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거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40번째 줄:
<br>解釋: śuddhāvāsa, śuddhāvāsa-deva*, śuddhāvāsika-deva*, śuddhāvāsa-prabhāva
<br>頁數: P2019"}}{{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4%BA%94%E6%B7%A8%E5%B1%85%E5%A4%A9 五淨居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ps=<br>"五淨居天:
<br>Pronunciations:
[py] wǔ jìng jūtiān
[wg] wu ching-chü t'ien
186번째 줄:
<br>10 (cap) vAsa 2 m. staying (esp. over night), abiding in (loc. or ---), abiding-place, house, home, state, condition; adj. --- living or dwelling in.
<br>11 (cap) vAsa 3 m. odour, perfume."}} 문자 그대로의 뜻은 '청정한 거처(pure abode)'이며,{{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6%B7%A8%E5%B1%85%E5%A4%A9 淨居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ps=<br>"淨居天:
<br>Pronunciations:
[py] Jìngjū Tiān
[wg] Ching-chü-t'ien
309번째 줄:
===유가사지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4권에서는,
 
: [[색계 18천]]에 대한 설명의 일부로서 다음과 같이 '''5정거천'''(五淨居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유가사지론]]》에서는 [[5정거천]]을 '''5정궁지'''(五淨宮地)라 부르고 있다. 그리고 이 다섯 처소 또는 다섯 [[하늘 (불교)|하늘]][天] 너머에 [[10지보살]](十地菩薩)이 머무는 '''대자재주처'''(大自在住處)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295a03 T30n1579_p0295a03 - T30n1579_p0295a14]. 색계 18천(色界十八天)|ps=<br>"復次色界有十八處。謂梵眾天梵前益天大梵天。此三由軟中上品。熏修初靜慮故。少光天無量光天極淨光天。此三由軟中上品。熏修第二靜慮故。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此三由軟中上品。熏修第三靜慮故。無雲天福生天廣果天。此三由軟中上品。熏修第四靜慮故。無想天即廣果攝無別處所。復有諸聖住止不共五淨宮地。謂無煩無熱善現善見。及色究竟由軟中上。上勝上極品。雜熏修第四靜慮故復有超過淨宮大自在住處。有十地菩薩。由極熏修第十地故得生其中。"}}{{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8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109 109-110 / 829]. 색계 18천(色界十八天)|ps=<br>"다음에 색계(色界)에 열 여덟 가지의 처소[處]가 있다. 즉 범중천(梵衆天)과 범전익천(梵前益天)과 대범천(大梵天)의 이 세 가지는 연(軟) 중(中) 상품(上品)으로 초정려(初靜慮)를 익혀 닦기[薰修] 때문이며, 소광천(少光天)과 무량광천(無量光天)과 극정광천(極淨光天)의 이 세 가지는 연(軟) 중(中) 상품(上品)의 제 2정려(靜慮)를 익혀 닦기 때문이며, 소정천(少淨天)과 무량정천(無量淨天)과 변정천(遍淨天)의 이 세 가지는 연(軟) 중(中) 상품(上品)으로 제 3정려(靜慮)를 익혀 닦기 때문이며, 무운천(無雲天)과 복생천(福生天)과 광과천(廣果天)의 이 세 가지는 연(軟) 중(中) 상품(上品)으로 제 4정려(靜慮)를 익혀 닦기 때문이며 무상천(無常天)은 광과천[廣果]에 딸려 있으므로 특별한 처소는 없다.
409번째 줄:
 
|bodystyle = color: #000000; {{{bodystyle|}}}
|titlestyle = background-color:#ffd068;
|basestyle = background-color:#ffd068;
|abovestyle = background-color:#ffd068; font-size: 9pt;
|belowstyle = background-color:#FFFBB5; font-size: 9pt;
561번째 줄:
==색계와 5정거천==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9권에 따르면,
 
: [[5정거천]](五淨居天) 또는 [[정거천]](淨居天)은 3가지 승생(勝生: 뛰어나게 태어남), 즉, 3가지 '[[색계]]에 태어나는 [[이숙과]]', 즉, 3가지 '색계로의 [[생천]](生天)' 가운데 하나이다. 3가지 승생은 '''이생무상천생'''(異生無想天生){{.cw}}'''유상천생'''(有想天生){{.cw}}'''정거천생'''(淨居天生)이다.
