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류지왕 (토론 | 기여)
31171편성이 1000호대 2세대 출입문으로 교체된다고요? 근거없는 소리 하지 마세요.
태그: 점검이 필요한 외부 링크
1번째 줄:
{{철도차량
|차량명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그림 = Korail Line 1 train leaving Yongsan.JPG|300px
|그림설명 = 3세대 31184편성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1}}
|글자색 = white
|량수 = 10량
|차량중량 = 369.1
|전기방식 = <nowiki></nowiki>
* [[교류]] 25,000V 60Hz
* [[직류]] 1,500V 가공가선 방식
|제어방식 = <nowiki></nowiki>
* [[VVVF]]-[[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GTO]] 1C4M제어
*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2레벨 1C4M제어
|설계최고속도 = 110
|영업최고속도 = 110
|기동가속도 = 3.0
|감속도 = 상용 최대 3.5 km/h/s<br/>비상 4.5
|구동장치 = [[유도전동기]]
|전동기출력 = 200<ref>연속 정격출력 200kW, 1시간 정격출력 230kW</ref>
|편성출력 = 4,000(5800마력)<ref>연속 정격출력으로 계산할 시 4,000kW이며 1시간 정격출력으로 계산할 시 4,600kW</ref>
|기어비 = 14:99
|궤간 = 1,435
|용도 = [[통근형 전동차]] ([[광역 철도]] 구간 입선용)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제동|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 5M 5T
|제작사 = {{기호없는 목록| ''[[현대로템|현대정공]]'' (→[[현대로템]])| ''[[대우중공업]]'' (→[[현대로템]])| ''[[현대로템|로템]]'' (→[[현대로템]])}}
[[현대로템]]
|제작연도 = [[1996년]] ~ [[1999년]], [[2002년]] ~ [[2006년]], [[2010년]]<ref>31190, 31191편성 기존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8량 차량에 해당된다. </ref>, [[2012년]] ~ [[2014년]], [[2016년]]
|생산량 = 95개 편성 950
|보안장치 =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 [수동운전]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는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경인선]] 2복선화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기존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체를 목적으로 도입한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전동차이다. [[2011년]] [[3월]]까지 5000호대 차호를 사용하였으나, 같은 해 [[4월]]부터 [[10월]]까지 차호를 311000호대로 개번하였다. 현재 총 10량 94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 기술적 사양 ==
=== 제어기기 ===
31101~31112, 31114, 31115, 31117~31134, 31136~31147, 31149~31159편성은 기존에 도입되었던 [[도시바]]의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GTO]]<ref>이 GTO는 [[JR 서일본]]의 [[서일본 여객철도 207계 전동차|207계 1000번대 전동차]]에도 사용되므로 311000호대 전동차와 207계 1000번대 전동차의 구동음이 같다. </ref>를, 31113, 31116, 31135, 31148, 31160~31195편성은 [[도시바]]의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를 채용하였다.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출력을 높여 전력차의 비율을 줄였으며, 동시에 [[회생제동]]을 채용하여 에너지 절약 및 검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면허 생산한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1세대 차량은 강제 냉각 방식의 MCK01C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고, 1세대 이후의 차량은 히트파이프에 의한 자연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다. 단 1세대 차량들은 IGBT 개조 이후에도 MCK01C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차체 및 대차 ===
[[그림:KORAIL_EMU5000_Bogie.jpg|thumb|right|200px|대차의 모습]]
차체에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철도차량용 대차|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대차|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 실내 설비 ===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 색 계통의 색상 구성과 전형적인 모켓 롱 시트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후 불연 내장재 개조가 시행되며 파란색과 흰색 등을 사용하여 보다 차가운 계열의 색상 구성을 사용하게 되었고, 시트는 유리 섬유(그라스울) 시트를 사용하였다. 객실 천장에는 31182편성 이전 차량에는 LED 전광판이, 31183편성 이후 차량에는 LCD TV를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방은 기존의 1000호대 전동차보다 냉방출력을 강화한 준집중 형식으로 제작하였다. [[1998년]] 2차 도입분인 31128~31141편성(변경 전 29~42편성)은 1호차,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설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31127편성(변경 전 28편성) 이전 차량은 1,10호차에 3인석 노약좌석을 제거하여 휠체어 공간을 마련하였다.
 
