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식 (도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9971999P (토론 | 기여)
내용 수정. 내용 추가.
태그: m 모바일 웹
19971999P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번째 줄:
 
'''조식'''(調息)은 [[도교]]의 수행법 중의 하나로, '''복기'''(服氣)라고도 한다.<ref name="글로벌-조식">"[[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도 교/도 교#조식|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도교 > 도교 > 수행법·의례 > 조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조식은 정신을 평안하게 하는 일종의 호흡법이다.<ref name="글로벌-조식"/> 조식은 천지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원기(元氣)"를 흡입하여 체내에 저장함으로써 인간의 신체에 불사(不死)를 가져오게 하는 수법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ref name="글로벌-조식"/> [[벽곡]](辟穀)을 소극적 수행법이라 한다면 조식은 적극적 수행법이다.<ref name="글로벌-조식"/>
 
- 평범한 사람이 어느 순간 바로 벽곡을 하기는 힘들 것 같고, 특정 시기가 되면 한, 두달도 할 수 있다고 한다.
 
'''토납'''(吐納) 또는 '''태식'''(胎息)도 조식(調息) 또는 복기(服氣)에 포함되는데, [[태아]]가 모체 안에서 호흡하는 것과 같이 기(氣)를 코로 한번 깊게 들이마시면 일단 쉬고 마음 속으로 조용히 120을 세고 그 후 입으로 숨을 내쉴 때에는 털(氣毛)을 코나 입에 가져다 대어도 입김에 날리지 않게 되는 상태를 '''태식'''이라 한다.<ref name="글로벌-한국의 도교-복기">"[[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한국의 도교/한국도교의 의식·수행#복기|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의식·수행 > 복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이는 언제나 행하는 것이 아니라 야반(夜半:子時)부터 정오(正午:午時) 사이에 생기(生氣)가 충만할 때만 효험이 있다고 한다(《[[포박자|포박자석체편]](抱朴子釋滯篇)》).<ref name="글로벌-한국의 도교-복기"/>