 
{{인용문4
599번째 줄:
<br>解釋:
<br>無煩天===大毗婆沙論一百七十六卷一頁云:云何無煩天?謂無煩天一類伴侶眾同分,依得事得處得;及已生彼天無覆無記色受想行識;是名無煩天。問:彼天何故名無煩耶?答:彼是假名,假想。名施設,想施設,隨欲而立,不必如名,悉有其義。復次彼天身無煩擾,心無煩擾;一期領受純寂靜樂,非下所有。故名無煩。復次彼天審見苦真是苦,集真是集,滅真是滅,道真是道;離下所起麤重煩惱;故名無煩。復次煩者,謂廣。即廣果天。今此天最初超彼,故名無煩天。
<br>二解 集異門論十四卷九頁云:云何無煩天?答:謂此與彼諸無煩天,是一類,為伴侶,共眾同分,依得事得處得皆同。又若生在無煩天中所有無覆無記色受想行識蘊,是名無煩天。復次以無煩天,於苦見苦,於集見集,於滅見滅,於道見道,故名無煩天。復次以無煩天,身無煩擾,心無煩擾。由彼身心無煩擾故;領受寂靜遍淨無漏微妙諸受。故名無煩天。復次此是彼名異語增語諸想等想施設言說,謂無煩天。故名無煩天。"}}
 
음역하여 '''아부하나'''(阿浮訶那){{.cw}}'''아비려사'''(阿鞞麗舍){{.cw}}'''아비바'''(阿毘波){{.cw}}'''아비화'''(阿卑和) 또는 '''아화천'''(阿和天)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광천'''(無廣天){{.cw}}'''무광천'''(無誑天){{.cw}}'''무구천'''(無求天){{.cw}}'''무대구천'''(無大求天){{.cw}}'''무번천'''(無繁天){{.cw}}'''무소촉천'''(無所觸天){{.cw}}'''무조천'''(無造天){{.cw}}'''무희망천'''(無希望天) 또는 '''불추천'''(不麤天)이라고도 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125&DTITLE=%B5L%B7%D0%A4%D1 無煩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0559/%E7%84%A1%E7%85%A9%E5%A4%A9 無煩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sfn|사나굴다 한역|T.24|loc=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4_p0311a21 T01n0024_p0311a21 - T01n0024_p0311a28]. 색계의 4선천(四禪天)·5정거천(五淨居天)|ps=<br>"他化天上。梵身天下。於其中間。有摩羅波旬諸天宮殿。倍梵身上。有光音天。倍光音上。有遍淨天。倍遍淨上。有廣果天。倍廣果上。有不麤天。廣果天上。不麤天下。其間別有諸天宮殿所居之處名無想眾生。倍不麤上。有不惱天。倍不惱上。有善見天。倍善見上。有善現天。倍善現上。有阿迦尼吒諸天宮殿。"}}{{sfn|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K.660, T.24|loc=제1권. 〈1. 염부주품(閻浮洲品)〉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77&startNum=6 6 / 222]. 색계의 4선천(四禪天)·5정거천(五淨居天)|ps=<br>"타화천 위와 범신천 아래의 그 중간에는 마라파순천(魔羅波旬天)들의 궁전이 있고, 범신천을 갑절 오르면 광음천(光音天)이 있고, 광음천을 갑절 오르면 변정천(遍淨天)이 있고, 변정천을 갑절 오르면 광과천(廣果天)이 있고 광과천을 갑절 오르면 불추천(不麤天)이 있다. 광과천 위와 불추천 아래의 그 중간에 따로 무상중생(無想衆生)이라 이름하는 하늘들이 살고 있는 궁전이 있다.
608번째 줄:
: [[5정거천]]의 첫 번째인 [[무번천]](無繁天)에는 세 가지 뜻이 있다.