=== 운전 설비 ===
기존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341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나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관련 장비는 빠져 있으며, 정차역을 오인,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차역 자동 통보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최초 도입부터 [[TGIS]] 모니터를 컬러 모니터로 갖추었으며, 2004년 불연 내장재 개조 이후부터는 서비스 기기 조작을 TGIS와 연계, 자동화하였다. 운전기기는 투핸들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ref>다만, 31183~31194편성은 원핸들 방식으로 반입하였다.</ref> 운전 경계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절연 구간을 통과할 때 지상 장비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수신하도록 되어있으며, 2006년부터는 전 차량의 차장용 출입문 조작장치를 기존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교체하고 있다.
 
=== 편성 ===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0%;"
!style="width: 20%;"|객차번호
줄 85 ⟶ 86:
 
==소속 ==
[[구로차량사업소]] · [[이문차량사업소]] · [[병점차량사업소]]에 각각 소속되어 있으며, 중정비는 [[시흥차량사업소]]와 [[이문차량사업소]],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실시하고 있다.
 
* 31101~31124<ref>31111편성부터 31113편성까지는 2013년 2월에, 31114편성부터 31119편성까지는 2014년 6월에, 31120편성부터 31124편성까지는 2014년 9월에 각각 구로소속에서 이문소속으로 이관하였다.</ref>, 31181, 31182편성 : [[이문차량사업소]], 10량
* 31125~31141, 31148~31153<ref>원래 31142~31147편성(변경전 43~48 편성)이 구로소속이었고 31148~31153편성(변경전 49~54편성)이 병점소속이었지만 2010년 서로 소속을 맞바꾸었다.</ref>, 31166~31176, 31183~31194, 31195편성<ref>우선적으로 병점~천안구간을 위주로 시운전을 진행할 예정이다.</ref> : [[구로차량사업소]], 10량
* 31142~31147, 31154~31165, 31177~31180편성 : [[병점차량사업소]], 10량
 
== 구분 ==
최초 도입분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341000호대 전동차]]를 기초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설비를 변경하여 총 12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전두부 디자인을 기준으로 크게 3세대로 나뉜다.
=== 1세대 ===
[[파일:Korail Class 311000 EMU.jpg|thumb|right|1세대 31126편성]]
31101~31141(변경 전 01~42편성)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1996년 말에서 1999년 초까지 [[현대정공]] 창원공장<ref>31101~31127편성이 해당</ref>과 [[대우중공업]] 의왕공장<ref>31128~31141편성이 해당</ref>에서 제작, 도입되었다. 초기 반입된 6개 편성은, 오랜 기간 시운전을 거쳐 [[1997년]] [[5월]]에서야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31101~31106편성은 출입문과 인통문 문양이 이전 차량들은 부식무늬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사양이 비슷하며 출입문 경고음이 없다. 이후 도입된 차량은 역삼각 무늬로 변경되었으며 출입문 경고음이 있다. 반입 당시 도색은 청록색과 노란색 조합([[철도청]] 색상)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4년 불연화 개조가 이루어지며, 현재의 빨간색, 군청색 조합 도색으로 재도색 되었다. 31128~31141편성은 [[1973년]]부터 [[1974년]]까지 도입되었던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전동차]]의 폐차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으로 1호차와 10호차에 휠체어 공간이 추가되었고, 객실 안내기의 수를 2개로 늘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amp;mid=sec&amp;sid1=101&amp;oid=001&amp;aid=0004218851 大宇重, 서울 지하철 1호선 전동차 1백35량 수주], [[1997년]] [[5월 28일]] 작성, [[2015년]] [[2월 23일]] 확인.</ref>
 
