 [[파푸아뉴기니]] 사이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로, 그 깊이는 최대 11,080m로 측정된다. 즉, [[에베레스트]] 높이에 3km를 더해야 하는 깊이다.
7번째 줄:
[[심해]]는 [[점심해저대]]·[[심해저대]]·[[초심해저대]]의 3 [[해저대]]로 나뉜다.
 
[[점심해저대]]는 [[상부 심해저대]]라고도 하는데, 그보다 얕은 상부 영역인 표층의 영향을 받고 있다. 여기에 사는 생물은 밤낮으로 이동하여 표층까지 도달하기도 한다. 한편 이 해저대는 경저가 적고 진흙이 많으며, 수심은 700 ~ 1,000m 부근에서부터 약 2,500 ~ 3,000m 부근까지이고, 수온은 4 ~ 10℃ 이다.
 
[[심해저대]]는 지구상에서 가장 넓어 7대양의 평탄한 밑바닥의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되며, 연니(부유 생물의 유해가 쌓여서 된 무른 흙) 등이 많다. 수심은 약 3,000 ~ 6,000m로, 중심해층의 어류는 흑색의 종류가 많은데 비하여, 여기서는 오히려 엷은색의 것이 나타나고 흰색인 것도 있다. 이 곳에 사는 [[새우류]]의 몸빛깔은 붉은색과 연분홍색이다. 또 많은 종류가 발광기를 지니고 있다. [[두족류]]는 깊은 곳에 사는 것일수록 근육질이 빈약해지므로, 표층 생활자가 강력한 근육을 가진 유영자인데 비하여 여기의 것은 [[한천질]]([[우무질]])이 풍부한 강장동물을 닮은 부유자이다. 수온은 4℃ 이하로 연중 내내 변하지 않는다.
 
[[초심해저부]]는 수심이 6,000m 이상인 가장 깊은 부분으로서 주로 해구로 된 환경이며, 수온은 1 ~ 2℃ 정도이다. 이곳에도 미약하나마 물의 흐름이 있으며, 해구끼리의 연결이 적어서 각 해구마다 [[부족류]]·[[해삼류]] 등이 독립적으로 분화되었으므로 각각의 해구에는 고유종이 살고 있다. 또 1만m를 넘는 최심부에서도 동물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ref>'심해 지역의 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16번째 줄:
심해의 생물이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심해 특유의 생물상으로 교체되는 추이대를 지나면, 식물이 전혀 살지 않는 야만인의 세계가 펼쳐진다.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바다에 사는 동물들은 항상 동굴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진화하였다. 그 첫째는 빛을 내는 발광으로, 이것은 서로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발광기의 대부분은 이들 동물의 배부분에 분포하고 있어서 밑에서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는데, 특히 발광 오징어류의 경우는 등쪽에 빛을 받는 것으로 여겨지는 '창(窓)'이 있다. 발광어에는 발광멸·슬로아니아매퉁이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갑각류 중 특히 새우류에 발광하는 것이 많다.<ref>'심해 생물의 특징',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둘째는 대형화로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해 대사 활동을 높이고, 저온과 적은 먹이로 성장이 느리기에 대신 수명을 키우기 위해 커지게 됐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심해어들은 적은 먹이감으로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몸집이 작은 편이다. <ref>《해양과학용어사전》,2005,아카데미서적</ref>
 
== 주석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