 
: 첫째, [[번 (불교)|번]](繁)은 번잡(繁雜)을 뜻한다. 이런 뜻에서, [[무번]](無繁)은 '''최초'''(最初)를 뜻한다. 즉, 번잡함이 없는 처소 또는 [[하늘 (불교)|하늘]][天]들 중에서 가장 첫 번째[最初]라는 것을 뜻한다.
 
: 둘째, [[번 (불교)|번]](繁)은 번광(繁廣: 번잡 광대함)을 뜻한다. 이런 뜻에서, [[무번]](無繁)은 '''최열'''(最劣)을 뜻한다. 즉, 광대한 처소 또는 [[하늘 (불교)|하늘]][天]들 중에서 이곳이 가장 [[저열하다]]는 것을 뜻한다.
913번째 줄:
【범】 Pūrvavideha 수미(須彌) 4주(洲)의 하나. 또는 동불바제(東弗婆堤)ㆍ동비제하(東毘提訶). 음역하여 불우바비제하(弗于婆鼻提賀)ㆍ포리바비제하(逋利婆鼻提賀)ㆍ포아간미지갈(哺兒幹微的葛). 수미산 동쪽으로 7금산(金山)과 철위산(鐵圍山) 사이 짠물바다 가운데 있는 사람들이 사는 세계. 이 땅 사람들은 몸이 매우 훌륭하므로 승신주(勝身洲)라 한다. 땅 모양은 동쪽이 좁고 서쪽이 넓어서 세로와 넓이가 9천 유순, 반달 모양. 수명은 250세. 키는 8주(肘). ⇒비제하(毘提訶)"}}
|-
| 6 || <!--25유-->[[구야니유]](瞿耶尼有) || <!--3계-->[[욕계]] || <!--6도-->[[인간도]] || <!--선정-->[[욕계산지]](欲界散地) || <!--처소-->[[4주 (불교 우주론)|4주]](四洲) 중
* [[서우화주]](西牛貨洲) 즉 [[서구다니]](西瞿陀尼){{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5%AC%EC%95%BC%EB%8B%88&rowno=2 西瞿耶尼洲(사구야니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西瞿耶尼洲(사구야니주):
【범】 aparagodānīya 【팔】 aparagoyāna 수미산의 서쪽에 있는 대주(大洲). 서(西)는 한문, 구야니는 범어. 범어와 한문을 아울러 일컫는 말. 구야니(俱耶尼)ㆍ구다니(瞿陀尼)ㆍ구가니(瞿伽尼)ㆍ구다니야(瞿陀尼夜)ㆍ과박니(過嚩抳)라 음역. 우화(牛貨)라 번역. 여기서는 소가 많으므로 시장에서 금전과 같이 쓴다고 함."}}{{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9C%EC%9A%B0%ED%99%94%EC%A3%BC&rowno=1 西牛貨洲(서우화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西牛貨洲(서우화주):
925번째 줄:
【범】 Uttara-kuru 수미 4주의 하나. 울달라구로(鬱怛羅矩嚕)ㆍ울다라구류(鬱多羅究留)ㆍ울달라월(鬱怛羅越)이라 음역. 승생(勝生)ㆍ승처(勝處)ㆍ최승(最勝)ㆍ최상(最上)이라 번역. 수미산의 북쪽에 있음. 보통으로 북구로주(北俱盧洲)라 함."}}
|-
| 8 || <!--25유-->[[염부제유]](閻浮提有) || <!--3계-->[[욕계]] || <!--6도-->[[인간도]] || <!--선정-->[[욕계산지]](欲界散地) || <!--처소-->[[4주 (불교 우주론)|4주]](四洲) 중
* [[남섬부주]](南贍部洲) 즉 [[남염부제]](南閻浮提){{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2%A8%EC%84%AC%EB%B6%80%EC%A3%BC&rowno=1 南贍部洲(남섬부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南贍部洲(남섬부주):
