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도시의 발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필요|날짜=2011-2-20}}
고대 도시는 지배자가 주변의 농민(노예)을 지배하기 위한 정치 무대 및 그 사람들이 농민으로부터 거둔 생산물을 소비하는 장소로서 존재했다. 여기에 대해서 유럽 중세 도시는 화폐경제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는 상공업자의 집주지(集住地) 성격을 가지게 된 점에 특징이 있다(고대 도시의 시민은 정치인(home politicus)인 데 대해서, 중세 도시의 시민은 경제인(home economicus)이라 불린다. 유럽 중세 도시는 그 성격으로 보아 크게 남구(南歐) 도시와 북구(北歐) 도시로 나눌 수 있다. 남구 도시는 지중해를 중심으로 하는 고대 상업의 전통이 있기 때문에 십자군을 계기로 하는 11,12세기의 상업 르네상스 시기에 북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재빨리 발달했다. 그러나 이 때에 도시를 지배한 것은 이 상업적 이익을 독점하려고 하는 근린(近隣) 농촌지대 출신의 봉건 영주 등이며, 지배자가 상업 활동의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는 점에서 고대 상업의 성격을 남기고 있다. 한편, 북구 도시에서는 11세기 농업 생산의 발전과 이에 따른 잉여생산물의 축적이 있어서 차츰 상공업이 발달했다. 상인·수공업자는 이즈음부터 고대 도시의 옛터, 성채(城砦), 교회 소재지, 교통의 요지 등에 정주하며, 그 곳을 거점으로 하여 원격지 상업에 진출하였고, 또한 수공업을 거점으로 하여 원격지 상업에 진출하였으며, 수공업 생산을 발전시켰다. 경제활동이 발전하자 어느 도시에서나 조합(組合)의 결성이 이루어졌다. 생업의 수단을 가지고 있던 도시 주민 가운데서 직인(職人), 상인, 자유업자가 제각기 동업자들끼리 조합을 만들어반드시만들어 반드시 가입하게 하였다. 이렇게 해서 결성된 조합은 매우 수효가 많아져 대장장이, 구둣방, 재목상, 빵집, 여인숙 등 모두가 자기네의 조합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조합들은 피렌체에서는 소조합(小組合)이라고 불리었는데, 이 밖에 판사(判事)나 공증인의 조합, 약재상이나 향료상의 조합, 원격지(遠隔地) 상인의 조합, 환전상(換錢商)의 조합 따위와 같이 대조합(大組合)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었다. 이와 같은 조합은 프랑스나 게르만 국가들에게서는 ‘길드’, 에스파냐에서는 ‘그레미오스’라고 불리었고, 중세 후기에는 전 유럽에 널리 보급되었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매우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고, 봉건세력에 대항하여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권력을 장악하게 되기도 했다. 그러나 길드의 본질은 경제적인 성격에 있었으며, 제품의 가격을 규제하고, 임금을 결정하고, 제품의 품질의 수준을 결정하고, 제조법의 비밀을 감시하고, 새로운 사람이 길드에 참가하는 것을 엄격한 규율에 의해서 통제했다.
 
==사교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