19편성은(변경 후 말소) [[2007년]] [[5월]]에 일어난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2량 폐차 후 31906편성과 319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25, 26편성(변경 후 24, 2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량 번호가 중복되는 관계로 55, 56편성으로 도입된 후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변경되었으며<ref>55, 56편성은 차후 2세대형 전동차로 신규 도입 후 31154, 3115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ref> 31113, 31116, 31135편성의 주 제어 장치가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31137편성(변경 전 38편성)에는 시범적으로 코모넷사의 차내방송 시스템을 내장하였다가 현재는 철거되었다. 31139~31141편성(변경 전 40~42편성)에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2세대형 부수 객차]]를 개조하여 311000호대에 편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 2세대 ===
[[파일:Korail Class 311 (2nd generation).JPG|thumb|right|2세대 31145편성(변경 전 46편성)]]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구간 연장 개통과 1세대형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잔존차량의 폐차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04년]]까지에 걸쳐서 도입하였다. 31142~31165편성 (변경 전 43~66 편성)이 이에 해당되며 [[1999년]]에 도입된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341000호대 전동차 중 전두부 교체형을 바탕으로 하여 FRP 소재의 선두부와 UV 코팅이 적용된 객실 측면의 통유리창, 전체적으로 백색이 강조된 실내 설비 등을 추가하였다. 그 외의 설비는 기존 도입분과 대체적으로 비슷하다. 31153편성(변경 전 54편성)부터는 반입 당시부터 현재의 도색으로 도입되었고, 55, 56편성(변경 후 31154, 31155편성)은 [[대한민국 철도청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의 차호 중복을 막고자 1세대형 전동차를 해당 차호로 도입하였던 점이 특징이다.<ref>해당 1세대형 전동차는 차후 정상적인 차호로 되돌아가면서 이 도입분 때 재 신조되었다.</ref> 31148, 31160~31163편성은 주 제어 장치가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변경되었고<ref name="2nd" />, 2레벨 방식과 자연 냉각형 냉각 장치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31163편성(변경 전 64편성)의 일부 동력객차는 한동안 MCK01C형과 COVO52-A0형을 혼용해 사용해왔으나, 현재는 모든 동력객차가 COVO52-A0형으로 교체되었다.<ref>MCK01C형을 사용한 동력객차는 311763, 311863호였고, COVO52-A0형을 사용한 동력객차는 311163, 311263, 311463호였다.</ref> 31164~31165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IGBT 소자로 반입되었으며, 내장재가 불연화되어 있었고, 선두부의 열차 번호 표시 장치가 [[발광 다이오드|LED]]로 변경되었다. 31142~31163편성은 도입 당시 원래 도시바 GTO 소자로 반입되었다.
 
=== 3세대 ===
==== 전기형 ====
[[파일:KORAIL EMU5000 6th.jpg|thumb|right|3세대 전기형 31177편성(변경 전 78편성)]]
31166~31182편성(변경 전 67~85편성)의 도입분이다. [[2005년]] 중앙본선의 복선 전철화와, [[2006년]] 경원본선 복선 전철화로 인한 전동차 투입 및 경인선 복복선화, 기존 1000호대 전동차 차량의 대체를 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의왕공장의 폐쇄로 인해서 모든 차량들은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하였다. 전두부의 형태가 변화하였으며, 현대로템의 표준형 전동차 설계 기준을 따르고 있다. 실내 설비의 경우 시트 밑에 있던 히터가 경량 프리 히터로, 객실의 출입문 구동 방식이 기존 공기 압축식에서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 객실 간의 통로에 있던 턱이 낮아지는 등 몇 가지 설계 변경이 있었으며 31178편성<ref>변경 전 79편성 부터 적용되었으나, 79편성과 80편성이 말소되어 실제로는 변경 전 81편성부터 적용</ref>부터는 객실 환기용 팬과 1인 승무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71편성에는 1000호대 2세대 직사각형 출입문을 교체할 예정이다.
 
86~92편성은(변경 후 말소) 8량화를 거쳐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321000호대]]로 개번, 이들 편성에서 빠진 2량씩의 차량들과 79, 80편성(변경 후 말소)을 활용하여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321000호대]] 2차분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319000호대 전동차]]로 개조되었다. 한 때 경북관광홍보열차로 운행했던 83편성(변경 후 31180편성)은 [[2007년]]에 311880호(구 5783호)에 한해 [[현대로템]]의 [[VVVF]]-[[IGBT]] 2레벨([[지능형 전력 모듈|IPM]] 모듈화)을 적용하여 시범 운행을 한 적이 있었고<ref>현재는 기존의 [[도시바]]제 [[VVVF]]-[[IGBT]]로 환원된 상태이다.</ref>, [[2010년]]에는 311580호를 개조하여 [[경기도]] 민원전철 365라는 이름으로 2010년 11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운행하였다.
 
==== 후기형 ====
[[파일:Korail Line 1 train leaving Yongsan.JPG|thumb|right|3세대 후기형 31184편성]]
31183~31194편성이 이에 해당한다. [[2012년]]부터 도입되고 있으며, [[경인선]]으로의 신규 투입<ref>[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_New.aspx?searchpart=article&amp;searchtext=%ec%bd%94%eb%a0%88%ec%9d%bc&amp;contents_id=AKR20120518098900063 코레일, 수도권 출퇴근 열차 대폭 증편], 《[[연합뉴스]]》, [[2012년]] [[5월 18일]] 작성; 31185편성 이전 반입분이 해당.</ref>과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중기]]편성의 폐차<ref>31186편성 이후 반입분이 해당.</ref>로 인해 도입되었다. [[분당선]]과 [[수인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351000호대 전동차]]와 [[경의선]]의 운행용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331000호대 전동차]]에 기초하였으나 10량 [[교류|교]][[직류|직]]혼용 전동차로 반입되었으며, 이 차량부터 천장에 LCD 안내기를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를 설비하였다.
 