또는 남염부제(南閻浮提)ㆍ염부제(閻浮提)를 말함. ⇒염부제(閻浮提)"}}{{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link=DGUL_BS_T_012340 閻浮提(염부제)]".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閻浮提(염부제):
1,046번째 줄:
<br>解釋:
<br>===(界名)Tra%yastrm%s/a,作怛唎耶怛唎奢天,多羅夜登陵舍天。譯言三十三天。欲界六天中之第二,在須彌山之頂,閻浮提之上,八萬由旬之處。此天之有情身長一由旬,衣重六銖、壽一千歲(以世間百年為一日一夜),城廓八萬由旬,名喜見城,帝釋居之。巔之四方有峰,各廣五百由旬。每峰有八天。善法堂天,山峰天,山頂天,喜見城天,缽私他天,俱吒天,雜殿天,歡喜園天,光明天,波利耶多天,離險岸天,谷崖岸天,摩尼藏天,施行天,金殿天,鬘形天,柔軟天,雜莊嚴天,如意天,微細行天,歌音喜樂天,威德輪天,日行天,閻摩那娑羅天,連行天,影照天,智慧行天,眾分天,曼陀羅天,上行天,威德顏天,威德燄輪光天,清淨天,是為三十三天。玄應音義二曰:「忉利,此應訛也。正言多羅夜登陵舍天,此譯云三十三天。」慧苑音義上曰:「忉利,訛言。正云怛利耶怛利奢,言怛利耶者此云三也。怛利舍者十三也,謂須彌山頂四方各有八天城,當中有一天城,帝釋所居。總數有三十三處,故從處立名也。」法華經勸發品曰:「若但書寫,是人命終,當生忉利天上。」"}}{{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5%BF%89%E5%88%A9%E5%A4%A9 忉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忉利天:
<br>Pronunciations:
[py] Daolì Tiān
[wg] Tao-li T'ien
1,104번째 줄:
<br>  {K.354.8} do.
<br>  Kumārajīva: {L.47c10} 有頂"}}{{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4e.xml+id%28%27b4e09-5341-4e09-5929%27%29 三十三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三十三天:
<br>Pronunciations:
[py] sānshísān tiān
[wg] san-shih-san t'ien
1,160번째 줄:
<br>解釋:
<br>佛地經論五卷十八頁云:夜摩天者:謂此天中,隨時受樂;故名時分。"}}{{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5%A4%9C%E6%91%A9%E5%A4%A9 夜摩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夜摩天:
<br>Pronunciations:
[py] Yèmó Tiān
[wg] Yeh-mo T'ien
1,202번째 줄:
<br>解釋:
<br>梵語兜率,華言知足。謂於上妙五欲知止足故也。此天由修施、戒二種福業,勝夜摩天,是以感報得生其中也。(五欲者,色欲、聲欲、香欲、味欲、觸欲也。謂之上妙者,以勝欲界麤弊五欲故也。)"}}{{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5%85%9C%E7%8E%87%E5%A4%A9 兜率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兜率天:
<br>Pronunciations:
[py] Dōushuò Tiān
[wg] Tou-shuo T'ien
1,258번째 줄:
<br>devā nirmāṇa-ratayaḥ, nirmāṇa-rati, nirmita-pura, sunirmita.
