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방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 음운 ==
=== 음운 체계 ===
모음은 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ㅏ, ㅜ, ㅗ'의 10 모음 체계이나, 젊은 층으로 갈 수록 'ㅟ'와 'ㅚ'가 다른 음으로 바뀌고 있다.<ref>"귀순자를 제보자로 하여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함남 함주 출신의 50대 제보자는 불안정한 8모음 체계였다. 그리고 중국에 거주하는 전통적인 육진 방언 화자는 9모음 체계, 함북 명천 방언 화자는 8모음 체계였다.", 곽충구, 새국어생활, 1998 겨울.</ref>
 
이 방언은 말의 높낮이로 뜻을 구분하는 성조(聲調) 언어다. [[길주]], [[성진]], [[단천]] 지역어는 고조, 저조, 상승조의 세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이 방언에서 [[중세 한국어]]의 거성은 '고조', 평성은 '저조', 상성은 '상승조'로 실현된다. 그밖의 지역은 고조와 저조만이 쓰이며, [[중세 한국어]]의 '거성'과 '상성'은 '고조'로 실현된다.
 
평성은 '저조'로 실현된다. 이 방언에서는 [[동남 방언]]과는 달리 [[중세 한국어]] 단어의 성조와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이를테면 ':말(言, 상성)'은 지역에 따라 '상승조'나 '고조'로 나타나며, '말(斗, 거성)'은 고조, '말(<, 馬)'은 저조로 나타난다.
 
=== 음운 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