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함수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일변수 공식화 ==
일변수 함수에서 역함수 정리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ref name="a김락중">Robert G. Bartle, Donald R. Sherbert, 강수철 역, 《실해석학개론》, 범한서적주식회사, 2006, 213쪽.</ref>
 
# I가 [[실직선]] 상의 [[구간]], 함수 f:I→'''R'''이 I에서 [[단조함수|강단조]]이고 [[연속함수|연속]]이라 하자. 그러면 f의 강단조이고 연속인 역함수가 존재하여 g:f(I)→'''R'''로 쓸 수 있다.<ref>별도의 증명이 필요하나 여기서는 생략한다.</ref>
10번째 줄:
 
=== 증명 ===
[[카라테오도리 보조정리]]를 이용하여 간단히 증명할 수 있다.<ref name="a김락중"/> 먼저 f'(c)가 존재하므로 카라테오도리 보조정리에 의해 모든 x∈I에서 f(x) - f(c) = φ(x)(x-c)를 만족하는 c에서 연속이고 φ(c) = f'(c)인 함수 φ가 존재한다. 가정에서 φ(c)≠0이고 φ는 c에서 연속이므로, 모든 x∈V∩I<ref>이는 다시 구간이 된다.</ref>에 대해 φ≠0인 c의 적당한 근방 V:=(c-a, c+a)가 존재한다. 이제 g는 모든 y∈f(V∩I)에 대해 f(g(y)) = y를 만족하므로, 이상의 식에 g(y)를 대입하면,
 
* y - f(c) = f(g(y)) - f(g(f(c))) = φ(g(y))(g(y) - g(f(c))).
21번째 줄:
 
== 다변수 공식화 ==
임의의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대해 역함수 개념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다변수함수에 대해서도 역함수 정리가 일반적인 형태로 존재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ref>{{서적 인용|저자1=김락중 외, 《|저자2=박종안|저자3=이춘호|저자4=최규흥|연도=2007|제목=해석학 입문》, |판=3|출판사=경문사, 2007, |쪽=322|isbn=978-8-96-105054-323쪽.8}}</ref>
 
* '''R'''<sup>n</sup> 내의 [[열린집합]] V에 대해 V에서 미분가능하고 모든 [[편미분|편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f:V→'''R'''<sup>n</sup> 가 있다. 만약 어떤 '''c'''∈V에 대해 <math>\Delta_f(\mathbf{c}) \ne 0</math> 이면(<math>\Delta_f</math>는 f의 [[야코비안]]) 열린집합 V<sub>0</sub>⊂V와 W<sub>0</sub>⊂f(V)가 존재하여 다음 셋을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