<br>頁數: P.354 - P.355"}}{{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5%8C%96%E6%A8%82%E5%A4%A9 化樂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化樂天:
<br>Pronunciations:
[py] huàlè tiān
[wg] hua-yüeh-t'ien
1,308번째 줄:
<br>解釋:
<br>佛地經論五卷十八頁云:他化自在天,樂令他化作諸樂具,顯己自在。"}}{{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4%BB%96%E5%8C%96%E8%87%AA%E5%9C%A8%E5%A4%A9 他化自在天]". 2013년 6월 16일에 확인|ps=<br>"他化自在天:
<br>Pronunciations:
[py] tāhuà zìzài tiān
[wg] t'ou-hua-tzu-tsai t'ien
1,384번째 줄:
<br>四解 如大毗婆沙論八十卷一頁至八十一卷十四頁廣說:彼云:問:此四靜慮自性云何?答:各以自地五蘊為自性,是名靜慮自性,我物自體,相分本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靜慮?為能斷結,故名靜慮;為能正觀,故名靜慮。若能斷結,故名靜慮,則無色定亦能斷結,應名靜慮。若能正觀,故名靜慮,則欲界三摩地亦能正觀,應名靜慮。有作是說,以能斷結,故名靜慮。問:諸無色定亦能斷結,應名靜慮?答:若定能斷不善、無記二種結者,名為靜慮。諸無色定,唯斷無記,非不善故,不名靜慮。問:若作是說,唯未至定可名靜慮,上地不斷不善結故?答:上地雖無彼斷對治,而有不善厭壞對治。以能厭壞,亦名能斷。問:若作是說,上地滅道法智品,及彼一切類智品,應非靜慮?皆非欲界斷及厭壞二對治故。答:彼於欲界雖無全界全地對治,而彼界地容有不善厭壞對治。由此勢力,餘亦得名。復次,四靜慮中有能對治不善結者,無色全無,故靜慮名不通無色。尊者妙音作如是說,色界六地於欲界結,皆有斷對治及厭壞對治。然未至定,已斷彼結。餘地對治,無彼可斷。雖無彼可斷,而有對治用。如日三分,皆能破暗。初分已破,餘無可破。又如六人,共一怨家,一人已殺,餘無可殺。又如六燈,皆能破暗,持一入室,其暗已除,餘五入時,無暗可破。如是六地於欲界結,皆有斷能,非唯未至。若不爾者,依上五地入見道時,應不證得欲見所斷諸結離系。既能證得,故知六地於欲界結有斷對治。復次,若定能斷見修所斷二結盡者,名為靜慮;諸無色定,唯能斷修所斷結盡,故非靜慮。復次,若能斷結,五蘊俱生,能為所依,起多功德,能具攝受四支五支,能發六通,具四通行、三種變現、三明、三根、三道、三地、四沙門果、九遍知道、見修二道、法類二智,及忍智者,名為靜慮。諸無色定雖能斷結,而不具上所說功德,故非靜慮。復有說者,以能正觀,故名靜慮。問:若爾,欲界有三摩地,亦能正觀,應名靜慮?答:若能正觀,亦能斷結,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有能正觀,而不能斷結,故不名靜慮。復次,若能正觀,堅固難壞,相續久住,於所緣境,長時注意而不捨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無如是德,故非靜慮。復次,若三摩地具有定名定用,能正觀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有定名,而無定用,如泥椽梁,有名無用,故非靜慮。復次,若三摩地非散亂風之所搖動,如密室燈,能正觀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多散亂風之搖動,如四衢燈,故非靜慮。如是說者,要具二義方名靜慮,謂能斷結,及能正觀。欲界三摩地,雖能正觀而不能斷結;諸無色定,雖能斷結,而不能正觀,故非靜慮。復次,若能遍觀、遍斷結者,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能遍觀,而不能遍斷結;諸無色定,二義俱無,故非靜慮。復次,若能靜息一切煩惱,及能思慮一切所緣,名為靜慮。欲界三摩地,雖能思慮一切所緣,不能靜息一切煩惱;諸無色定,兩義都無,故非靜慮。復次,諸無色定,有靜無慮;欲界三摩地,有慮無靜。色定俱有,故名靜慮。靜謂等引,慮謂遍觀,故名靜慮。
<br>五解 大毗婆沙論一百十一卷十頁云:四靜慮者,謂初靜慮,乃至第四靜慮。有說尋、喜、樂、捨相應靜慮,如次為四。此有二種,一修得,二生得。修得者,即彼地攝心一境性。若並助伴,即五蘊性。生得者,隨地所繫,餘五蘊為性。已說自性,當說所以。問:此四何緣,說為靜慮?答:靜謂寂靜,慮謂籌慮。此四地中,定慧平等,故稱靜慮。餘隨有闕,不得此名。此四廣如餘處分別。
<br>六解 品類足論七卷三頁云:初靜慮云何?謂初靜慮所攝善五蘊。第二靜慮云何:謂第二靜慮所攝善五蘊。第三靜慮云何?謂第三靜慮所攝善五蘊。第四靜慮云何?謂第四靜慮所攝善五蘊。"}}
* {{nowrap|[[초선 (불교)|초선]](初禪) 즉 [[제1정려]](第一靜慮)}}
|| <!--처소-->
1,431번째 줄:
<br>解釋:
<br>Realm of Form 色界 【參照: Three Realms】"}}{{sfn|DDB|loc="[http://www.buddhism-dict.net/cgi-bin/xpr-ddb.pl?q=%E8%89%B2%E7%95%8C 色界]". 2013년 6월 8일에 확인|ps=<br>"色界:
<br>Pronunciations:
[py] sèjiè
[wg] se-chieh
1,469번째 줄:
|-