31183~31187편성은 10량 중 M, T 각 2량씩을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의 6량화 과정에서 남는 잉여차량을 부수차로 전환하여 반입되었으나 [[코레일]]이 [[2014년]]까지 [[수도권 전철 중앙선]] 잉여차량들을 원위치 시켜 전 차량을 8량으로 재환원 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여 [[2014년]] 4량의 신조객차를 편입해서 10량으로 환원되어 운행중이다.
줄 122 ⟶ 123:
31195 편성부터는 집전 장치가 종전과는 달리 고속 주행에 적합한 싱글암으로 적용되었다. 외부는 종전의 차량과 흡사하나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37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설계를 적용해 야간 주행시의 시야 확보가 유리하도록 열차번호 안내기와 행선지 안내기 가운데에 LED 전조등을 새롭게 추가했다. 객실에는 범죄예방을 위한 CCTV가 설치 되었으며 노약자석의 창문은 방풍에 유리한 통유리가 적용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이적분 ====
31190편성과 31191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14편성과 15편성을 10량화 증결 및 [[교류|교]][[직류|직]]혼용으로 개조하기 위해 휴차되었다가 31190편성과 31191편성이 2량 신조되어 반입되었다.<ref>http://blog.naver.com/jascoco/220194878222</ref> 신조된 2량은 31183~31189편성, 31192~31194편성과 같으며, 나머지 8량은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에서 1호선 내장재를 적용하였다. 311090호, 311990호, 311091호, 311991호에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도입당시부터 자전거 전용 거치대가 설치되어서 반입이 되었다.<ref>다만,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ref>
 
== 개조 ==
[[파일:Korail5109 inner.jpg|thumb|right|불연화 개조가 이루어진 1세대 차량의 내부 (5109호, 현 311909호)]]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맞추어, 31164편성(변경 전 65편성)부터는 불연재 내장을 갖추어 도입되었다. 또한, [[2004년]]부터 31142편성(변경 전 43편성)을 시작으로 여러 편성들이 불연재 기준에 맞추어 개조되었으며 이후 2005년까지 전 차량이 이에 맞추어 개조가 되었다. 실내 시트의 경우 유리 섬유를 사용한 시트로 교체하였고, 그외 재질도 난연화 처리를 하였으며, 손잡이도 기존의 흰색<ref>[[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 2세대형 전기 차량]]을 개조 편입한 차량은 청록색이였다.</ref>에서 레드와인색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전·측면 행선 표시 장치를 롤지 회전 스크린식에서 LED 표출식으로 교체하였다.
줄 147 ⟶ 148:
[[2016년]] [[2월]], 311961호 전면부 조명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또한 3세대형 31166, 31168, 31174, 31177, 31181편성의 전조등도 LED로 교체되었다.
 
== 현황 ==
[[2016년]] [[4월]], 311x71편성의 전량은 중기형 전동차(2세대)의 출입문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현황 ==
현재 운행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 1세대 ===
{| class="wikitable sortable" width="960"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줄 233 ⟶ 232:
|'''31138 편성'''||운행중||
|-
|'''31139 편성'''||운행중||중기저항 T 차량 1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또한 311939호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311000호대 1세대 신조출입문을 사서 교체했었다.<ref>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ryudong123&logNoamp;logationo=220625573492</ref>
|-
|'''31140 편성'''||rowspan="2"|[[1999년]]||운행중||rowspan="2"|중기저항 T 차량 2량을 개조해 투입하였다.
줄 240 ⟶ 239:
|}
 
=== 2세대 ===
{| class="wikitable sortable" width="960"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줄 295 ⟶ 294:
|}
 
=== 3세대 ===
{| class="wikitable sortable" width="960"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줄 310 ⟶ 309:
|'''31170 편성'''||운행중||
|-
|'''31171 편성'''||운행중|| 1000호대 2세대 직사각형 출입문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31172 편성'''||rowspan="11"|[[2006년]]||운행중||
|-
|'''31173 편성'''||운행중||
|-
|'''31174 편성'''||운행중||[[2010년]] 구로차량사업소에서 1058편성과 충돌하여 전두부가 파손되어 수리 후 복귀 하였다.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줄 328 ⟶ 327:
|'''31179 편성'''||운행중||
|-
|'''31180 편성'''||운행중||2010년 11월 29일<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amp;mid=sec&amp;sid1=102&amp;oid=001&amp;aid=0004793861 <경기도 '민원전철' 1호선 서동탄∼성북 첫 운행>], 《연합뉴스》, 2010.11.29.</ref>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민원전철365로 운행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1115_0012516673&amp;cID=10803&amp;pID=10800 '애물단지' 민원전철…원상복구비만 1억], 《뉴시스》, 2013.11.17.</ref>
|-
|'''31181 편성'''||운행중||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줄 362 ⟶ 361:
|}
 
== 현재 운행 노선 ==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에서 운행하고 있다.
 
