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색 낙오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 accessdate=2010-01-21 }}</ref>]]
 
'''청색낙오성'''({{llang|en|Blue straggler}}) 또는 '''BSS'''는 [[산개성단]] 또는 [[구상성단]]에 있는 [[주계열성]]으로, 해당 성단의 전환점에 있는 주계열성보다 더 뜨겁고 밝은 별이다. 청색낙오성은 1953년 [[앨런 샌디지]]가 구상성단 [[메시에 3|M3]]의 별들을 측광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별이다.<ref name="discovery">{{저널 인용| author = 앨런 샌디지 | title = 구상성단 M3에 관한 색등급도 | journal = 어스트로노미컬 저널 | volume = 58 | pages = 61–75 | year = 1953 | bibcode = 1953AJ.....58...61S | doi = 10.1086/106822}}</ref><ref>{{뉴스 인용| url = http://www.nytimes.com/1991/08/27/science/cannibal-stars-find-a-fountain-of-youth.html | title = 청춘의 샘처럼 발견된 동족포식 별들 | date = 1991-08-27 | accessdate = 2010-01-18 | author = 존 노블 윌포드 | work=뉴욕 타임즈}}</ref> 항성 진화에 관한 표준 이론은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에서 별의 위치는 크게 별의 초기질량과 나이에 의해 측정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성단의 별들은 모두 거의 같은 시기에 형성되며, 따라서 성단에 대한 H-R 도표에서 모든 별들은 오로지 초기 질량으로부터 결정되는 각 별들의 위치와 성단의 나이에 따라 결정되는 뚜렷한 곡선을 따라 위치해 있어야 한다. 그래서 보통 성단 주계열성의 질량의 두 배에서 세 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청색낙오성은 이 규칙에 대해 이례적인 것처럼 보인다.<ref name="apod">{{웹 인용| url=http://antwrp.gsfc.nasa.gov/apod/ap000622.html | title = 오늘의 천문 사진 – NGC 6397의 청색낙오성 | date = 2000-06-22 | accessdate = 2010-01-18}}</ref> 이 문제에 대한 해결안은 청색낙오성이 발견되는 성단의 밀한 공간에서 둘 이상의 별 사이의 [[항성 충돌|상호작용]]과 상관되어 있다.
 
== 형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