| 16 || <!--25유-->[[대범천유]](大梵天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초선 (불교)|초선]](初禪) 즉 [[제1정려]](第一靜慮)
|| <!--처소-->
[[초선3천]](初禪三天) 중
1,475번째 줄:
|-
| 17 || <!--25유-->[[2선유]](二禪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2선]](二禪) 즉 [[제2정려]](第二靜慮)
|| <!--처소-->
[[2선3천]](二禪三天)
1,483번째 줄:
|-
| 18 || <!--25유-->[[3선유]](三禪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3선]](三禪) 즉 [[제3정려]](第三靜慮)
|| <!--처소-->
[[3선3천]](三禪三天)
1,491번째 줄:
|-
| 19 || <!--25유-->[[4선유]](四禪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 [[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br>([[무상정]](無想定)과 [[잡수정]](雜修定)은 제외)
|| <!--처소-->
[[4선9천]](四禪九天) 중
1,499번째 줄:
|-
| 20 || <!--25유-->[[무상유]](無想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br>{{nowrap|[[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 [[무상정]](無想定)
|| <!--처소-->
[[4선9천]](四禪九天) 중
1,505번째 줄:
|-
| 21 || <!--25유-->'''[[정거아나함유|<span style="color: black">정거아나함유</span>]]'''<br>(淨居阿那含有) || <!--3계-->[[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br>[[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 [[잡수정]](雜修定)
|| <!--처소-->
[[4선9천]](四禪九天) 중 '''[[5정거천|<span style="color: black">5정거천</span>]]'''(五淨居天)
1,522번째 줄:
 巴利語 arūpa-avacara-samādhi。又作無色定。無色界定含空無邊處定、識無邊處定、無所有處定、非想非非想處定等四無色定。此四無色定,係由欲界定、色界定而得之靜寂禪定;於此等禪定中,對欲、色等悉無想念。又根據說一切有部之說,空無邊處、識無邊處、無所有處等三定各又有味定(味等至)、淨定(淨等至)、無漏定(無漏等至)等三種,非想非非想處定則以定相昧劣之故,僅有味定、淨定二種而無無漏定。<br>
 以南傳佛教之觀點言之,則不僅於現世中由於精神極度統一之純粹專一現象可得無色定(屬於善淨之無色定),若因果報而生於無色界者亦可得無色定(屬於異熟之無色定);除此二類外,其他另有證成聖道聖果者之「無漏無色定」,及現法樂住的阿羅漢之「唯作無色定」等。〔俱舍論卷二十八、清淨道論第十品、解脫道論卷二〕(參閱「四無色定」1772) p5084"}}
*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
|| <!--처소-->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84%A1%E8%89%B2%E7%95%8C&rowno=1 無色界(무색계)]".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無色界(무색계):
1,530번째 줄:
|-
| 23 || <!--25유-->[[식처유]](識處有) || <!--3계-->[[무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무색정]](四無色定) 중
* [[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
|| <!--처소-->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1,536번째 줄:
|-
| 24 || <!--25유-->[[불용처유]](不用處有) || <!--3계-->[[무색계]] || <!--6도-->[[천상도]] || <!--선정-->[[4무색정]](四無色定) 중
*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 <!--처소-->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1,593번째 줄: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제관 록|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46/1931_001.htm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46, No. 1931, CBETA|연도=T.1931}}
 
==주석 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