줄 372 ⟶ 371:
* [[병점기지선]] : [[병점역|병점]] - [[서동탄역|서동탄]]
 
=== 과거 운행 노선 ===
* [[안산선]]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열차가 [[병점역]] 연장 운행을 시작하기 하루 전날인 [[2003년]] [[4월 29일]]까지 운행하였다.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 [[2006년]] [[12월 15일]]부터 [[2008년]] [[11월 30일]]까지 광명역 접근을 위한 셔틀 전동열차로 운행하였다. 현재는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로 대체되었다.
* [[경원선]] 용산 ~ 회기 및 [[중앙선]] 청량리 ~ 용문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하고 있다.
 
== 사고 ==
{{참고|대한민국의 전동차 사고 목록}}
* [[2007년]] [[5월 12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영등포역]] 구내에서 발생한 구 19편성과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 기관차|디젤전기기관차 4404호]]와의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구 19편성 5119호와 5719호가 폐차되고, 남은 차량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319000호대 전동차]]의 06, 07편성으로 개조되었다.
* [[2010년]] [[5월 1일]], [[구로차량사업소]]에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1000호대]]의 58편성과 (구)5000호대의 75편성(변경 후 311000호대 74편성)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ref>[http://www.ytn.co.kr/_ln/0103_201005020004200449 구로 전동차 차량기지 추돌 사고], 《YTN》 [[2010년]] [[5월 1일]]</ref>. 이 사고로 5075호(변경 후 311074호)의 전면부가 일부 파손되었으며, 1058편성은 중간 프레임이 휘어 결국 폐차 처리되었고, 31174편성(변경 전 75편성)은 [[문산차량사업소]] 중수선에 입창되어 장기간 복구작업을 마치고 정상 운행중이다.
* [[2012년]] [[2월 2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향하던 중 차량 고장으로 멈춰선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를 뒤따라 오던 31171편성(변경 전 72편성) 열차가 구원기로 연결한 후 광운대역으로 밀어내는 과정에서 [[종로5가역]] 구내에서 31158편성(변경 전 59편성) 열차의 10량 중 9번째 칸이 탈선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4090957012&amp;code=900370 종로5가 지하철 탈선]</ref>
* [[2012년]] [[6월 3일]]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천안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인입선으로 들어가려던 31147편성(변경 전 48편성) 열차의 10량 중 일부가 탈선해 이 일대의 열차운행이 9시간 여 동안 차질을 빚었다.<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213802 천안역서 열차 탈선…장항선 열차 운행 중단]</ref><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213841 천안역 탈선사고 9시간만에 복구…항의 빗발쳐]</ref>
* [[2015년]] [[5월 19일]] 인천시 중구 경인전철 1호선 인천역 승강장 인근 철로에서 31126편성 전동차가 탈선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 사진 ==
{{Commonscat|Korail Class 311000}}
<gallery>
파일:5x66 in Uiwang.JPG|[[의왕역]]에 도착하고 있는 66편성(변경 후 31165편성)
File:Korail 31130.JPG,Jpg|수원역에 진입하는 31130편성 (변경 전 31편성)
파일:Korailgyeongbuktrain.JPG|[[용산역]]에 도착하고 있는 83편성(변경 후 31180편성), 당시 경북관광홍보열차로 운행했었다.
파일:Korail 31180 01.JPG,Jpg|[[광운대역]]에 도착하고 있는 31180편성(변경 전 83편성), 2014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민원전철 365라는 이름으로 운행되었다.
파일:Korail 31180 02.JPG,Jpg|311180호 차량 내부
파일:Korail 31180 03.JPG,Jpg|민원전철칸 311580호 내부
파일:KORAIL EMU5000 3rd.jpg|44편성(변경 후 31143편성)
파일:Korail Class 311 (2nd generation).JPG|[[용산역]]에서 대기중인 31145편성 (변경 전 46편성)
줄 401 ⟶ 400:
</gallery>
 
== 각주 ==
<references/>
 
== 함께 보기 ==
* [[한국철도공사]]
* [[수도권 전철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